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기혼여성의 자기애적 완벽주의에 대한 목회상담적 연구

Title
기혼여성의 자기애적 완벽주의에 대한 목회상담적 연구
Authors
김지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정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ological, psychological and religious causes of the modern married women's narcissistic perfect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Self Psychology, and to prove that the images of Jesus as a mother, a female liberator and Christa are capable of functioning as therapeutic resources. According to Self Psychology, the narcissistic perfectionism is closely related to narcissistic desires that seek to preserve absolute perfection. Kohut considers that the self develops through the empathic responses of mirroring, idealistic, twinship selfobject. Narcissistic perfectionism, however, refers to the state of pursuing the primitive perfection in which the development of the self does not mature as a result of lack of the selfobject. Thus, the narcissistic perfectionism of the modern married women signifies that women's selfobject experience is not sufficient. It is because lots of women today hold down a job and run a household at the same time. Modern women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o have images of not noly the traditional housewife, but also the independent and talented modern women. Under these circumstances, women are exposed to sense of deprivation, seemingly lacking in social expectations and demands. In other words, modern married women are experiencing their lack of self esteem and tend to devote themselves to perfect performance to cover their lack of self-defense. Compressional parenting and superwoman complex are examples of such narcissistic perfectionist tendencies. Religion also has a factor in instigating of women's narcissistic perfectionism. First of all, religion goes along with paternalism, regarding it as the universal truth in the Bible. This recogni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men's devotion, considering women as patriarchal family's narcissistic extensions. Consequently, women in religion tend to devote themselves to practicing religious roles by internalizing the gender stereotype and beliefs of the religious system. Furthermore, the discipline of sin is also a factor in encouraging women to degrade their sense of self. In other words, excessive emphasis on the sin can lead to inappropriate sense of self rather than to experience the grace of forgiveness. In particular, the views of traditional theology involving original Adam and woman tend to lead to female degradation and feminine hat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 modern married women who experience the narcissistic perfectionism. In this regard, the study refers to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reatment of the narcissistic perfectionism in Self psychology. Self psychology suggests that a therapist should reactivate the self-development process by playing a role as a selfobject. Based on the insights of these Self psycholog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ries to organize new images of Jesus as the women's therapeutic self object. The reason why newly constructing images of Jesus is important is that the paternalism of traditional theology tends to worsen the women's narcissistic wounds. Therefore, one should seek for new images of Jesus that women can identify and idealize. In other words, the images of mother, feminist and Christa Jesus can help the married women who experience the narcissistic perfectionism by functioning as women's selfobject. Also, this images can serve as a role model for a pastoral counselor and a religious community which empathizese with women's suffering.;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여성해방자, 크리스타로서의 예수 이미지가 기혼여성이 경험하는 자기애적 완벽주의를 치료하는 목회상담적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려는 데 있다. 자기심리학에 의하면 자기애적 완벽주의는 본래적 완벽을 보존하고자 하는 자기애적인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코헛은 자기애적 욕구가 거울, 이상화, 쌍둥이 자기대상을 통해 적절히 충족됨에 따라 자기애의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자기애적 완벽주의는 자기애의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초적인 완벽을 추구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따라서 기혼여성이 자기애적 완벽주의를 경험한다는 것은 여성의 자기대상 경험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것은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기혼여성들이 늘어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여성들은 가정을 잘 돌보는 전통적인 가정주부상과 독립적이고 능력 있는 여성상을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여성들은 사회의 기대와 요구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은 결핍감에 노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기혼여성들은 자기의 결핍을 경험하고 있으며, 부족한 자기감을 가리기 위해 역할수행에 몰두하는 자기애적 완벽주의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육아강박, 수퍼우먼 콤플렉스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종교적 요인도 기독여성의 자기애적 완벽주의를 부추긴다. 우선, 종교는 가부장주의에 대한 자각과 성찰로 나아가기보다, 가부장주의가 성서에 포함되어 있는 보편적인 진리인 것처럼 동조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사회적인 요인과 마찬가지로 여성을 가족과 남성의 자기애적 연장선으로 여김으로써, 여성의 헌신적인 역할수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에 따라 기독여성들은 여성차별적인 가치규범과 신념체계를 내면화함으로써, 종교적인 역할수행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의 죄의 교리는 기독여성의 자기감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즉, 죄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죄사함의 은혜로 나아가기보다 부적절한 자기감에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원죄와 여성을 관련짓는 전통신학의 관점은 여성비하와 여성혐오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기독교 내의 기혼여성의 자기애적 완벽주의에 대한 목회상담학적인 치료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애적 완벽주의의 치료방안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참고하였다. 자기심리학에서는 자기애적 완벽주의를 치료하기 위해 치료자가 자기대상의 역할을 함으로써 자기애의 발달과정을 재기시켜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자기심리학의 통찰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새로운 예수 이미지를 기독여성의 치료적 자기대상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예수의 이미지를 목회상담학적으로 새롭게 구성한 이유는 전통신학에 포함되어 있는 가부장주의가 은연중에 여성의 자기애적 상처를 심화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여성이 공감할 수 있고, 이상화할 수 있으며,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예수의 이미지를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즉, 여성을 포용할 수 있는 어머니, 여성해방자, 크리스타라는 예수의 이미지는 자기애적 완벽주의를 경험하는 기혼여성의 자기대상으로 기능함으로써 기독여성의 자기감 회복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이 예수 이미지는 목회상담가와 신앙공동체의 역할모델이 되어줌으로써 여성의 고통에 공감하고 동행하는 작은 예수의 역할을 감당하게 도울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