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9 Download: 0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Language Skills, and Affective Aspects

Title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Language Skills, and Affective Aspects
Other Titles
디지털 영어 교재가 한국 EFL 대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어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유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gital English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language skills, and affective aspects and explored these learners’ perceptions of digital textbooks. First, the study examined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EFL learners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with regard to metacognitive, 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use as a result of using English digital textbooks. Second,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glish digital textbooks on EFL learners’ language skills in relation to listening, reading, and vocabulary learning. Third, the study aimed to describe how EFL learners develop their motivation and attitudes as a result of using English digital textbooks. Finally, the study is meant to lend insight into developing English digital textbooks by exploring EFL learners’ perceptions of digital textbooks in a language clas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comprised 2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y were recruited through posts on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s of certain universities. They voluntarily took the intensive English program for their own purposes. Fifteen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used digital English textbooks, while the remaining twelv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used print-based textbooks.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asked to take a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an English test, and a survey before the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digital text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used print-based textbooks in their English clas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training session focusing on the use of built-in tools in their digital textbooks. The students underwent eight different treatments involving three language skills (listening, reading, and vocabulary skills) ba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for both groups regardless of the textbook type. After the treatments, students completed the same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as the pre-questionnaire and an English test in the same format as the pre-test. Additionally, they were given a post-treatment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ccording to the type of textbook used, using the digital or print textbook positively affected learners’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n particular, learners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use of monitor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organization strategies, effort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s a whole (5 items). Students who used the print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lanning strategies, regulation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time and study environment strategi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s a whole (5 items). According to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levels, learners with high-level skills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use of regulation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effort regulation strategie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as a whole (4 items). By contrast, learners with low-level skills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use of planning strategies, monitor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rehearsal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s a whole (6 items). According to learners’ skill levels and the type of textbook used, students in the high-level skills group that students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sing regulating strategies only (1 item), whereas their conterparts who used the print textbooks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ta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only (1 items). Meanwhile, in the low-level skills group, students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sing planning strategies, organization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as a who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s a whole (4 items), whereas their counterparts who used the print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egulation strategies only (1 item). The present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despite its relatively limited sample. This study confirmed that using digital textbooks was effective for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especially for learners in the low- level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group. Such findings could prove usefu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English-language learning context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effects of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on language skills in relation to listening, reading, and vocabulary. Interestingly, regardless of the textbook that they used,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vocabulary section after the intervention but scored lower in the listening and reading sections. Moreover, total scores on the English test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solely due to increased scores in the vocabulary sec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us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in English courses might effectively improve vocabulary skills over even a brief period. Those results broadly support the findings of other studies, including Park and Kim’s (2015), which indicated that using digital textbooks can more effectively improve vocabulary skills than listening or speaking skills. However, in terms of reading skill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do not substantiat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Park & Kim, 2015; Oh, Lee, Park, & Cho, 2014), at least one of which has revealed that using digital textbooks can be effective for reading or that the tablet PC-based instruction improved reading performance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Oh et al., 2014). In contrast to those findings, however, no evidence of improvement in reading skills was detected according to the test scores of students in this study.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effects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on learners’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Interestingly, however, students who used digital textbooks tended to be more motivated than those who used print textbooks. That result supports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at using digital textbooks can effectively motivate students to be attentive to learning (Jang et al., 2016).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students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in general after the intervention. On the contrary, learners who used the print textbook exhibited marginal change. It is worth noting that students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 agreed that they could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or focus more on English courses while using the textbook than they had expected before the intervention. By contrast, students who used the print textbook were less likely to agree that they could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or focus more on English courses while using a print textbook than they had expected prior to the intervention. The presented results concur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use digital textbooks experience greater levels of affective learning; they learn actively and enjoy learning more than students who use print textbooks (Rockinson–Szapkiw, Courduff, Carter, & Bennett, 2013). In language education, students have also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using digital textbooks to learn English in general (Al-Ali & Ahmed, 2015; Oh et al., 2014). Las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learners’ perceptions of using digital English textbooks in English course. Regarding tools for listening, the audio speed control positively affected learners’ perceptions because they could use the tool to suit their individual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By contrast, using the A–B repeat function negatively affected their perceptions, likely because it was not user-friendly. In terms of tools for reading, the reading passage viewer positively affected the learners’ perceptions because they could conveniently view the passage on the same page as related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although the marking tool negatively affected their perceptions. Concerning tools for learning vocabulary, the notetaking tool nega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s of learners, who seemed to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using the marking tool and the notetaking tool. Last, in terms of general functions, the automatic marking tool positively affected learners’ perceptions because it provided them with instant feedback and afforded them an opportunity to try again when they answered questions incorrect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iverse tools for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ing bore a generally strong, positive effect on learners’ perception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ults dur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etter uses of tools for learning English. In particular, technical development is indispensable to decreasing difficulties and increasing the user-friendliness of tools furnished by digital textbooks.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grounded in the above findings. A digital textbook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features that can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es and enable independent learning. Thus, by considering self-regulated learning at the development stage of a digital textbook, it is expected that this effect can be maximized. This study serves to advance understanding of how to develop English digital textbooks. It is feasible and practical to help education leaders and policymakers better understand how digital textbooks impact language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language skills, perceptions, and perceived value of digital textbooks. As well as supporting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can help language educators, administrators, and instructional technologists to create an enhanced and more efficient digital textbook-friendly environment, especially in EFL settings in tertiary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의 학습방법에 비해 다양한 디지털교재가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방법에 맞는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 교재의 발달로 인해 미국 등 해외에서는 대학생이 디지털 교재를 활용하여 학습하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대학교 내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교재를 활용하고 있는 수업이 도입 초기 단계이며, 디지털 교재 활용이 학생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어 교재가 한국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어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디지털 교재는 학습자 자신이 학습을 주도적으로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학습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 향상, 학습의 긍정적 효과, 디지털 교재 사용을 통한 동기 및 태도의 변화, 학습자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디지털 교재를 사용한 대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대한 분석을 위해 초인지학습전략, 인지학습전략, 학습자원관리전략 사용과 관련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둘째, 디지털 교재가 영어 읽기, 쓰기, 어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셋째, 디지털 교재 사용이 대학생들의 동기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영어 수업에서 디지털 교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국에 소재하는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2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영어 집중 수업에 참여하였다. 전체 참여자 중에서 15명은 디지털 교재를 사용하는 실험 집단에 임의로 배정되었고, 나머지 12명의 학생들은 서책형 교재를 사용하도록 통제하였다.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검사 및 영어 시험을 보고, 설문 문항에 답하였으며, 두 집단의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 방법을 적용한 영어 수업(듣기, 쓰기, 어휘 학습)을 8회 참여하였다. 실험은 교재의 유형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자기조절학습검사를 실시하였고, 비슷한 유형의 영어 시험을 실시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결과와 학습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재의 사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인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교재 사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 유형별로 살펴보면, 디지털 교재 사용 집단의 경우에는 점검(monitoring)과 전체 초인지학습전략, 조직화, 노력 조절, 전체 자기조절학습전략 등 5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서책형 교재 사용 집단의 경우에는 계획과 조절(regulating), 전체 초인지학습전략, 학습 시간 및 학습 환경 관리, 전체 자기조절학습전략 등 5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집단별로 살펴보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상위 집단의 경우에는 조절, 전체 초인지학습전략, 노력 조절, 전체 학습자원관리전략 등 4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 낮은 하위 집단의 경우에는 계획, 점검, 전체 초인지학습전략, 시연(rehearsal), 전체 인지학습전략, 전체 자기조절학습전략 등 6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별 집단과 교재 유형별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상위 집단 내에서 디지털 교재 사용 집단과 서책형 교재 사용 집단은 각각 한 가지 항목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반면에, 자기조절학습능력 하위 집단 내에서는 디지털 교재 사용 집단의 경우 4개의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나, 서책형 교재 사용 집단의 경우 단지 한 개의 항목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디지털 교재가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학생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지털 교재의 사용이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디지털 교재 사용이 영어 듣기, 읽기,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듣기 및 읽기 영역의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어휘 영역의 점수가 상승하여 전체 시험 점수가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교재의 사용으로 영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영어 어휘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교재 사용이 학습자들의 동기 및 태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 교재를 사용한 집단의 학생들이 서책형 교재를 사용한 집단의 학생들 보다 더 동기부여가 된 것으로 나타난 점을 미루어 본 결과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관련하여 서책형 교재 사용 집단의 경우에는 실험 전후에 인식의 변화가 거의 없었던 것에 비해 디지털 교재 사용 집단의 경우에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수업의 집중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 수업에서 디지털 교재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영어 듣기와 관련된 디지털 교재에 내재된 도구와 관련하여 음성 파일 속도 조절 기능은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구간 반복 기능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교육, 산업, 정책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첫째, 교육적 시사점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교육과정에 다양한 디지털 교재의 활용이 가능해졌고, 이를 통한 학습과정이 개발되고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재를 활용한 학습 방법과 서책형 교재를 활용한 학습 방법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디지털 교재를 활용한 교육 방식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디지털 교재 사용은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학생들이 디지털 교재를 사용 후 다른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교재를 사용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도 디지털 교재에서 활용한 다양한 도구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는 디지털의 다양한 도구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디지털 교재의 사용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학습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고, 학습과정과 속도를 조절하면서 자신의 인지, 동기 및 행동을 점검하고 조절하고 통제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영어 학습에서 디지털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학습능력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개별화된 학습, 맞춤형 학습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둘째, 산업적 시사점으로는 디지털 교재를 활용한 실증연구를 통해 디지털교재의 장점과 단점을 제시하여 관련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디지털 교재의 활용은 디지털 교재를 개발, 제작하는 산업과 교육산업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살펴보았듯이, 영어 디지털 교재 사용은 듣기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록 영어 듣기 점수가 향상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의 인식 조사 및 의견 수렴 결과 디지털 교재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멀티미디어 자료를 스스로 실행하여 오디오 파일 또는 동영상을 보고, 자신의 듣기 속도에 맞추어 오디오 파일을 듣고, 듣기 스크립트 등을 바로 볼 수 있는 것이 듣기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만, 펜 또는 형광펜 등의 기능과 메모 기능 등은 사용이 불편하여 학습자들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술적인 보완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디지털 교재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발과 학습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교재 사용 집단과 비사용 집단에 대한 실험을 통해 장점과 단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큰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시사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디지털화가 추진되고 있고 이는 교육 영역에서도 추진되고 있다. 디지털 교재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정책입안자(policy maker)와 연구자, 교사 등 현장 전문가(practitioner)에게 관련 정책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이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미래교육으로 가상ㆍ증강현실 도입, 온라인 교육, 원격교육 확대 등을 통해 계속적으로 진화된 교재가 개발 및 도입 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2018년도부터 초ㆍ중등교육과정에서 도입 예정인 영어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및 현장 적용에 본 연구 결과가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교재를 교실 현장에서 활용하는 교사의 경우, 디지털 교재 활용에 관한 교수ㆍ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 부분과 다소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영어 학습에 가장 적합한 교재 개발ㆍ적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논의된 결과가 입법 및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데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영어 영역 중 듣기, 읽기, 어휘 영역에 국한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른 영역에서 본 실험을 실시하였을 경우, 다른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실험 대상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화 시키는 데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실험이 짧은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말하기, 쓰기, 문법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디지털 교재 활용과 표본 수를 확보하고 장기간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