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1 Download: 0

20세기 전반 전쟁 소용 일본 도자기 연구

Title
20세기 전반 전쟁 소용 일본 도자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apanese Military Ceramic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uthors
현예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戦争所用陶磁器は、特殊状況のもと、具体的な目的、すなわち軍部隊内での実使用および記念、宣伝などの目的から生産された陶磁器である。軍で食器として使用したものから、軍人や一般人を対象として製作された退営・凱旋記念品、さらに民間で使用されたとものと思われる杯(戦争イメージが描かれた一般の杯)など、その用途および目的は多様である。本論文では、これらを「所用陶磁器」と通称する。さらに20世紀前半に日本および韓国で生産され、使用されたこれら戦争所用陶磁器の背景的状況、そして高台内側の銘文から、生産地を把握したのち、戦争所用陶磁器に施文された文様を大きく3種類に分類する。これは日本を象徴するイメージ、新技術の戦争武器イメージ、戦争に参加する児童イメージであり、この分類をもとに使用者に刻印しようとしたイメージを具体的に分析する。これと併せて、イメージと一緒に確認できる器内側および高台内側の銘文を分析し、これらの陶磁器を配布した主体、受領者、購買者を明らかにする。 戦争所用陶磁器は、その殆んどが日本で製作されたが、生産地およびイメージ、銘文に表された地名を踏まえるならば、韓国との関連も深い。金沢と釜山に工場を持つ日本硬質陶器株式会社(以下、「日硬陶器」)では、1908年から海軍と陸軍が使用する食器を納品した。金属回収が本格的に行われた1930年代後半からは、「供出報国」銘の食器も生産し、鍮器の供出を奨励した。韓国と関連するイメージが表された陶磁器は、日清戦争(1894-1895年)、日露戦争(1904-1905年)から持続的に生産された。これまで発見された日清戦争および日露戦争関連陶磁器は、その殆んどが皿で、景福宮で高宗に内政改革を要求する場面など、詳細な描写の戦争画が描かれている。銘文には韓国の痕跡を最も多く確認されるが、「朝鮮○歩兵」銘であったり、龍山、富寧のような韓国内の地名を容易に確認でき、韓半島の地図まで確認できる。しかしこのように韓国と関連するイメージは、旭日旗、桜、桐章のように日本を象徴するイメージを併用しており、帝国主義日本の領域であることを強調することを忘れていなかった。このような特徴は、台湾および中国における戦争所用陶磁器にも確認されるが、台湾の地図のなかに桜が描かれ、あるいは上海の城に日本の国旗が刺さっている姿の杯を確認できる。 軍部隊で用いられた食器は、1909年から太平洋戦争(1941-1945年)末期に至るまで全期間にわたって生産されたものと見られる。日本硬質陶器会社の経営報告書にも、早い時期より軍隊に食器を納品したという記録が残っている。 戦争記念陶磁器もまた、いくつかの時代にかけて生産されたが、最も古い時期の銘文としては「征露」銘がある。日露戦争の時にロシアを征伐しようというスローガンを刻むことで、決意を表明しようとしたものと推定される。この後に起きた事件に関連する銘文として、「満州事変」(1931年)銘があり、1点のみ確認できる。満州事件以降、日中戦争(1937-1945年)は、日本において「支那事変」と呼ばれている。中国大陸を侵略しようとする日本の野望が込められた戦争であるが、記念品の銘文としては、相当数確認できる。「支那事変」銘の記念品には、都城が飛行機の爆撃を受ける場面とともに、「凱旋記念」という文句が配され、戦勝祈願と祝賀の意味を込められている。 日中戦争が本格化した時期からは、鉄兜、飛行機など金属の需要が急増する。これにより、金属製品を供出することとなり、このうち民間からは鍮器は回収され、再利用された。鍮器は、厨房用品であるため女性から反発を受けやすかったが、愛国婦人会のような婦人集団を通じて、供出=報国という意識が広められた。意識を広める手段のひとつとして、回収された金属製品を陶磁器で作った代用品に「供出報国」銘と「決戦食器」銘を刻み込んだものを挙げることができるが、これらには日硬陶器の銘文を確認できる。代用品製作は、日硬陶器のような会社だけではなく、日本の陶磁器関連業種全体で行われた。1938年に登場した日本陶磁器工業連合会(以下、「日陶連」)を中心として、金属で製作してはならない品目の目録が指令されるなど、代用品の製作が奨励された。1941年からは、それまでそれぞれ活動していた瀬戸、美濃のような各地の窯に統制番号が付与されはじめる。統制番号が付与され、各単位ごとに国家に必要な陶磁器を需要に応じて生産するシステムを持つようになる。戦争イメージが描かれた杯や軍事用食器に確認できる統制番号は、終戦まで続き、製作年代および生産地を推測させる端緒となっている。 このように鍮器供出およびその宣伝目的で製作された戦争所用陶磁器には、いくつか共通のイメージの組み合わせを確認できる。戦争記念陶磁器であれ、「供出報国」銘食器であれ、そのほか戦争イメージのみ確認できる杯であれ、確認できるイメージは似通っているのである。具体的には、日本を象徴する旭日旗や桜が、最も頻繁に登場しており、鉄兜や飛行機、装甲車、大砲、落下傘など帝国主義日本軍の強大な力を象徴する最新式技術イメージも描かれた。そのほか戦争イメージだけ確認できる杯からは、先述のイメージだけでなく、剣を持つ児童の姿を描き出し、戦争に積極的に参加する児童イメージを提示している。このようなイメージは、陶磁器だけでなく雑誌、教科書にも掲載され、幼年期から戦争に親しみ、国の傭兵になることは愛国臣民になることであることと洗脳するためのひとつの手段と考えられる。さらに飛行機および魚雷のイメージが施文され、供出を通して、飛行機や魚雷を製作することができ、すなわち戦争に寄与できるというイメージを刻印しようとした。戦争所用陶磁器に登場する多くのイメージは、雑誌、映画などの媒体、さらに着物からも共通して確認できるが、これを通して日本は、民衆に「戦争に直接的間接的に参加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メッセージを伝えようとした。 戦争所用陶磁器は、その種類および製作目的が多様である。軍隊で使用したり、鍮器供出と同時に製作された製品のなかには、素朴な食器もある。いっぽうこれらの食器のように素朴ではないものの、日本の内需用杯と似た大きさに戦争イメージが装飾された杯も確認できる。高台内側に統制番号があるものもある。これと似ていたり、より高品質の陶磁器としては、軍部隊名、あるいは満州事変、支那事変のような事件の名前が記された記念陶磁器、愛国婦人会、赤十字社の文章、さらにこれらの集まりを記念する銘文の陶磁器も確認できる。このように品質も下級から上級に至るまで範囲も広く、使用した主体もまた朝鮮民間人から出征直前の軍人、愛国婦人会活動の旗を振った上流層婦人に至るまでその範囲は広かった。また食器類を除いて、銘文の内容およびイメージは類似するが、文様の組み合わせが全く同一の製品は殆んど無い。 戦争期の芸術品について絵画、映画、広告などの分野では、持続的に研究が行われてきた。しかし戦争所用陶磁器については、戦争の消耗品という認識のためにその重要性が相対的に低く考えられ、今まで研究の題材として扱われてこなった。しかし本研究において20世紀前半の戦争所用陶磁器を考察してみた結果、当時相当量が存在していたという点、その種類が単純に消耗品ではなく、実使用品から記念品に至るまで広い範疇を誇っているという点、戦争物資を供給するため製作されたという時代的特殊性を反映する生産品という点、日本が民衆および軍人に戦争の妥当性を宣伝し、士気を鼓舞するための精神啓発の手段として、各種銘文とイメージを込めた陶磁器生産を指揮したという点など、戦争所用陶磁器に込められた意味は、十分に考察してみる価値がある。20世紀前半、日本と韓国で戦争という特殊状況を陶磁器生産と消費にどのように結びつけ、展開したのか如実に示す重要な資料である。;Japanese military ceramic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re pottery manufactured for specific purposes under war condition, such as practical use, celebration, advertising propaganda. The sort of Japanese military ceramics are dishes for the army and navy, sake cups with script about celebration of victory, honorable discharge with name of the troop, and small bowl with propaganda images.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in three parts; background information of military ceramics, inscription and image of ceramics, and purpose of ceramics. Background information will range over econom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 and ceramic industry of Japan in early and mid 20th century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soaring needs military pottery. Analysis of inscription on the bottom will give clue to the area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ceramic. The patterns projected on objects for war use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kinds, namely, images of symbols of Japan (flag, cherry blossom, and etc), weapons of war, an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ar which were to impress the users. In addition, inscription on the inner side will be studied along with the images to determine who distributed the target pottery (such as the military unit or the Women's Liberation Association) and whom to receive or buy. Most of the military ceramics were made in Japan, but they were made with a close association with Korea in producing and imaging which could be known from the inscriptions and images. Nippon Koshitsu Toki Corporation (NKT Co.) in Kanazawa and Busan have been supplying utensils for the Navy and the Army since its opening in 1908. From the late 1930s when metal recovery was actively carried out, the company was encouraged to produce bowls with ‘patriotic requisition(供出報國)’ marks. The pottery with images associated with Korea has been produced since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The pottery wares discovered so far, related to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mostly depicted a war in detail, such scene as Japanese forcing King Gojong to reform the domestic affairs at Gyeongbokgung Palace. Among the Inscriptions on ceramics, Korea is represented chiefly by geographical names like ‘Joseon(朝鮮)’, ‘Yongsan(龍山)’ or ‘Buryeong(富寧)’ as well as map of the Korea peninsula. However, Korea related images were not forgotten to emphasize that they belong to imperialistic Japan, using images such as those of rising sun flags, cherry blossoms, and the paulownia arms(梧桐章). The same feature is seen on pottery for the Taiwan and China: cherry blossoms are drawn on the map of Taiwan and Japanese flag appears on the palace of Shanghai. The first production of Japanese military ceramic dates back to late 19th century. However, its number is small that this study will cover military ceramic from early 20th century. The record of military utensils manufacture is found in management report of NKT Co. from 1908, the year the company was founded. War ceramic wares were also produced early on, with the earliest inscription of ‘Jeong-ro(征露)’. It is presumed that Japan wanted to strengthen their resolve by writing slogans against Russia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The same inscription could be found on lacquer, metal rings, and medals. Later in 1931s, the Manchurian Incident(滿洲事變) occurred which was also inscripted on ceramics. The most distinguished inscription appeared is the Second Sino-Japanese war (1937-1945, 支那事變). The Second Sino-Japanese war contains strong ambition of Japan to invade the Chinese continent. The inscription usually comes with the word ‘return in triumph(凱旋記念)’ or the image of invasion of Chinese palace which also reflects to aspiration of Japan. From the time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demand for helmets, airplanes and other military metal arms had risen sharply. Therefore, all the metal objects were requisite to perform war. The requisition of brass ware in houses was vulnerable to resistance from women, but women organization like ‘Women’s Association of Patriots(愛國婦人會)’ comforted and persuaded female civilians in the kitchen. As a substitute of brass ware, ceramic utensils had been disseminated. Bowls and plates with mark of ‘patriotic requisition(供出報國)’ or ‘decisive war(決戰)’ is the example of encouragement gifts in this period. Substitution production not only takes place in companies such as NKT Co. but also throughout the whole Japanese ceramics industry. It was recommended to make substitutes, the items that was listed not to be made with metals with the control of Japanese Ceramic Industry Association. From 1941, control numbers were assigned to the klins of Seto(瀬戸) and Mino(美濃), each of which were active. Control numbers were given and a system was set up to produce the required pottery per unit of the region. The number of control that appears on cups or plates with war images on them continues to the end of the war, giving a clue to the date of production and the location of production. As such, various common images ar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combinations in military ceramics that were designed for requisition and advertisement of propaganda. The images are similar whether they are war souvenirs or ceramics for the civilians. The image of the Japanese sun rising flag is the most frequent. The latest technology images are also depicted to symbolize the great power of the Japanese military, including helmets, airplanes, tanks, cannon, and parachute. Children are also often seen, mostly with swords and Japanese flags as they move forward. The images are published not only in ceramics, but also magazines and textbooks, to brainwash the future soldiers with child-friendly war images to become patriotic. Additionally, the airplane and torpedo images were taken for the requisition utensils which delivers meaning that by donating metal products, one could contribute to make a new plane and torpedo which would present victory in war. Most images appearing on pottery for war use are common in magazines, movies, and even kimonos. These images were in everywhere that Japan wanted to convey a message to the people that they should participate in the war. Military ceramics has many different type and aspect of production. Rough utensils were made for the military troops and requisition substitute. Also, more refined bowls for public was produced. High quality commemorating ceramics were ordered for the navy and army, Women’s Association of Patriots, or civilians whom could buy those in department store. As listed here, the quality of military ceramics defers from high to low, and range of consumers includes from public to specific military unit. Repeated images are used but its combinations has variety of its kind since majority of them are drawn in hand. However, the purpose of production of most of the military ceramics has something in common: advertising propaganda and commemorating war. Moreover, sake cups which account for considerable amount, were given to soldiers to boost morale. Studies of art works in war-time period has persistingly developed. Yet, military ceramics in 20th century has not been treated as a research material due to its recognition that military products have relatively low importance. Nevertheless, from this study, it has been proved to be a worthwhile study for several reasons. The amount of military ceramics is substantial. Also, the range of its usage is broad from ordinary to specific occasions. Further, it has unique purpose in accord with peculiar circumstance, the war. Thus, analyzing Japanese military ceramics is a valuable process that helps to understand ceramic industry of Japan and Korea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전쟁 소용 도자기는 20세기 전반 특수 상황 아래 구체적인 목적 즉, 군부대 내에서의 실제로 사용하거나 기념 및 선전 등의 목적으로 생산된 도자기이다. 군에서 食器로 사용했던 것에서부터 군인 및 일반인 대상으로 제작된 퇴영, 전쟁개선 등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품 및 민간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전쟁 이미지가 그려진 일반 잔 등 그 용도와 목적이 다양하여 ‘所用 陶磁器’라고 통칭하고자 한다. 본고는 20세기 초·중반에 일본 및 한국에서 생산 및 사용한 전쟁 소용 도자기의 배경 상황과 굽바닥의 명문을 통해 생산 소재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전쟁 소용 도자기에 시문된 문양을 크게 세 가지 즉, 일본 상징 이미지, 신기술의 전쟁 무기 이미지, 전쟁에 참여하는 아동 이미지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각인시키고자 한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이미지와 함께 나타나는 내면 및 굽바닥의 명문을 분석하여 대상 도자기를 배포한 주체(군부대 또는 애국부인회와 같은 단체)와 수령 대상 혹은 구매자를 밝혀보고자 한다. 전쟁 소용 도자기는 대부분 일본에서 제작되었으나 생산지 및 이미지, 명문에 나타난 소재지 등에서 한국과 깊은 연관성 있는 도자기가 제작되었다. 가나자와와 부산에 공장을 가지고 있던 日本硬質陶器株式會社(이하 일경도기)에서는 개업 초기인 1908년부터 해군과 육군에서 사용할 식기를 납품했다. 금속 회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던 1930년대 후반부터는 ‘供出報國’ 銘 식기도 생산하여 유기 공출을 장려했다. 한국과 관련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도자기는 청일전쟁(1894-1895년), 러일전쟁(1904-1905년)부터 지속적으로 생산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 관련 도자기종은 대부분 접시로, 경복궁에서 일본이 고종에게 내정 개혁을 요구하는 장면 등 상세하게 묘사된 전쟁화가 그려있다. 명문 중에서 한국의 흔적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朝鮮○步兵’ 銘이라든지 龍山, 富寧과 같은 한국 내 지명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한반도 지도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한국과 관련 이미지들은 욱일기, 벛꽃, 오동장과 같이 일본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사용하면서 제국주의 일본의 영역임을 강조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이와 같은 특징은 대만 및 중국 전쟁 소용 도자기에서도 나타나는데 대만 지도 안에 벚꽃이 그려지고 上海의 城에 일본 국기가 꽂혀있는 모습의 잔이 발견되기도 한다. 역사의 순서대로 전쟁 소용 도자기를 살펴보면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그 수량은 많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20세기부터의 전쟁 소용 도자기만 다루고자 한다. 군에서 사용했던 식기는 1908년부터 일경도기에서 납품했던 기록이 경영보고서에 기록되어 있다. 전쟁 기념 도자기 또한 일찍부터 생산되었는데 가장 이른 시기의 명문으로는 ‘征露’ 銘이 있다. 러일전쟁 때에 러시아를 정벌하자는 구호를 새겨 결의를 다지고자 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칠기나 금속 반지, 메달에도 같은 명문이 새겨진 것을 찾을 수 있다. 이후에 일어났던 사건이 명문으로 남아있는 것 중 하나로는 ‘滿洲事變’(1931년) 銘이 있다. 가장 많은 명문이 남아 있는 전쟁은 만주사변 이후 일어난 중일전쟁(1937-1945년)으로 일본 명칭인 ‘支那事變’의 명문으로 나타난다. 중일전쟁은 중국 대륙을 침략하겠다는 일본의 야망이 강력하게 담긴 전쟁으로 도자기에도 ‘支那事變’ 명문과 함께 도성이 비행기 폭격을 당하는 장면과 ‘凱旋記念’이라는 문구가 함께 배치되어 승전에 대한 기원 및 축하의 의미를 담고자 했다. 중일전쟁이 본격적으로 펼쳐지는 시기부터는 철모, 비행기 등 금속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된다. 이에 금속로 된 모든 것들을 공출하게 되고 이 중 민간에서 놋그릇은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좋은 물품 중 하나였다. 놋그릇은 주방용품으로 여성들에게 반발을 얻기 쉬웠지만 애국부인회와 같은 부인 집단을 통해 공출(供出)은 곧 보국(報國)이라는 의식을 널리 퍼뜨렸다. 의식을 전파하는 수단 중 하나가 회수된 금속품을 도자기로 만든 대용품에 ‘供出報國’ 銘과 ‘決戰食器’ 銘을 새겨 넣는 것으로 일경도기의 명문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대용품 제작은 일경도기와 같은 회사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본 도자기관련 업종 전체에서 일어난다. 1938년 등장한 日本陶磁器工業聯合會(이하 일도연)을 중심으로 금속으로 제작되면 안되는 품목 목록이 지령으로 내려지는 등 대용품 제작이 장려되었다. 1941년부터는 각기 활동하던 세토, 미노 등 각지의 가마에 통제번호가 부여되기 시작한다. 통제번호가 부여되고 단위별로 국가에 필요한 도자기를 수요에 따라 생산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전쟁 이미지가 그려진 잔이나 군사용 식기에 나타나는 통제번호는 전쟁이 끝나는 시기까지도 이어져 제작 연대 및 생산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단서가 된다. 이처럼 유기 공출과 선전의 용도로 제작되었던 전쟁 소용 도자기에는 여러 공통 문양이 다양한 조합으로 구현된다. 전쟁 기념 도자기이든 민간 사용 완이든 나타나는 문양은 유사하다. 일본을 상징하는 욱일기가 가장 빈번하고 철모나 비행기, 탱크, 대포, 낙하산 등 제국주의 일본군의 막강한 힘을 상징하는 최신식 기술 문양이 그려지기도 한다. 아동의 모습도 종종 등장하는데 주로 칼이나 일장기를 들고 전진하는 모습이다. 이런 이미지는 도자기뿐만 아니라 잡지, 교과서에도 실려 미래 동원 인력인 아동이 유년기부터 전쟁을 친숙하게 여기고 나라의 용병이 되는 것은 곧 애국 신민이 되는 것이라는 것을 세뇌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供出報國’ 銘 이나 ‘決戰食器’ 銘 식기에도 비행기 및 어뢰 이미지가 함께 시문되어 공출을 통해 비행기, 어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전쟁에 이바지하는 것이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키고자 했다. 전쟁 소용 도자기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문양은 잡지, 영화 등의 매체, 심지어 기모노에서까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일본은 민중에게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해야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전쟁 소용 도자기는 그 기종과 제작 양상이 다양하다. 투박한 식기로는 군대에서 사용했던 것과 유기 공출에 대응하여 제작되었던 식기류가 있다. 민간에서 사용했던 완도 나타난다. 이와 비슷하거나 더 고품질의 도자기로는 군부대명 및 만주사변, 지나사변과 같은 사건 이름이 적힌 기념 도자기, 애국부인회, 적십자사의 문장 및 이들 모임을 기념하는 내용의 명문이 있는 도자기도 나타난다. 이렇게 품질도 하급에서 상급에 이르기까지 범위도 넓고 사용했던 주체 또한 조선 민간인에서 전장에 나가기 직전의 군인, 애국부인회 활동에 앞장섰던 상류층 부인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었다. 또한 일괄적으로 배급된 것도 있지만 군인 백화점이나 일반 상점을 통해 판매되었던 것도 있다. 문양의 공통점은 있으나 손으로 그려 제작한 것이 대부분으로 문양 표현 및 조합 또한 다채롭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전쟁을 기념하고 선전하고자 했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군에서 사용했던 사케잔은 전통적으로 정신적 결의를 다지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으로 사케를 마시던 것을 답습하여 그 수요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전쟁 시기의 예술품에 대해서 회화, 영화, 광고 등의 분야에서는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전쟁 소용 도자기에 대해서는 전쟁의 소모품이라는 인식 때문에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여겨져 지금까지 연구 소재로 다루어지지 못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20세기 전반의 전쟁 소용 도자기를 고찰해본 결과 당대 상당량이 존재했다는 점, 그 종류가 단순히 소모품이 아니라 실사용품에서 기념품에 이르기까지 넒은 범주를 자랑한다는 점, 전쟁 물자를 공급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는 시대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생산품이라는 점, 일본이 민중 및 군인들에게 전쟁의 당위성을 선전하고 사기를 북돋우기 위한 정신 계도의 수단으로 각종 명문과 이미지를 담은 도자기 생산을 지휘했다는 점 등 전쟁 소용 도자기에 담긴 의미는 충분히 고찰해볼 가치가 있다. 20세기 전반 일본과 한국에서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을 도자기 생산과 소비에 어떻게 결부시켜 전개되었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되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