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준-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0:53Z-
dc.date.available2018-03-06T16:30:5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5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437-
dc.description.abstractAmong the existing collection of the 17th century poet Ha-san(何山) Hyo-Gun Choi’s works(崔孝騫, 1608~1680), this paper seeks to focus on the『何山集』, which is compiled by Sam-Yeon(三淵) Chang-Hup Kim(金昌翕, 1653∼1722) and currently hous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his life as a writer and reveal the world of Chinese poetry. The reason for why the compilation of Chang-hup Kim gained attention in the study of Chinese poetry originates from his statu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e led the literary criticism from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and attempted to innovate the pre-existing literary circle. Chang-Hup Kim, who compiled the posthumous work of Hyo-Gun Choi, later clarified his poetic ideals by writing a preface, and he also highly praised Hyo-Gun Choi’s poetry which squared with his ideal. Such facts later served as a crucial momentum for reestablishing his status as a writ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Hyo-Gun Choi's literary world through『何山集』, and find the significance of Hyo-Gun Choi as a poet and his pieces of work with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examining the interface between Chang-Hup Kim's life, poetics and Hyo-Gun Choi's actual creation of work. Preliminary to the main discussion, two people's backgrounds ㅡ who has a 'writer-editor' relationship ㅡ will be inquir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Hyo-Gun Choi's world of Chinese poetry expressed in the『何山集』is restructured upon a personal and literary taste, in this research drew the internal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Chang-Hup Kim's standard of sele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y both shared common grounds in their traces: They both went through tough teenage years, both became a master hand at poetry in their late years, both preferred a life of travel and retirement. Moreover, Chang-Hup Kim brought the concept of 'the universe' and 'reality' and laid stress on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in writing. Such facts, in some parts, squared with the writings of Hyo-Gun Choi who recognized writing as a self-sufficient act and tried to express his real internal aspect through the Chinese poet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share the common points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scious dimension, the characteristics of 『何山集』 can be distinguished into three aspects. First is the poetry that is inspired by travels or daily experiences. Hyo-Gun Choi, who served years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often went to other regions as a part of his work and simultaneously he considered it as a trip. The unique experiences during the travel became a vital source of his writings. Besides, he did not overlook the usual things in nature, but instead, he captured those with his senses and showed a wide range of creation. Second are the pieces that depict his interest in human lives and customs which he saw during his years as a governor. He described the details of the daily life in the rural villages. While most of his pieces were realistic, some of them showed his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 poverty and tolerance of the ordinary people. The last are the works which express his meditative tendency during his later years. This type of writings, which arouse the inside loneliness and ideological sentiment, shows an aspect of self-examination during the stay in his hometown, or consideration on the logic of an object or a phenomenon by observing the external subject. As a result, the world of poetry, which is verified through the『何山集』, responds to the 18th century Chang-Hup Kim’s persuasive discourse and his personal life, in which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of the Hyo-Gun Choi’s Chinese poetry,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script 『何山遺稿』. For this reason, the『何山集』demonstrates the creative sense of Hyo-Gun Choi and his remarkable achievement in literature and allows to view the history of the Chinese poetry tridimensionally. At the same time, as evidence which involves the Chang-Hup Kim’s declaration about the changeableness in literature,『何山集』 has its significance for pointing out the direction where the 18th-century poetry should proceed.;본 연구는 17세기의 시인 何山 崔孝騫(1608~1680)의 현전하는 문집 가운데 三淵 金昌翕(1653∼1722)이 산정한 서울대본『何山集』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작가적 생애를 고구하고 한시 세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효건의 한시 연구에 있어 특별히 김창흡의 산정 사실에 주목하는 이유는, 17세기 말 18세기 초 문학 비평을 주도하며 기성 문단의 혁신을 꾀했던 그의 문학사적 위상에서 비롯한다. 말년에 최효건의 유고를 산정한 김창흡은 이후 서문을 통해 자신의 시학적 지향을 천명하고 그에 부합하는 창작으로서 최효건의 한시를 극찬하였는데, 이러한 사실은 훗날 최효건의 작가적 위상이 재정립되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산정본『何山集』을 통해 최효건의 정선된 작품 세계를 조망하는 동시에 김창흡의 생애와 시론이 최효건의 실제적인 창작과 접맥하는 지점들을 살핌으로써, 시인 최효건과 그의 작품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까지 조명해 보고자 한다. 논의를 위한 예비적 단계로서‘작가-편집자’라는 정치적 관계에 놓인 두 인물들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何山集』내 최효건의 한시 세계는 김창흡의 개인적·문학적 기호에 따라 재구성된 것임을 전제로 하고, 편집자로서 김창흡에게 선별 기준으로 작용했을 내적인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두 사람은 개인적인 행적에 있어 다음과 같은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다. 청년기에 수난을 겪었다는 점, 詩作에 있어서 노년에 가장 완성된 경지를 이루었다는 점, 여행과 은거로 대변되는 삶의 양식을 추구했다는 점이 그것이다. 또한 김창흡은 자신의 시론에서‘天機’와‘眞詩’의 개념을 통해 창작에서의 개성과 독창성을 중시하였는데, 이는 창작을 자족적인 행위로서 인식하고 한시를 통해 진솔한 내면을 표출하고자 했던 최효건의 글쓰기와 맞물리는 지점이 있었다. 이처럼 경험적·의식적 차원에서 두 사람이 공유하고 있는 지점들을 고려할 때『何山集』의 특징적인 국면을 다음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로는 여행이나 일상 체험으로부터 얻은 감회를 시화한 작품군이다. 수십 년간 지방관으로 종사했던 최효건은 타 지역으로의 출사를 겸하여 기행과 탐방을 즐겼는데 이때의 특별한 체험들은 창작의 주요한 자양분이 되었다. 또한 그는 일상에 편재하는 평범한 자연의 대상들을 놓치지 않고 시적인 감각으로 포착함으로써 다채로운 창작의 폭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둘째로는 목민관으로서 인사 풍정에 대한 관심을 담은 작품군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농촌에서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담담하게 드러냄으로써 사실적인 묘사가 두드러지는 작품들이 많은데, 이 가운데 일부에서는 백성들의 가난과 고통에 대한 위정자로서의 책임 의식이 특히 부각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노년기 특유의 관조적 경향이 두드러지는 작품군을 꼽을 수 있다. 내면의 고독과 관념적인 정서가 강하게 환기되는 이러한 유형의 작품군은 고향에 은거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거나, 외부의 대상을 관조하면서 사물이나 현상의 이치를 고찰하는 양상을 띠었다. 결과적으로 산정본『何山集』을 통해 확인되는 최효건의 작품 세계는 산정 이전의 저본이 되는『何山遺稿』와의 대비를 통해, 최효건의 한시 미학이 창신과 개성을 강조했던 18세기 김창흡의 시적 담론 및 그의 개인적인 삶과 호응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에 따라 산정본『何山集』은 최효건의 독창적인 감각과 빼어난 문학적 성취를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로서 17세기 한시사를 더욱 입체적으로 조망하게 해주는 동시에, 문학적 전변에 대한 김창흡의 선언을 수반하는 표증으로서 18세기 한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예비적 고찰 5 A.何山集과 三淵 金昌翕 5 1.何山集刪定에 대한 추론적 전제들 5 2. 三淵 金昌翕의 행적과 詩論 8 B. 何山 崔孝騫의 삶과 문학 16 1. 생애 및 행적 16 2. 문학적 지향과 교유 26 Ⅲ. 산정본何山集에 드러나는 최효건의 시세계 34 A. 여행 및 일상 체험으로부터의 정취 34 1. 기행과 유람의 소회 34 2. 일상 정경의 정감어린 표현 44 B. 인사 풍정에 대한 관심과 목민관의 형상 52 1. 농촌 세태에 대한 고발 의식과 탄식 52 2. 사회적 모순에 대한 책임 의식과 성찰 58 C. 노년기 관조적 자아의 형상 67 1. 고향에서의 은거와 사색 67 2. 사물의 관조와 의론 표출 72 Ⅳ.何山集의 刪定 경향과 문학사적 의의 79 A. 김창흡의 산정 경향과何山集의 특징 79 B. 산정본何山集의 문학사적 의의 82 Ⅴ. 결론 85 참고문헌 87 부록1.何山遺稿(고려대本) 소재 작품 목록 90 부록2.何山集(서울대本) 소재 작품 목록 142 ABSTRACT 1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65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何山 崔孝騫 시문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三淵 金昌翕 산정본『何山集』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oetic literature of Ha-San Hyo-Gun Choi : A focus on Sam-Yeon Chang-Hup Kim's compilation『何山集』-
dc.creator.othernameKim, Ji Hyeon-
dc.format.pageiii, 154 p.-
dc.contributor.examiner최재남-
dc.contributor.examiner조혜란-
dc.contributor.examiner김동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