View : 15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reator김수정-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0:54Z-
dc.date.available2018-03-06T16:30:54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2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23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44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ethnic groups in the urb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global value chain due to the globalization of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theories and discussions of economic geography and cultural geography.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historical geographical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tries to reconstruct the trajectory and occupation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from its formation to the present and to clarify the process by which various immigrant groups became engaged in the apparel industry. Second, as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progresses in the 1970s,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California and Los Angeles apparel industries will be examined, and the global value chain of th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will be analyzed. Third, this study aims to find how the expansion and restructuring of the global network of the apparel industry have affected the regional change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as the expansion of the global network meets local. Fourth, this research intends to interpret the historical and spatial relationship that the migrant groups with different races and ethnicities coexist on the local scale through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competition, negotiation, and compromise, and clarify the dynamics of the urban economic community.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us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on the global network and ethnic relations of the fashion district in downtown Los Angeles from March 2014 to November 2017. This study mainly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ut various statistical data are used together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e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used to provide an interpretive approach to the study area. On the theoretical level, this study reviews the economic geography and cultural geography theories and approach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globalization of apparel industry and the relations of migrant groups. To restore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which is fragmented, it is necessary to use existing publications, research papers, reports, newspaper articles (Los Angeles Times, New York Times, etc.) and the old maps. In reviewing the history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and reviewing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the major ethnic groups that make up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this study used IPUMS USA's microdata from 1910 to 2015, directories provided by KAMA and the report on the population of Jewish in Los Angeles. This research also used statistics such as WTO, US Department of Commerce, OTEXA, Labor Department, LAEDC and Los Angeles Trade Numbers to analyze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nd value chain formation in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In addition to quantitative data, a researcher conducted field trip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explore the global value chain formation in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and the ethnic relations within the fashion district.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total, with one preliminary fieldwork and two local interviews. A preliminary fieldwork was held on January 15, 2015, and outlined the scope of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es, and the main visitors during the daytime. Based on the preliminary exploration, a researcher conducted the first local interview from August 21, 2015, to September 2, 2015. The interviews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were pre-interviews based on simple contents with the KAMA and the apparel industry workers before the full-scale interview. The second local interview was held from September 21 to December 15, 2016, while a researcher was staying in Los Angeles. During my stay in Los Angeles for about three months, the researcher visited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with different times and days to observe in the field. Through two times interviews, this study interviewed 27 Korean, 23 Latino, and 2 Jews. After returning to Korea,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dditional interview with the Jewish Association's staff in an e-mail format. As a resul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53 people.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has grown by western development and immigrant influxes and has been a field of change led by different ethnic groups for the past 120 years. This i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which relies on a low-cost labor force pool of simple functions, the relatively low-paid immigrant labor force was essential. When the early garment industry flourished, a group of Russian/German Jewish immigrants, who mainly migrated through Western development, exerted influence. However, after the revision of the immigration act of 1965, the arrival of Asian immigrants came to a new turning point. Especially Korean immigrants have utilized the family labor force and the cheap labor force of Latino workers to promot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fashion district. In this regard, the fashion district, which occupied 50 blocks in downtown in the 1980s, has now expanded to over 90 blocks. In recent years, however, Koreans are moving away from the fashion district due to problems such as economic deterioration and rising minimum wages. As a result, fashion district is once again at the forefront of new changes. Second, as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progresses in the 1970s, th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is expanding and restructuring its production network and global value chain through the alliance of various interest groups in the neoliberal system. The garment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and Los Angeles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Multi-Fiber Arrangement. As the global production geography is reorganized and expanded due to changes in international systems and labor costs, the pan-pacific global value chain of China, Southeast Asia,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centering on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is formed and functioned. In the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s in the production process, not only the cost but also the ethnicity of the subjects in charge of each production process tended to play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the connectivity between Koreans located at each stage of production is emphasized. Korean manufacturers prefer Asian subcontractors rather than geographically far closer Latin American countries because of the cost of labor and the cost of establishing factories and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and city governments, as well a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co-ethnic relations. Third, due to the globalization of the apparel industry, the city government is trying to eliminate the factories in the fashion district while executing strategies to utilize the competitive advantages. The city of Los Angeles is attempting to reorganize the fashion district into a premium residential and design center through urban planning, business incentives, and crackdowns, designating factories in the fashion district as ‘threatening spatial variables.’ Despite the rise in minimum wage and the policy of the city government,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is still the center of apparel manufacturing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becaus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is focused on 'fast fashion' based on fast commodity cycle, unlike in New York, and it is due to the continuous inflow of low-cost immigrants from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Fourth,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is a dynamic, relational space in which various ethnic groups engage in a complex relationship of strategic negotiation and compromise as well as conflict and competition, in a variety of spatiotemporal context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and local interviews, the main ethnic groups that make up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for over 40 years are Jewish landlords, Korean manufacturers, and Latino workers. Because of the marginalization in the early economic sector and religious reasons, the Jewish popul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garment industry,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the fashion district functioned as the Jewish ethnic business and enclave. However, as new migrant groups such as Koreans were introduced, competition and conflict were triggered, and Enclave of the Jews was dismantled as Koreans dominated the competition. Since then, the fashion district has been reorganized around Korean manufacturers, and the process of conflict, competition, negotiation, and compromise between the major ethnic groups, such as Jewish landlords, Korean manufacturers, and Latino workers, has been actively taking place. In addition to conflict and competition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there has been intricate competition and conflict within the co-ethnic group,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omogeneous characteristics. In Latino workers, not only the conflicts due to the area of origin but also the conflicts caused by gender wage inequality were latent. However, these competition and conflict are in optimum level through negotiation and compromise process due to economic and social factors of each other. Each migrant group is conflicting in that it is a competing relationship over limited socioeconomic resources. On the one hand, however, they implement a place strategy to mutually share space with other ethnic groups to maintain their identity and survive, even if they lose some socio-economic profits. In the process, NGOs based in the fashion district and Koreatown led the process of negotiation and compromise. Recently, as Chinese newcomers and Vietnamese immigrants began to enter the fashion district, signs of a more complex reorganization of the Jewish-Korean-Latino three-way relationship, which had lasted for 40 years, are showing signs of restructur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Los Angeles fashion district, which is relatively unremarkable compared to the garment district in the New York, despite being the center of two major US apparel industr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globalization of the apparel industry and the relationships that accompany the international migration from various scales. This implies that the researcher tried to overcome the two-dimensional research that had been focused only on the country, or the global, or the microscopic local,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future studies dealing with the dynamics of the immigrant economic space. On the other hand, as many migrants from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the proportion of foreign migrants in the economic system is increasing. In this sense, this study, which pointed out the diversity, hybridity, and diversity of multi-ethnic businesses in urban economic communities that operate on various scales, will catalyze expanding the discussions on the ethnic economy in Korea in the future.;본 연구는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를 사례로, 경제지리학과 문화지리학의 이론과 논의들을 통해 의류 산업의 글로벌화로 인한 글로벌 가치 사슬의 재편과, 글로벌 도시 내 산업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계층화된 민족집단 간의 관계를 질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역사지리적 관점에서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형성부터 현재까지의 입지 변화의 궤적(trajectory), 점유 과정을 복원해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이주자 집단이 의류 산업에 종사하게 된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70년대 이후 자본주의의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의류 산업이 새로이 재구조화되는 과정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의류 산업을 통해 추적해 보고, 로스앤젤레스 의류 산업의 글로벌 가치 사슬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장이 로컬과 접목하는 지점으로, 의류 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장과 재구성이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지역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로컬 스케일에서 민족과 국적이 다른 이주자 집단이 공존하면서 빚어내는 역사적 공간적 관계를 갈등과 경합, 협상과 절충이라는 관계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해석하고, 도시경제 공동체의 역동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4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에 위치한 패션 지구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민족 관계를 양적‧질적 자료를 활용해 연구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각종 통계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이러한 양적‧질적 자료들은 연구지역에 대한 해석적 접근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론적 수준에서 본 연구는 의류 산업의 글로벌화와 이주자 집단의 관계와 맞물려 있는 경제지리학과 문화지리학 이론과 접근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여러 문헌 자료들에 파편화되어 있는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역사 지리를 복원하기 위해, 기존에 발간된 단행본과 연구 논문, 보고서, 신문 기사(Los Angeles Times, New York Times, etc.), Los Angeles Public Library에서 제공하고 있는 고지도 등을 검토하였다.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역사를 검토함과 동시에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를 구성하는 주요 민족 집단의 시기별 구성 특성과 입지를 검토하기 위해 IPUMS USA의 19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마이크로 데이터 및 KAMA에서 제공한 업소록을 정제하였으며, The Report on the Poplulation of Jewish in Los Angeles도 함께 활용하였다. 또한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글로벌화와 가치 사슬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WTO, 미 상무부, OTEXA, 노동부, LAEDC, Los Angeles Trade Numbers와 같은 통계자료들을 사용하였다. 양적 자료와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글로벌 가치사슬 형성과 패션 지구 내에서의 민족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현지 답사와 참여관찰,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터뷰는 한 차례의 사전답사와 두 차례의 현지 인터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사전답사는 2015년 1월 15일에 이루어졌으며,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범위와 가게 구성 특성, 업체들의 주된 영업 시간인 낮시간대 주요 방문객 특성 등에 대해 대략적으로 관찰하였다. 사전 답사를 토대로 2015년 8월 21일부터 9월 2일까지 1차 현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기간 중에 실시한 인터뷰들은 본격적인 인터뷰를 진행하기에 앞서, 주로 한인 의류 협회 및 의류업 관계자들과 간단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사전 인터뷰의 형식을 띠었다. 두 번째 현지 인터뷰는 2016년 9월 21일부터 12월 15일까지 로스앤젤레스 현지에서 체류하면서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약 3개월 동안 로스앤젤레스에 체류하면서, 시간대와 요일을 달리하여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를 방문하여 현장을 참여관찰하였다. 두 차례의 인터뷰를 통해 27명의 한국인과 23명의 라티노, 2명의 유대인을 인터뷰하였으며, 귀국 후 유대인협회 관계자와 이메일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총 53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스앤젤레스 패션지구는 서부 개발 및 이민자 유입으로 성장하며, 지난 120여 년 간 서로 다른 종족집단들이 주도하는 변화의 장이었다. 이는 단순 기능의 저렴한 노동력 풀에 의존하는 로스앤젤레스 의류 산업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임금이 저렴한 이민자 노동력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초창기 의류 산업이 번성했을 때에는, 주로 서부 개발을 통해 이주한 러시아계/독일계 유대인 이민자 집단이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65년 이민법 개정 이후, 아시아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한인 이민자 집단은 가족 노동력과 저렴한 라티노 노동자들의 노동력을 활용하여 패션 지구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하였다. 그 결과 1980년대 다운타운 내의 50여 블록을 점유하고 있던 패션 지구의 범위는 현재 90여 블록까지 확장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경기 악화, 최저임금 상승 등의 이슈로 한국인들이 패션 지구를 떠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패션 지구는 다시 한 번 새로운 변화의 기로에 놓여있다. 둘째, 70년대 이후 자본주의의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로스앤젤레스 의류 산업은 신자유주의 체제 속에서의 다양한 이익집단의 연합을 통해 생산 네트워크와 글로벌 가치사슬이 확장 및 재구성되고 있다. 미국과 로스앤젤레스의 의류 산업은 다자간 섬유 협정과 같은 국제 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국제 제도의 변화 및 인건비 상승 등의 이슈로 글로벌 생산 지리가 재편 및 확장되면서,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를 중심으로 중국,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의 범-태평양 글로벌 가치 사슬이 형성 및 작동하고 있다. 특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업 간의 거래 관계에 있어서는 비용뿐만 아니라 각 생산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주체들의 종족성도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로스앤젤레스 의류 산업의 경우 각 생산 단계에서 한국인들 간의 연결성이 강조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한국인 제조업자들이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중남미보다 아시아 시장을 선호하는 것은, 인건비나 공장의 설립 비용, 국가 및 도시 정부의 정책 때문이기도 하지만, 업체들 간의 의사소통 문제, 긴밀한 동족 관계와 같은 사회문화적 특성도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의류 산업의 글로벌화로 인해 도시 정부는 경쟁적 이점을 활용하려는 전략을 수행하면서 패션 지구 내의 공장들을 제거하려고 한다. 로스앤젤레스 시는 도시 계획과 비즈니스 인센티브, 노동 단속을 통해 패션 지구를 프리미엄 주거지 및 디자인 중심지로 재편하려고 하면서, 패션 지구 내 공장들을 ‘위협적인 공간 변수’로 지목한다. 그러나 최저 임금의 상승과 도시 정부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는 여전히 미국 내 의류 제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로스앤젤레스의 의류 산업이 뉴욕과는 달리 빠른 상품 사이클을 기반으로 하는 ‘패스트 패션’ 위주라는 점과, 멕시코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임금이 저렴한 이주자들이 끊임없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넷째,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는 다양한 민족 집단들이 갈등과 경쟁뿐만 아니라 절충과 협상이라는 복잡한 관계가 시공간적 맥락에 따라 얽혀있는 역동적인 관계적 공간이다. 통계 데이터와 현지 인터뷰를 통해 종합해 보았을 때, 지난 40여년 간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민족 집단은 유대인 건물주, 한인 제조업자, 라티노 노동자 등으로 나타났다. 초창기 경제부문에서의 주변화와 종교적 이유 등으로 유대인들이 2차 노동시장인 의류 산업에 집중되어, 패션지구는 유대인 종족 비즈니스이자 엔클레이브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한국인 등 새로운 이주자 집단들이 유입되면서 경쟁과 갈등이 촉발되었고, 한국인들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면서 유대인들의 엔클레이브가 해체되었다. 이후 한국인 제조업자들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패션 지구 안에서 민족 집단들 간의 갈등과 경합, 협상과 절충의 과정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수직적 위계관계에서의 갈등과 경쟁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동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동족 집단 내에서도 출신 지역에 따라 복잡한 경쟁과 갈등이 발생하였으며, 라티노 노동자들의 경우 출신 지역에 따른 갈등뿐만 아니라 젠더에 따른 임금 차이 등으로 인한 갈등도 잠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쟁과 갈등은 서로의 경제적,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절충과 협상의 과정을 통해 적정한 선을 유지하고 있다. 각각의 이주자 집단들은 제한된 사회경제적 자원을 둘러싸고 서로 경쟁하는 관계라는 점에서 대립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정체성을 유지하고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일정 부분 손해를 감내하고서라도, 타 집단과 공간을 상호 공유해나가는 장소 전략을 실천한다. 이 과정에서는 패션 지구와 코리아타운을 기반으로 하는 NGO 단체들이 협상과 절충의 과정을 주도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최근에는 중국인 뉴커머들과 베트남인 이주자들이 패션 지구에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40여 년 동안 이어져 왔던 유대인-한국인-라티노의 삼자 간 관계가 더욱 복잡하게 재편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양대 의류 산업의 중심지임에도 불구하고 뉴욕 의류 지구(garment district)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에 주목하여, 의류 산업의 글로벌화 현상과 이로 인한 국제 이주에 수반되는 관계들을 다양한 스케일에서 접근하여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국가나 전세계 단위, 혹은 미시적인 로컬에만 주목했던 평면적인 연구를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점, 향후 이주자 경제 공간의 역동성을 다루는 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가치 사슬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사회문화적 관계, 특히 종족성(ethnicity)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지닌다. 한편, 한국 사회도 세계 각지로부터 많은 이주자들이 유입되면서 경제 시스템 내 외국인 이주자들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스케일에 걸쳐 작동하는 도시경제공동체 내의 다민족 비즈니스의 역동성과 다양성, 혼성성을 지적한 본 연구는 향후 한국 내 이주자 경제에 대한 논의를 풍부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1 A. Research Backgrounds and Objectives 1 B. Research Area 4 1. Research Area 4 2. Spatial Metaphors surrounding the Term Jobber Market 8 C. Research Methods 17 D. Insider or Outsider: Researchers Positionality 24 E. Chapter Outline 30 Ⅱ. Literature Review 33 A.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dustry 33 1.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dustry 34 2. The Characteristics of U.S. Fashion Industry 38 B. Global Factory: Global Value Chains of Fashion Industry 42 1. Interconnected Economy and Global Value Chains 42 2. Industrial Upgrading in the Apparel Industry 51 3. Global Value Chains of Apparel Industry 56 C. Migration, Diaspora and their Networks 60 1. Globalization, Migration, and Transmigration 60 2. Migration and Labor Market 64 3. Ethnic Relations 69 D. Changing Politics in the Ethnic Enclave 72 1. Relational Turn in Geography and Migration 72 2. Dynamics and Relations in the Ethnic Enclave 77 III. The Historical Geography of Fashion District, L.A. 82 A. The Beginning of California Garment Industry 85 1. American Frontier, and L.A.'s First Garment Factory 85 2. The Rise of Hollywood and the Growth of Made in California 89 3. Los Angeles, the Center of Leisurewear and Sportswear 93 B. The Increase of Korean Jobber in the Fashion District 97 1. Inflow of Korean Jobber after 1965 97 2. Re-migration of Koreans from South America and proliferation of Korean Ethnic Business 100 C. From Garment District to Fashion District 104 1. The Heyday of the Fashion District in 1990s 104 2. Todays Fashion District 109 D. Chapter Conclusion 116 Ⅳ. Made in Pan-Pacific: Global Networks of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119 A. Globalization of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119 1. Apparel Industry under the MFA Quota System 119 2. Vertical Integration of Subcontracting Networks with the Abolition of MFA 123 B. Global Value Chain of the Fashion District, L.A. 134 1. Global Value Chain of th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134 2. Value Chain of the Fashion District 143 C. Widening Global Networks and Its Regional Ramifications 154 1. Dirty, Difficult, Dangerous: Government's Gaze and Plan toward Fashion District 154 2. Changes in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 Globalization of the Apparel Industry 160 3. Los Angeles, the Center of US Apparel Manufacturing 163 D. Chapter Conclusion 167 Ⅴ. The Making of New Relational Geographies in the Fashion District, L.A. 172 A. Changing Ethnic Composition in Los Angeles Fashion Industry 173 1. Changes in Ethnic Composition of Apparel Industry in 1910-2015 173 2.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Major Ethnic Groups in the Apparel Industry 176 B. Decomposition of Jewish Enclave 181 1. Formation of Jewish Enclave and Ethnic Business 181 2. The Inflow of Koreans and the Decline of the Jewish Enclave 186 C. Recomposing the Ethnic Relations 194 1. Contested Ethnic Relations 194 2. Strategic Negotiation and Compromise 213 3. Influx of New Migrant Groups and Reconstitution of the Fashion District, L.A. 222 D. Chapter Conclusion 231 Ⅵ. Conclusion 236 1.Bibliography 241 2.Appendix 260 ABSTRACT(in Korean) 2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63171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Global Socio-economic Networks and Ethnic Relations in the Fashion District, Los Angeles-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로스앤젤레스 패션 지구의 글로벌 사회-경제 네트워크와 민족관계 연구-
dc.format.pagexvii, 267 p.-
dc.contributor.examiner성효현-
dc.contributor.examiner이용균-
dc.contributor.examiner이종원-
dc.contributor.examiner이재열-
dc.contributor.examiner이영민-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