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베르나르 브네(Bernar Venet)의 작품에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

Title
베르나르 브네(Bernar Venet)의 작품에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
Other Titles
The Study of Mathematical Concepts in Bernar Venet’s Works
Authors
이유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베르나르 브네(Bernar Venet, 1941∼)의 작업에서 여러 양상으로 구현되는 수학적 개념들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브네는 작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하던 1960년대 초반부터 반(反)예술적 태도가 반영된 작업을 통해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에꼴 드 니스(École de Nice)의 여러 미술가들과의 교우는 브네에게 있어 물질성에 대한 관심과 미술 외적인 맥락의 도입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 뉴욕으로 이주한 후에 그는 점차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수학적 요소들을 작품 속에 반영해왔는데, 이러한 작업들은 개념미술가로서의 브네를 알리는 특징이 되어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주재료 및 형태의 다양한 변화는 브네의 작품에 대한 일관된 해석을 어렵게 만드는 측면이 있었다. 지금까지 그의 작업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단의성’이라는 수학적 개념에 초점을 맞추거나, 1979년 이후 부각된 <비결정적인 선> 시리즈와 <방정식 회화>들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들로 나뉘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개념미술가로서 브네가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던 반(反)형식주의적인 태도는 일견 추상적이고 미학적인 양식으로 변모된 것처럼 보이게 되었다. 특히 <비결정적인 선>에 대한 논의는 철 조각으로서의 물질성과 그로 인한 조형적인 가치에 한정되었을 뿐, 그 근저에 있는 수학적 개념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업의 골간을 이루는 수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의 다양한 변화들을 일관된 맥락에서 살펴보자 하였다. 브네가 궁극적으로 추구한 미학적 목표는 미술작품이 하나의 수단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 작품 자체의 특성을 드러내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그는 작가의 의도를 최대한 배제한 채, 물질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초기부터 카드보드지, 타르, 석탄, 나무, 철 등의 특성을 탐색하는 한편, 이러한 물성이 작가의 의도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브네의 작품 안에는 예측 불가능하고 고정되지 않는 우연의 요소가 개입되었다. 한편, 작품의 객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브네는 점차 작가의 손을 거치지 않은 개념적 작업들을 시도하였다. 수학과 과학이론을 본격적으로 작품에 도입하게 된 것 역시 그들 학문이 가지는 논리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이었다. 특히 방정식, 도표, 수학 기호 등은 그의 작업에 있어서 주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이들은 수학 특유의 연역적 특성을 지님으로써 대상 자체를 지칭하는 단의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브네는 수학 그래프와 도표들을 그대로 옮겨 그리거나, 이들의 확대 사진을 전시하는 등 손 작업을 줄여나가면서 이론적 근거를 함께 탐구하였다. <각들과 호들> 시리즈를 통해 작업을 재개한 이후에는 기하학적 형상을 강조함으로써 조형적 형식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단순화된 형태의 각, 호, 선 등은 수학적 개념을 시각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특히 나무 부조에서 입체로 나아간 ‘선’은 1980년대 이후 브네의 대표적인 작업이 되었다. 브네는 ‘불완전성의 정리’와 같은 현대 수학 이론에서 모티프를 얻어 작가의 의도와 물질성, 혹은 논리와 미학, 질서와 무질서처럼 대립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온 요소들이 작품 안에서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게 했다. 이러한 특징은 수학공식과 도표들이 강렬한 색채의 평면 위에서 표류하는 듯한 그림을 통해 더욱 두드러졌다. 수학 공식들이 함축한 자기지시적인 특징이 전면에 드러나면서도, 동시에 그 의미가 읽히지 못하도록 탈맥락화하거나 중첩시킴으로써 미학적 요소가 부각되도록 했다. 그 결과 그의 회화 속 수학공식들은 단의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다층적인 의미를 함축한 조형언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브네는 수학적 개념을 작품에 도입함으로써 전통 미술의 재현성과 모더니즘의 추상성을 비판하고 논리와 미학이 양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왔다. 그의 작업은 현대미술의 다양성에 기여하고 미술의 경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학적 개념을 축으로 하여 브네의 작업을 일관된 맥락 위에서 살펴보고, 그 미술사적 의의를 짚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on the mathematical concepts Bernar Venet (1941- ) has realized in his works. Venet became known for his works that reflect his anti-artistic demeanor in the early 1960s when he began his artistic career. His friendship with many artists in Ecole de Nice set the stage for his interest in corporeality and embracing external contexts of art. After moving to New York, he reflected gradually more on mathematical elements as a way of realizing his own ideas. This is a distinct feature of his conceptual art. And yet, his works’ seminal materials and forms’ various transformations that appeared in this process have an aspect that makes it hard to interpret his works consistently. His works have so far been largely discussed in two aspects: some focused primarily on a mathematical concept of “monosemy” and others studied modeling qualities in his serialized work Indeterminate Line and Equation Painting since 1979. An anti-formalistic attitude he has constantly emphasized as a conceptual artist seems transformed into some abstract, aesthetic style. Discussions on his series Indeterminate Line were not enough to account for any association with mathematical concepts the series was based on as they were limited merely to corporeality as a steel sculpture and its modeling value. Accordingly,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diverse changes in his works in a consistent context, focusing primarily on mathematical concepts that form the framework of his art. An aesthetic goal Venet has ultimately pursued was to unmask the hallmarks of an artwork itself, going beyond seeing a work of art as a means. He tried to put stress on corporeality, excluding his intent as much as possible. Since his early stage, he explored cardboard, tar, coal, wood, and steel whose material qualities were not controlled by his intention. As a result, his works have involved unpredictable, unfixed chance elements. Venet made forays into executing conceptual work so as to lay stress on his work’s objectivity. He embraced mathematical, scientific theories in earnest in consideration of their logical characteristics. Equations, graphs, and mathematical symbols were particularly adopted for the main concept of his work. They could gain monosemy referring to an object itself with a deductive trait peculiar to mathematics. Venet copied mathematical graphs and diagrams as they are or reduced handwork with enlarged photographs. Afterwards, he explored the theatrical basis on monosemy after giving up handwork in 1971. After resuming his work with the series Angles and Arcs, he tended to underscore geometric form. He used simplified angles, arcs and lines for a visual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Undetermined Line whose pieces were initially reliefs but later produced as three dimensional works was a showpiece of Venet’s work since the 1980s. Inspired by modern mathematical theories like Incompleteness Theorems, he brought something confrontational such as artistic intention and corporeality, logic and aesthetics and order and disorder into complementary rel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