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7 Download: 0

Social Investors of Philanthrocapitalism

Title
Social Investors of Philanthrocapitalism
Authors
이유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우원석
Abstract
박애자본주의 (Philanthrocapitalism)라는 개념은 2006 년 이코노미스트 잡지에 처음 거론되었다. 이는 자선기부를 통해 사회적 혜택과 재정적 이익을 동시 추구하는 성공적인 자선 프로젝트의 최신 경향을 설명한다. 박애자본주의 하에 기부자는 기부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본적 자선활동에 만족하지 않고 사회 영향 프로젝트 (Social Impact Project)에 전략적인 자본주의적 논리의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투자자는 사회문제 해결 외에도 사회적 투자에 대한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도 하며 그러한 이익창출을 위해 사회적 사업의 최선의 결과를 달성하고자 사업의 효율성과 투명성 증대노력 등의 다양한 노력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본주의적 동기 기반의 접근방식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은 박애자본주의가 빈곤, 기아 및 질병 퇴치를 위한 새로운 자금, 에너지 및 혁신의 원천을 열어 줄 혁신적 접근이라고 평한다. 본 논문은 박애자본주의 기반의 사회 영향 프로젝트의 성과를 최적화 하기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개인, 정부, 기업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투자자 (Social Investor)를 연구한다. 사회적 투자 (Social Investment)의 다양한 방법 중 사회성과연계채권 (SIB), 사회적책임 (CSR), 공적개발원조 (ODA)을 중점으로 국내 사회적 투자자(개인)의 사회성과연계채권 투자 관심도와 사회적 투자자(기업, 정부)가 사회적 투자를 통해 얻는 경제적 이익을 정량분석 한다. 본 논문은 크게 두개의 주요파트로 나뉜다. 먼저 첫 파트에서는 한국의 금융 시장에서 사회성과연계채권의 가능성을 평가한다. 사회성과연계채권은 복지사업 등 사회문제 해결 사업에 공공재원을 투입하기 위해 최근 도입된 혁신적 사회적 투자 방안이다. 사회성과연계채권은 2010년 영국에서 최초 도입된 이래 개발 초기단계에 있으며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회성과연계채권에 관한 기존 문헌의 대부분은 소수의 사례연구에 국한 되어있다. 본 연구는 최초로 사회성과연계채권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을 평가하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에서 성공가능한 사회성과연계채권 구조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한국인 대상 설문을 통해 개개인별 리스크 성향, 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 사회적 영향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도, 수용가능 리스크 및 기대수익 등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사회성과연계채권의 리스크와 기대수익 간의 적절한 균형 제공 시 국내금융시장에서 사회성과연계채권의 수용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성과연계채권이 한국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 옵션이 될 수 있다는 분석결과를 낸다. 본 논문의 두번째 파트에서는 한국의 CSR 및 ODA에 대한 사회적 투자자 (기업 및 정부)의 경제적 이익을 통계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CSR 및 ODA관련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CSR 경제이익 분석에는 총 405개 국내회사, ODA 분석에는 총 328개 원조대상국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기존 문헌대비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는 명확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관련 CSR 변수가 기업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분석하였다. 또한 ODA를 통한 사회적 투자자 입장의 경제적 이익분석은 기존 문헌에서 극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사회적 투자자의 경제적 이익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CSR을 통해 기업들은 수익률 및 수출의 증가 그리고 부채비용의 감소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한국 정부는 ODA를 통해 원조대상국에 수출 및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를 증대할 수 있었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ODA 연구에 있어 본 연구의 방향성은 급진적이라 고려되나 본 연구의 목표는 사회적 투자자들에게 사회적 투자의 효율성을 실 과거 데이터 분석에 의한 경제적 이익의 증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사회적 투자자들에게 사회적 투자금액의 확대의 이유와 명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박애자본주의 기반의 사회적 투자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동시 각종 사회적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This dissertation aims to present ideas for optimizing the outcome of philanthrocapitalism-based social impact project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social investors of philanthrocapitalism; individuals,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This dissertation studies various methods of social fund investments; social impact bond (“SIB”),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by undertaking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social investors’ SIB investment receptivity, and social investors’ economic benefit from CSR and ODA. The first part of the paper aim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SIB in Korea’s financial market. SIB is a recently introduced innovation that is used to finance social projects hitherto funded by the public coffers. It is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since its launch in 2010, and as a result academic literature on the topic is limited. Much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SIB provide prescriptive suggestions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few case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of being the first approach in literature to critically assess the receptivity of the investing public to using SIB as a debt investment instrument. This study conducts a quantitative survey of the Korean public above the age of twenty and analyzes their attitudes toward economic risk, interest in social issues, and risk and return criteria specific to social impact projects. The study determine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can attract investor interest in SIB. This study finds that assured of an adequate balance between risk and return, and a reliable evidence of social impact potential, SIB can be an attractive investment option for investors in Korea.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nvestigates economic benefit to social investors/donors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of CSR and ODA investments in case of Korea. For the data, this study uses 1) KEJI Index for the CSR performance, corporates’ financial data from FnGuide to analyze the 405 Korean companies from the years of 2004 to 2016, and 2) OECD Statistics for the ODA performance of Korea and World Bank Development Indicators for economy related variables from the years of 2003 to 2016 in relations with the 328 aid recipient countries of Korea. This study fills gaps in the current literatures with new empirical data and analysis with new idea for variables such as environmental CSR. This study adds value especially as there is limited analysis on economic impact of CSR and ODA on social investors in case of Korea particularly. The results of the economic benefit analysis suggest that there are positive economic impacts to social investors in case of Korea via increased sales growth, export, and reduced debt cost from CSR, and export and FDI volume increase from ODA. This dissertation posit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hilanthrocapitalism in Korea with evidences to attract more social investors that seek maximization of their social invest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