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존 플랙스먼의 <신곡> 판화집 연구

Title
존 플랙스먼의 <신곡> 판화집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ohn Flaxman's Outline Illustrations for Dante's Divine Comedy
Authors
염고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 미술가 존 플랙스먼(John Flaxman, 1755-1826)의 판화집 <단테 알리기에리의 지옥, 연옥, 천국에 대한 구성 (이하 신곡)>(1793)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플랙스먼의 <신곡> 판화집을 양식적 측면에서 접근했던 것에 반해, 본고는 중세 이탈리아 문학인 『신곡』이 18세기말에 일반적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신곡> 판화집이 만들어진 배경을 살펴보는 한편, 플랙스먼이 『신곡』의 내용을 어떻게 시각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고전주의 취향이 득세했던 18세기 영국에서 중세 및 이탈리아 문화는 통상 폄하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중세의 경우 영국 역사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완전히 배척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토양 속에서 18세기 중후반부에는 영국인들의 중세 문학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기 시작했고, 18세기말에는 고전주의 미덕을 보여주는 매개로써 부분적으로나마 중세가 수용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18세기에 이탈리아 문화는 정치적·종교적으로 영국인들에게 경계 대상이었다. 동시대 이탈리아는 스튜어트 왕가를 지지하는 자코바이트들이 거주하는 곳이자 가톨릭의 본거지였고, 지나치게 감각을 중시하는 문화는 영국인들에게 위험한 것으로 비춰졌다. 영국인들은 점차 이탈리아 문화를 자신들의 관점에서 판단하고 평가하고자 했으며, 자신들의 문화를 이탈리아 문화보다 도덕적이고 우월한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단테의 『신곡』은 18세기 영국인들에게 그다지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영국인들은 전반적으로 『신곡』에 무관심했으며, 대륙 유럽 문인들의 평가를 따라 『신곡』을 ‘나쁜 취향’의 일종으로 취급했다. 그러나 소수의 문인들이 『신곡』 지옥편의 몇몇 비극적 일화들에 관심을 나타내는 사례가 있었는데, 이러한 일화들은 주로 18세기 감수성에 맞는 비극적 내용을 담은 것이었다. 『신곡』의 특정 일화들에 대한 관심은 미술가들에게도 이어졌다. 조나단 리처드슨의 논의를 시작으로 조슈아 레이놀즈, 헨리 퓨젤리 등의 영국 미술가들은 『신곡』의 일화를 주제로 한 작품을 그린 바 있으며, 이들의 작품은 『신곡』에 대한 영국인들의 관심을 증진시키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18세기말까지 『신곡』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단편적인 것에 머물러 있었고, 대부분의 영국인들에게 『신곡』은 낯선 문학으로 남아있었다. 플랙스먼의 <신곡> 판화집은 그가 로마에 체류하던 시기인 1792~1793년에 영국인 후원자 토머스 호프의 주문으로 제작되었다. 이 판화집은 『신곡』이 아직 영국인들에게 생소하던 시기에 신고전주의 미술가에 의해 그려졌다는 점에서 『신곡』에 대해 기존의 삽화들과는 구분되는 접근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플랙스먼은 기존의 『신곡』 삽화를 그대로 따라가기보다 직접 장면을 선택하고 화면을 구성하는 등 『신곡』 시각화에 독자적인 관점을 부여했는데, 이와 같은 접근은 『신곡』을 바라보는 18세기말 영국인의 관점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드러내고 있다. 우선 플랙스먼은 <신곡>에서 위대한 시성 베르길리우스의 모습을 부각시킴으로써 단테가 그와 동행하는 과정을 구원의 과정으로 그리고 있다. 주인공 단테도 각 구역을 거치며 베르길리우스와 비슷하게 변화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는 플랙스먼이 『신곡』의 도정을 고대 시인과 닮아가는 한 편의 성장 드라마처럼 그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저승의 각 구역을 그린 경우, 플랙스먼은 구역별로 핵심 주제를 설정한 후 해당 주제를 중심으로 각 장면을 재구성했다. 지옥에서는 ‘심판’이라는 주제로 죄인들이 겪는 형벌의 고통을, 연옥에서는 ‘구원’을 주제로 영혼들이 속죄하는 모습과 구원의 순간을, 천국에서는 ‘신의 섭리’라는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플랙스먼은 특정한 원리를 중심으로 내용적 통일성을 이룸으로써 『신곡』 전체의 내용을 명확하게 제시하고자 했다. 플랙스먼은 여기서 더 나아가 ‘신의 은총’이라는 주제를 전 구역에 걸쳐 부여함으로써 전체적인 통일성 또한 꾀하고자 했다. <신곡>은 지옥에서 연옥, 또한 천국으로 이어질수록 은총의 원리를 선명하게 드러냄으로써 구역별로 의미의 위계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는 단테의 성장 과정과 맞물리며 『신곡』의 종착지인 신에게로 이어지고 있다. 신이라는 분명한 종착지를 향해 나아가는 도정의 모습은 『신곡』보다도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에 가까운 인상을 준다. 가톨릭적인 세계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신곡』을 굳이 프로테스탄트적인 『천로역정』의 접근방식으로 시각화했다는 것은 여전히 두 종교가 대치 중이었던 18세기말의 상황을 미루어볼 때 플랙스먼의 개인적인 심신과 함께 그의 정치적·종교적 관점이 반영되었으리라고 추측된다. 이처럼 플랙스먼의 <신곡> 판화집은 중세 이탈리아 문학 『신곡』을 18세기 영국인들의 시각에 맞게 새롭게 재구성된 『신곡』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양식적 측면에 국한되어 있었던 플랙스먼의 <신곡>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확장하여 당대의 사회적 상황 속에 <신곡>을 위치시키는 한편, <신곡>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플랙스먼의 <신곡> 드로잉이 당대의 관점으로 『신곡』을 재해석한 흥미로운 작품임을 조명하고자했다.;This thesis makes a study of the outline illustrations of Dante’s Divine Comedy, as illustrated by the eighteenth century English artist John Flaxma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of the outline illustrations of Flaxman’s Dante’s Divine Comedy, that mainly approached from the stylistic perspective, this study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he artist visualized the story of Divine Comedy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focusing on the low reputation of this medieval Italian literature, prevalent towards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the Classicism was emerging as a mainstream trend, the Medieval age and the Italian culture were commonly the subject of pejorative in England. But the Medieval age was not completely expelled from the interests of the English, not like in other parts of the Europe, due to the unique context of the English society. In the third quarter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interests in the medieval literature grew considerably in England, leading to the acceptance of the Medieval age, if not whole heartedly, as an agent showing the virtue of the Classicism towards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 were at enmity with the Italian culture for political and religious reasons. Italy, in the eighteenth century, was the country where the Jacobites who were on the side of the Stuart lived; the home of the Catholic; the country whose culture was typified with the overly sensuous, that English felt uneasy about. Over the time, the English went on to evaluate the Italian literature from their own perspective, and then began to regard their own culture as superior over the Italian culture. From such societal backdrop, Dante’s epic did not draw a substantial attention among the English in the eighteenth century. On the whole, the Divine Comedy was neglected, and regarded as a sort of mauvais goût by the English, But a few literary writers showed interest in the tragic stories of the Hell, of which were the reflections of the sentiments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n, the artists began to show interests in the certain stories of the Divine Comedy. Following the discussion led by Jonathan Richardson, English artists such as Sir Joshua Reynolds and Henry Fuseli produced artistic works on the stories of the Divine Comedy. Their works contributed in enhancing the interests of the English in the Divine Comedy. But in general, the interests in the Divine Comedy was still at lukewarm stage until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Divine Comedy still remained a not-so-commonly-read literature to most of the English. The outline illustrations of Flaxman’s Divine Comedy was made under the patronage of Thomas Hope during his sojourn in Rome between the year of 1792 and 1793. This outline illustrations differed from the previous illustrations in that it was drawn by the artists of the Neoclassicism in the era when the Divine Comedy was not so widely read among the English. Flaxman had shown a unique perspective, in his visualizing the Divine Comedy, by selecting footage and planing illustration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e approaches of the previous illustrations of the Divine Comedy. This approach reflected the English perspectives of the Divine Comedy at the end of eighteenth century. Flaxman highlighted the great poet Virgil to illustrate Dante’s walk with him as a process of salvation. By depicting the hero Dante being transformed following Virgil while progressing from one realm to the next, Flaxman illustrated the walks in the Divine Comedy as a drama of growing up to an ancient poet. In his illustrations of each realm of the Afterlife, Flaxman first established the key title, and on the basis of this key title he reconstructed each footage. In the Hell, he depicted the pains that the sinners would receive by punishment under the title of “the Judgement.” In the Purgatory, he depicted the atonement and the salvation there on under the title of “the Salvation.” In the Paradise, he depicted “the Divine Providence” intensively. Flaxman intended to present clearly the entire story of the Divine Comedy by unifying the story around the specific principle. Furthermore, his unifying concept extended further by applying the title “the Grace of God”on his entire work. From the Hell to the Purgatory, then on to the Paradise, the progress constructed each echelon by clearly exhibiting the principles of the Grace. This progress is a projection of Dante’s life cycle of growth which is converging to the final destination, God. Flaxman’s depiction of the progress towards the obvious destination, God, gives an impression that his work is more of John Bunyan’s The Pilgrim’s Progress than the Divine Comedy. It is construed that Flaxman’s personal faith and his political and religious ideas had influenced his work of visualizing the Divine Comedy, a work of the Catholic world view, in the manner of The Pilgrim’s Progress, a Protestant work, in an era when the two religions were at enmity with each other, in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us, Flaxman’s outline illustrations are the new image of the Italian literature Divine Comedy, reconstructed for the eighteenth century English. This thesis intended to show that the illustrations of the Flaxman’s Divine Comedy is an interesting reinterpretation of the Divine Comedy, seen through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by extending the previous studies of Flaxman’s Divine Comedy, that were confined to stylistic aspects; positioning the Divine Comedy in the context of the society; and analysing the story of the Divine Come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