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무라카미 다카시(村上隆)의 작업에 나타난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의 재구축

Title
무라카미 다카시(村上隆)의 작업에 나타난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의 재구축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Japan’s Cultural Identity Represented in Takashi Murakami’s Artistic Activities
Authors
손현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Japan’s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artistic activities of Takashi Murakami as an artist, curator and arts entrepreneur. When Murakami began his artistic activities in the 1990s, Japan’s pride as an economic power had been shaken after the burst of its bubble economy. Japan comprehensively underwent a crisis in its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that had led Japan after the war in this period referred to as “The Lost Decade”. This crisis made the Japanese people look back on their entire social systems primarily designed by the United States after the war. A movement to overcome this crisi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Japan’s identity occurred in each field of Japanese society and Murakami also seriously considered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art while making diverse forays into criticizing Japan’s preexisting art system. Murakami was credited as one of the rising stars in the Japanese art scene when his art was introduced in the March 1992 issue of『Bijutsu Techo(美術手帖)』, a Japanese monthly art magazine as part of Japanese Neo Pop alongside other artistic of his time whose art was predicted upon Otaku culture, a subculture of people with obsessive interests. However, his one-year study in the United States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erceive the status of contemporary Japanese art, a non-mainstream art in the global art scene, and explore how to survive in the world with his japanese cultural identity. Afterwards, he engaged in curating exhibitions particularly including the ‘Superflat Triology’(2000-2005) and was involved in multifarious commercial activities including his operation of Kaikaikiki, a giant company handling the production and promotion of Murakami’s artworks and projects. Such endeavors make him distinguishable from other Japanese Neo Pop Artists. First of all, his curating of the Superflat Triology that introduced the hallmarks of his artistic endeavors and projects and the connection of their birth to the Western art world was first step to reshape Japan’s cultural identity. Through《Super Flat》(2000), Murakami saw an absence of hierarchy between highbrow art and popular culture and two-dimensional composition as the underlying concept of Superflat and intrinsic feature of Japanese art. In the exhibitions such as 《Coloriage》 (2002) and《Little Boy》(2005), he pointed out that the Meiji Restoration and Japan’s defeat in the Asian, Pacific War were the causes of contemporary Japanese art's loss of identity, prov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events and Japan’s subculture through his works that go beyond times and genres. He also aggressively engaged in commercial activities through Kaikai kiki, an art-related company Murakami himself founded. This was his attempt to gain a spring board for contemporary Japanese art through the creation of a Japanese art business model. He invested his wealth and the reputation he gained through his constant collaboration with other giant corporations into the formation of a system to renovate closed Japanese contemporary art. His noteworthy activities include the organization of an art fair and competition called Geisai(芸祭) and the oper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called Chamber(ちゃんば). Through these programs he fostered young Japanese artists as a force of innovation in Japanese art. He also challenged the Western art scene by passing his knowhow for success in the global art market to those artists. Murakami also concretely portrayed Japan’s cultural identity through his artistic activities based on Japanese subculture and traditional painting. He made efforts to encapsulate their own identity in contrast with Modernism in order to advance to the Western art scene after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2011 earthquake off the Pacific coast of Tohoku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identity he had pursued. He intended to present the identity Japanese people earnestly had wanted through <500 Arhats>(2012) that mobilized all the achievements of his knowhow and research by the collective production system. As such, Murakami and his endeavors are of significance art historically in that he expanded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rt and established the new image of artists by aggressively realizing his ideas and assertions not only through the production of artworks but also through exhibition curating and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his art and endeavors mainly focused on why he employed the images and traits of subculture in his work and his active commercial enterprises. They did not explore any association between his diverse activities and his artistic intents. Accordingl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at a wide range of his activities were part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identity crisis Japanese society faced in the 1990s by reestablishing its cultural identity through his diverse activities. This denotes his will to overcome Japanese society’s inferiority complex about Western society and to heal its trauma. ;본 논문은 무라카미 다카시(村上隆, 1962~ )의 작업에 나타난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의 재구축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그가 현대미술작가로 활동을 개시한 1990년대는 거품 경제의 붕괴와 더불어 경제대국 일본의 자부심이 흔들리기 시작한 시기였다. ‘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는 이 시기는 단순한 경제 불황 이상의 전후 일본을 이끌어왔던 정치·사회 제도의 총체적 위기였고, 이는 미국이 주도적으로 설계한 전후 일본 사회 전반을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사회 각 영역에서 일본적 정체성의 재구축을 통해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무라카미 역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일본의 기성 미술 체제를 비판하고 일본현대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심했다. 무라카미는 1992년 3월호『미술수첩(美術手帖)』에 일본의 대표적 서브컬처인 ‘오타쿠(オタク)’ 문화를 토대로 작업을 하는 동세대 작가들과 함께 ‘일본 네오 팝(Japanese Neo Pop)’이라는 미술 동향으로 소개되며, 일본미술계의 유망주로 떠올랐다. 하지만 이후 1년간의 미국 유학은 세계미술계에서의 비주류인 일본현대미술의 위치를 자각하고, 그 속에서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었다. 이후 그는 작품 활동 외에 ‘슈퍼플랫 삼부작(Superflat Triology)’(2000~2005)이라는 전시 기획과 거대 예술기업 ‘카이카이키키(カイカイキキ)’의 수장으로서 다양한 상업적 활동 등을 전개하였고, 이러한 행보들은 다른 일본 네오 팝 작가들과 구분된다. 우선, 서구미술계에 자신이 이끌고 있는 예술동향의 특징과 탄생 배경을 소개하는 슈퍼플랫 삼부작의 전시 기획은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구축하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라카미는《슈퍼 플랫(Super Flat)》전(2000)에서 고급미술과 대중문화 사이의 위계질서의 부재와 평면적인 화면 구성을 슈퍼플랫의 기본 개념으로 도출하고, 이를 일본미술의 고유한 특징으로 보았다. 반면 그는《콜로리아쥬(Coloriage)》전(2002)과《리틀 보이(Little Boy)》전(2005)에서 메이지 유신과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패배를 일본현대미술이 정체성을 상실하게 된 원인으로 지목하며, 이들 사건과 일본의 서브컬처와의 연관성을 시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작품들을 통해 입증했다. 한편 무라카미는 자신이 세운 예술기업인 카이카이키키(有限会社 カイカイキキ)를 통해 상업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는데, 이는 일본식 아트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을 통해 일본현대미술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과정이었다. 그는 거대 자본과의 끊임없는 협업을 통해 획득한 부과 명성을 폐쇄적인 일본 현대미술계를 변혁시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투입하였다. 공모전과 아트 페어가 결합된 ‘게이사이(芸祭)’와 교육 프로그램인 ‘챤바(ちゃんば)’의 실행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이를 통해 세계미술시장에서의 자신의 성공 노하우를 일본의 젊은 아티스트들에게 전수함으로써, 이들을 일본미술계를 개혁하고 서구미술계에 대항할 세력으로 키워냈다. 또한 무라카미는 일본의 서브컬처와 전통 회화를 토대로 한 작품 활동을 통해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려냈다. 미국 유학 후, 그는 서구미술계로의 진출을 목표로, 그들의 모더니즘에 대비되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작품에 담고자 노력해왔다. 하지만 동일본 대지진(2011)은 자신이 추구하는 정체성의 모습에 대해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그동안 쌓아 올린 집단제작체계의 노하우와 연구의 성과물을 총동원한 <오백나한도>(2012)를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일본인이 절실히 원하는 정체성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와 같이 무라카미는 작품 제작뿐만 아니라 전시 기획과 상업적 활동 등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적극적으로 관철시킴으로써, 동시대 미술 작업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새로운 예술가상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그가 서브컬처의 이미지와 속성을 작업의 주요 수단으로 삼은 이유를 분석하거나 그의 왕성한 상업적 활동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그의 다양한 활동들 사이의 연관성이나 작가의 의도를 찾아내려는 시도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라카미의 다양한 활동들이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구축함으로써 1990년대 이후 일본 사회가 직면한 정체성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자 한 일련의 과정이었음을 밝히고, 그 저변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서구 근대에 대한 열등감을 극복하고 일본 사회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자 하는 무라카미의 의지를 읽어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