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5 Download: 0

The Human Rights Socialization of North Korea

Title
The Human Rights Socialization of North Korea
Authors
최지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Brendan M. Howe
Abstract
Regarding engagements wit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this thesis examines the failures of two key states, the United States (U.S.)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along with the failures of two aspects of international society, the United Nations (UN) system and international civil society. Furthermore, this thesis seeks for ways to resolve the DPRK’s human rights situation. Joel Wit noted of the policy failures in dealing with the DPRK, “Curr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has reached a dead end” (Wit 2016). By considering past failures and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approaches, which include the coercive approach and the economic inducements/engagements approach, this thesis aims to suggest a new approach for future policies. Most existing research or policies on the DPRK addresses the topic from the approaches of either coercion or inducements/engagement. However, human rights conditions in the DPRK have not improved, and may have worsened, in recent years. This thesis will attempt to examine the past failures and propose a new approach for ushering in positive change to the DPRK. In addressing the past failures of engaging the DPRK to improve human rights, four hypotheses will be tested. Before engaging in this effort, this thesis posits that the DPRK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grave human rights abuses that have been committed in the DPRK for many years. These violations are due to the DPR Korean regime refusing to be a norm-abiding state, along with the DPRK’s overall governance failure. The DPRK has failed with internal governance in terms of protecting and providing for the needs for its citizens. However, all external efforts by key individual states and international societies have been unsuccessful. None of the previous approaches and engagements by the ROK, U.S., the UN and international civil society in dealing with the DPRK has led to behavioral change that might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s. Thus, this thesis posits the following: 1) that the conventional coercive measures have failed to force the government of the DPRK to change its policy-making to be more supportive of human rights; 2) that the conventional incentivization measures, economic inducements and engagements have also failed to force the government of the DPRK to change its policy-making to be more supportive of human rights; 3) that a new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for engaging with the DPRK - one reflecting elements of how the socialization of elites can lead to a change of policy-making to be more supportive of human rights; and 4) that the socialization of the DPR Korean society can give impetus to a change in policy-making to be more supportive of human rights. Although it is the DPRK’s responsibility to look after its citizens, the regime has not been the one to care of the vulnerable population in need in times of crises (such as in the famine of the 1990s) but rather it was the humanitarian aid from other countries and the United Nations that helped sustain the civilian population in the DPRK. Moreover, various policies based on coercive and incentivization measures have also been taken in the past, and these are evaluated as follows. First, policies based on inducements and engagement as advocated in the past, both by the ROK and U.S. governments have been roundly unsuccessful. They have failed, significantly due to the DPRK’s increased hostile provocations; these approaches have helped to neither change the DPRK’s bellicose behaviors nor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human rights conditions of ordinary citizens. Second, coercive approaches with the DPRK have also been unsuccessful. Coercive approaches did not decrease the DPRK’s hostile behavior nor restrain its nuclear ambitions; these approaches may have been counterproductive and left sections of the DPR Korean society more vulnerable. Furthermore, coercive measures and approaches have not forced the DPRK government to improve human rights conditions within the country. The DPRK needs to make significant improvements to its human rights condition and should move forward to become a norm-abiding state. Third, this thesis posits that the socialization approach has the potential to bring about change. Specifically, this thesis proposes the human rights socialization of DPR Korean elites as a means to change and promote human rights conditions in the DPRK. There is some evidence to support this proposal which will be provided in this thesis. However, this thesis finds that, simultaneously, there are shortcomings with regards to top-down socialization prescription. Thus, this thesis also examines the human rights socialization of the DPR Korean citizens (bottom-up socialization) as a means to change and promote human rights conditions in the DPRK. This may bring positive changes to both the DPRK regime and its human rights conditions. As a mechanism, this thesis will elaborate on a further development of the special model that applies to the case of DPRK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its regime.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thesis will mainly use the following theoretical frameworks: 1) coercion, 2) inducements and engagements, and 3) socialization, examining and analyzing how each of these frameworks/approaches applies to the DPRK across a wide range of archival research. Furthermore, two case studies will be provided as supporting evidenc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is proposed new approach. These findings may serve as feasible guidelines in promoting human rights in the DPRK. ;본 논문은 북한 문제에 대한 주요 국가인 미국과 대한민국, 그리고 유엔을 필두로 한 국제사회의 실패 사례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북한 인권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Joel Wit는 현시점까지의 실패한 대북정책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대북정책들은 막다른 길에 다다랐다.”라고 말하였다 (Wit 2016). 북한 문제들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방식 즉, 무력·협박에 의한 강제적 방법 (Coercive approach)와 권유, 유인책·관계지향 기반의 참여적 방법 (Inducements/Engagement approach)의 실패와 한계점에 대해 분석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현재까지도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부분의 연구와 정책들이 전통적 접근방식들에 치우쳐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인권문제의 현실은 크게 나아진 부분이 없으며, 최근에 더욱 악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과거의 실패들을 연구 및 분석하고, 북한의 좋은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새로운 대북접근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네 개의 가설들을 증명해 보았다. 이에 앞서 본 논문은 북한 정권에 의해 지속되고 있는 심각한 북한 인권 침해·남용·학대의 문제들에 대한 책임이 북한 정권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위법적인 인권침해 문제들은 북한 정권이 지금까지 국제규범 준수를 거부하고 북한 정권 내부의 실패한 ‘국가경영’ (거버넌스)의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북한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내부적 국가경영에 실패함으로써 국민들을 보호하고 그들에게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해주는 것에 대한 국가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으며, 결과적인 실패를 초래했다. 북한 인권문제 개선을 위한 외부적 노력 또한 지금까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현재까지의 한국, 미국, 유엔 그리고 국제시민사회의 북한 문제에 대한 모든 접근법들은 북한 문제해결을 위한 북한의 태도변화를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1) 전통적 접근방법인 무력·협박에 의한 강제적 접근방법은 (Coercive approach) 북한 정권의 정책이 인권문제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변화시키는 데 실패했다; 2) 또 다른 전통적 접근방법 중 하나인 경제적 이익 제공을 통한 권유, 유인책·관계지향, 참여적 접근방법들도 (Economic Inducements/Engagement) 북한 정권의 정책이 인권문제해결과 인권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변화시키는 데 실패했다. 3) 따라서, 새로운 대북접근방법이 필요하고, 본 논문은 북한 엘리트 지도층의 사회화 접근방법이 북한 정권과 정책으로 하여금 인권문제해결과 인권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변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4) 또한, 북한 사회 즉, 일반 주민의 사회화도 정책적 측면에서 인권문제 해결과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북한은 그들의 국민들과 특히,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것이 의무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북한 정권은 국가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였고, 유엔과 다른 국가들이 북한 주민을 각종 재난과 재해에서 구조하고 지원하는 일을 대신해오고 있다. 다른 주요 국가들은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위해 전통적 접근방법들을 활용해 왔는데, 결과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두 주요 국가인 한국과 미국의 경제적 이익 제공을 통한 권유, 유인책·관계, 참여적 (Economic Inducements/Engagement) 접근 방법의 대북정책들은 결과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북한에 많은 양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해주는 동안 북한은 이익 제공 국가들에 대한 적대적인 도발을 더 많이 자행했다는 점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정책들은 북한의 적대적인 태도를 변화시키지 못했고, 북한 주민들의 인권증진과 개선에도 기여하지 못했다. 두 번째로, 무력·협박등에 의한 강제적 접근방식들도 북한의 적대적인 태도를 변화시키거나 북한의 핵 개발도 억제하지 못했다. 특히, 북한 정권만을 타깃 해야 했을 대북제재는 오히려 북한 정권이 아닌 북한 주민들과 취약계층들에게 피해를 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더 나아가 북한 주민들의 인권증진과 개선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도 주지 못했다. 북한은 국민들의 인권문제 개선과 향상을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하며, 국제적 규범을 준수하는 ‘규범준수 국가’를 지향해야 한다. 셋째로, 본 논문은 북한 지도층의 사회화가 북한의 변화를 이끌 가능성이 큼을 제안하고 주장하는 바이며, 제안을 뒷받침하기 위한 증거들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북한지도층의 인권 사회화만으로는 더 점진적인 변화가 오는데 부족함이 있다고 판단하여, 북한 내부주민들의 인권사회화도 함께 제안한다. 위에서 아래로, 아래서부터 위로의 인권사회화가 함께 작용하여 그것이 곧 북한 내 좋은 변화들을 이끌어 올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북한과 북한 정권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북한은 인권사회화의 본래 모델이 아닌 다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한에만 적용할 수 있는 인권 사회화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틀을 통한, 1) Coercion 2) Inducements/Engagement 3) Socialization 연구·분석이며, 각각의 이론들이 북한에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 방대한 자료를 통해 연구·분석해 본다. 또한, 본 논문이 제안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뒷받침하기 위한 두 개의 사례 연구들도 포함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가 북한 인권문제의 해결과 증진을 위한 더 실현 가능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