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1 Download: 0

과테말라 이중언어·상호문화 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Title
과테말라 이중언어·상호문화 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Bilingu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uatemala
Authors
전재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영빈
Abstract
The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homogeneous society, is now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increasing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Since 2006,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measures to support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ing on marriage migrants,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ver time, this expanded into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active language education systems are provided in Korea because language plays a certain role of capital that allows the 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expand their opportunities of education and career in one society. Language therefore, contributes to both individuals and the society as a whole. Guatemala is a society where Europeans migrated to the area where the Native Americans lived before the modern times, and Spanish was established as the main language among the European languages ​​due to the Colonial Rule. Yet, still in the remote areas, Aboriginal people use indigenous languages ​​instead of Spanish. In Guatemala, where the proportion of Aboriginal people is high, bilingual education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the cultural, historical and socioeconomic levels. In this study, by looking into the 'Guatemala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prepared by the Guatemalan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s a bilingual education model based on mutual culturalism with tangible results, this study aimed to find some helpful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bilingual policy formulation. To achieve the study’s goal,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bilingual education are reviewed first in Part Ⅱ. The meaning of bilingual education in both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re explained, and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Guatemala bilingual cases that are different from cases of Canada, Ireland and Germany are considered. In Part Ⅲ,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uatemalan bilingual education policy and the language diversity of Guatemala are described. There is also an explanation about how Guatemala developed from a compulsive assimilation policy 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based on interculturalism. Also, in the present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policy, the study also examines various limitations and problems regarding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Part VI, Guatemala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s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conte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evalua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descriptions about each are written accordingly. In Part Ⅴ, there are comprehensive descriptions on how the bilateral cultural policy of Guatemala shows tangible effects. Considering Guatemala’s case, implications on the bilateral cultural policy in Korea is divided into six parts. The 'Guatemala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many aspects, but provides an opportunity to view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 from various angles. Furthermore, hopefully, the example of bilingu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uatemala that is targeted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utual culturalism in Korea in the future. ;동질적인 사회로 여겨져 왔던 한국 사회는 오늘날 증가하는 노동이주와 결혼이주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한국 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 주도로 결혼이주민 중심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마련해왔다. 이는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들을 위한 이중언어교육으로 확대 되었다. 이처럼 한국에서 언어교육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은 그 언어가 그것을 구사하는 이주민과 그 자녀들로 하여금 한 사회에서의 교육과 진로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일종의 자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궁극적으로 개인과 사회 발전 양자 모두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한국에서도 적용된 것이다. 과테말라는 이미 근대 이전에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이 살고 있던 지역에 유럽인들이 이주하여 오랫동안 식민 지배를 통하여 유럽 언어 중에서도 스페인어가 자리 잡은 사회이다. 그러나 여전히 오지에서는 원주민들이 스페인어 대신에 원주민 고유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원주민의 구성 비율이 높은 과테말라에서는 문화 역사적 차원과 사회 경제적 차원에서 현재 이중언어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이중언어교육 모형을 개발하여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는 과테말라 교육부가 마련한 ‘과테말라 이중언어 상호문화 교육모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의 이중언어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먼저 이중언어교육의 정의와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중언어교육이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각각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 캐나다, 아일랜드, 독일 등의 사례와 구별되는 과테말라의 사례를 정리한 후 한국의 이중언어교육 실태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과테말라 이중언어교육 정책의 역사적 배경과 과테말라의 언어 다양성을 알아보고 기존의 강제적인 동화정책에서 어떻게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이중언어교육 정책으로 발전하였는지를 기술하였다. 이중언어교육 정책 현황에서는 이중언어교육 정책에서 오는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도 살펴보았다. 제Ⅵ장에서는 과테말라 상호문화교육 정책을 상호문화교육 모형, 상호문화교육 모형의 특징, 상호문화교육 내용, 상호문화교육 평가로 나누어 항목별로 정리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종합논의 부분으로 과테말라의 상호문화주의적 이중언어교육정책이 어떻게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설명한 뒤, 과테말라의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한국에서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여섯 개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과테말라 이중언어 상호문화교육 모형’이 여러 가지 면에서 한계점이 있지만, 한국에서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나아가 이 논문에서 대상으로 한 과테말라의 이중언어·상호문화교육의 예가 앞으로 한국의 상호문화주의 정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