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황지우 시의 멜랑콜리 연구

Title
황지우 시의 멜랑콜리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Melancholy : In the poem of Ji Woo Hwang's 1980s poets.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본고는 1980년대 발표된 황지우의 시를 감정의 범주로까지 확대시켜 시적 주체의 내면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우선 멜랑콜리의 운동(運動) 가능성을 전제로, 애도 불가능성과 멜랑콜리의 증상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운동은 타자를 전복의 주체로 전환시키는 정치적 원동력이며, 언어의 차원에서 반복의 연쇄작용을 촉구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운동과 멜랑콜리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애도 불가능의 시기로서 1980년대 당시의 사회 현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에 초점을 두어 시세계에 드러난 참극(慘劇)의 양상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에서 황지우의 1980년대 시세계는 시적 형식과 시대적 배경을 탐구하는 데 주요 제재였다. 당대 유행했던 콜라주 기법, 상호텍스성 등과 같은 형식의 실험을 입증하는 데 차용했다. 이처럼 기존 연구는 황지우의 시세계를 ‘해체’의 측면에서 고찰했으며, 그 의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시적 주체의 심층적 영역을 간과했고, 그 결과 연구의 성과가 시의 표면에 머무르는 데 그쳤다. 따라서 기존 연구의 한계로 지목되는 지점을 고려했을 때, 시적 주체의 감정 영역이 본고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고는 멜랑콜리의 세 가지 측면에 대응하는 시적 주체의 양상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한다. 첫 번째 측면은 시대를 바탕으로 둔 멜랑콜리의 ‘운동(運動)성’이다. 운동은 개인으로부터 집단으로 확장되며, 시적 주체에게 영웅 또는 선동자의 역할을 부여한다. 또한 애도가 불가능한 상황으로서 광주항쟁을 제시하고 이 안에서 발견되는 시적 주체의 양상을 탐구한다. 시적 주체의 동일화 욕망이 발현되는 과정과 사회적 멜랑콜리의 개념을 견고하게 만든다. 두 번째로는 멜랑콜리의 증상의 차원이다. 시적 주체에게서 나타나는 편집증적 양상에 주목한다. 멜랑콜리를 분석하는 프로이트의 주요개념인 ‘자기학대’와 ‘죽음충동’그리고 ‘도덕적 마조히즘’등을 통해 논의를 범위를 넓히고자 한다. 특히 유아기적 퇴행으로부터 초래되는 식인행위와 배설행위들을 포착한다. 나아가 멜랑콜리 증상의 전제조건이 되는‘불안’으로 논의를 보충한다. 마지막으로 멜랑콜리의 측면으로서 언어를 다룬다. 황지우의 해체적 시도에 두드러진 양상인 ‘풍자성’에 집중한다. 풍자의 기저에는 파괴적인 상상력을 근간으로 두고 있으며, 고통스러운 시대의 희비극적인 양상이 멜랑콜리와 닮아있음을 발견한다. 또한 대상에 대한 상실감은 이미지 창작의 원동력을 부추기며, 멜랑콜리를 일시적으로 승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순된 이미지의 이해관계가 사회상을 거치면서 반복의 과잉과 사물의 재구성을 통해 발현됨을 포착한다. 이처럼 본고는 황지우의 1980년대 시세계를 기존 연구와 다른 관점에서 파악한다. 황지우의 1980년대 시세계뿐만 아니라 여타 시세계를 연구하는 데 시인의 심층적 측면이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요소라는 점, 심층적 측면을 다루는 데 세밀한 과정이 요구된다는 점을 부각하며, 본 연구 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멜랑콜리에 대해 인식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ner side of the poem’s subject described in Ji Woo Hwang’s series of poems written in the 1980s by interpreting those from the emotional aspect. To begin with, the paper assumes the possibility of the movement of Melancholy, and scopes on the impossibility of condolences and the symptoms of Melancholy. ‘The movement’ is a political driving force that converts the subject into a primary agent of subversion, and it urges the iterative knock-on effect from the lingual dimension. In regard, the paper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nd Melancholy. Also, the paper seeks to focus on the social reality of the 1980s in Korea,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Gwangju in particular, to view the tragic aspect exposed in the poem. The main topic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Ji Woo Hwang's poetic world of the 1980s was to discover the poetic structure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 I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used collage techniques which were fashionable at the time and intertextuality to prove the experimental elements of the poetic structure. Ji Woo Hwang's poems were mostly analyzed from the side of 'dissolution,' and such findings are still valid.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overlooked the depths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refore the study results were only able to deal with the external parts of the poems. Thus,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the pre-existing studies, it is obvious to examine the internal emotion of the poetic subject. This paper discusses aspects of the poem’s subject which square with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Melancholy. First, it is the Melancholic ‘movement’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 movement expands from an individual to a group, and it grants the role of an agitator or a hero to the poem’s subject. Also, the pro-democratic movement in Gwangju will be presented as a situation that lacks condolences, and the subject’s appearance within this situation will be examined. In As the subject’s desire for identification reveals, the concept of Melancholy becomes stronger. Second, it is the symptoms of Melancholy. The paranoid aspect of the poem’s subject will be pointed out. The concepts such as ‘Self-violence,’ ‘Death drive’ and ‘moral masochism,’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Freud to analyze Melancholy, will expand the range of the discussion. In particular, cannibalism and act of excretion which are caused by the regression to early childhood will be mainly discussed. Moreover, ‘anxiety’ which is the precondition of the Melancholic symptoms will supplement the argument. Lastly, language from the Melancholic aspect. ‘Sarcasm’ is inspected as one of the key aspects of Ji Woo Hwang’s deconstructive attempt. On the bottom of sarcasm, there lies a destructive imagination, and through this, the fact that tragicomical aspect of the tolerating era is similar to Melancholy is revealed. Also, a deep sense of loss on another object encourages the power to create images and also plays a role to sublimate Melancholy temporarily. In literature, the conflicting interest between the images go through social aspects and presents itself through overabundance of repetit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matter. Thus, the paper,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analyzes the poetic world of Ji Woo Hwang’s poems of the 1980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t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poet’s internal side shouldn’t be neglected when analyzing not only Ji Woo Hwang’s poem but other poems as well, and the fact that detailed process is required when analyzing the deep internal side. In this regard, the paper hopes that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Melancholy will expand through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