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조선후기 해태(獬豸)형 백자 연구

Title
조선후기 해태(獬豸)형 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aetae(獬豸)–shaped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박민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Haetae-shaped white porcelain refers to porcelain that takes on the shape of haetae, or “unicorn lion,” the Western term usually used to refer to the haetae. The haetae was originally a mythical Chinese animal born during the reign of the legendary Emperor Yao, and was a creature that could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and upheld justice. From ancient Chinese records to those of late Joseon, the haetae was referred to by a variety of names. After late Joseon, the word was almost entirely consolidated to “haetae.” Hence, this thesis also refers to this animal as the “haetae.”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surviving examples in the form of heirlooms,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historical changes in shape and format of haetae-shaped white porcelain during late Joseon due to the lack of chronological resources and excavated pieces. There are some precedent studies on haetae image found in in paintings, sculptures, or other works, but Haetae in white porcelain have rarely been the focus of research on ceramic/earthenware history. After inferring the origin of the haetae image, the second chapter explores the process through which perceptions of this image developed over time. It attempts to establish the shape’s origin through the haetae statue in front of Gwanghwamun. The haetae image was also frequently used in rank badges for court attire during the Joseon Dynasty displayed on the chest and back of robes. By the 18th century, the features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haetae had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the body began to be decorated with spots and took on a combination of various animal forms. The haetae statue at Gwanghwamun is especially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only surviving example of its kind for which the actual statue and accompanying records (from the reign of King Gojong) coincide. By this time, the haetae was widely regarded as a guardian of justice and symbol of proper rule over a people, and the Gwanghwamun statue was given the added implication of protector of Gyeongbokgung Palace from fire. Because the statue at the time “watched” a significant amount of everyday foot traffic, it is believed that general perception of the creature gradually came to center on the Gwanghwamun manifestation. The haetae was also frequently selected as the shape of white porcelain yeonjeok (water droppers): this thesis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the haetae and yeonjeok based on a cultural context. In late Joseon, the development of a commodity economy and rise of a new class of wealthy merchants as a result of major shifts in class hierarchy created a larger consumer base and demand for material goods. This increase in demand led to a preference for new formats. The haetae, which had a familiar image as well as carrying the connotations of driving away evil spirits and auspiciousness, became highly popular, leading to mass production and purchase of haetae designs. Furthermore, although Chinese in origin, the haetae became firmly established as a unique Korean subject during late Joseon. Through its widespread and prolific utilization in diverse artistic forms (painting, stone statues, metalwork, ceramics, woodcraft, furniture, Buddhist items, etc.), the haetae became a Joseon symbol. The third chapter classifies the formats of haetae-shaped white porcelain and haetae designs for a deeper discussion of this topic. There are two major types of haetae-shaped yeonjeok: a type that expresses the creature largely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Eastern image of a mythical lion and focuses on detailed portrayal of body parts while lacking schematized protrusions; and a type with schematized protrusions that later became known as the standard Joseon-style haetae. In addition to these two major categories, there is also white porcelain that combines the haetae with other shapes: one that combines the haetae with a gourd-shaped bottle to emphasize the symbolization of auspiciousness and another that simply attaches a haetae form to a differently-shaped yeonjeok. As such, we can see that haetae-shaped white porcelain appear in both prototypical and altered formats. Lastly, Chapter 4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on haetae-shaped white porcelain of late Joseon by reviewing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f the preceding chapters as well as the process by which the haetae image came to see consistent use into the modern era and later took hold as a symbol for Seoul. The haetae can be said to be a common cultural symbol of East Asia that is used in China and Japan, but surviving documentary evidence and relics clearly imply that the haetae as we know it today was firmly established as a shape unique to Joseon. Amid an atmosphere of material extravagance and the desire to pray for good fortune in late Joseon together with high demand for stationery goods with designs that warded off evil spirits, the haetae was widely used as the design for yeonjeok. Haetae-shaped porcelain became an icon of social standing and cultural auspiciousness, as can be seen in its use as a element of chaekgado (a genre of still-life paint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primarily features books). The haetae continued to be used as artistic subject matter in the modern era. A number of haetae-shaped yeonjeok are included in auction catalogu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etae-shaped white porcelain stationery goods were produced by Nippon Koshitsu Toki Corporation (NKT Co.) as tourist merchandise. With the development of other types of products that utilize its image, the haetae continued to feature as a symbol of Korea. In contemporary times, the haetae has become a brand in and of itself and was designated as the official symbol of Seoul,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haetae statues throughout the city. The haetae, prominent in late Joseon in the shape of white porcelain yeonjeok, is significant today as an “artifact” that connects the present-day with late Joseon.;해태(獬豸)형 백자는 해태의 모양을 형상화한 백자이다. 해태는 중국의 獬豸에서 유래된 말로, 중국 요임금 시대에 등장하여 옳고 그름을 가리고, 정의를 수호하는 상상 속의 동물이다. 해태는 중국 고대문헌에서부터 조선후기 기록까지 獬豸·獬鹿·海駝·해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1809년에 쓴 빙허각 이씨의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ᄒᆡ타’라는 한글발음이 등장하는데, 한글발음 ‘해타’에 주격조사 ‘이가’가 결합하여 ‘해태’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거의 100년간 ‘해태’라는 명칭이 통용되어 왔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해태’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조선후기 해태형 백자는 전세품으로 상당량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절대 편년 자료가 거의 없어 기형의 변화 양상과 양식 변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해태도상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도자사 연구에서 해태 백자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해태의 도상과 속성이 중국으로부터 유래한 것은 많이 알려져 있는데, 조선후기 해태도상은 중국과는 차이가 있어 그 연원을 파악함과 동시에 조선시대에서 변형된 양상과 전개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중국의 해태도상은 조선중기 관복의 흉배에서 먼저 확인된다. 그런데 중국의 도상을 이어오던 해태흉배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해태의 특징인 뿔이 사라지고 사자의 모습에 가까워지면서 반점무늬가 표현된 새로운 도상으로 출현하게 된다. 고종대 경복궁 중건과 함께 광화문 앞에는 뿔이 없고 갈기가 늘어지는 전통적인 사자도상에 원형의 반점무늬가 부각된 해태상이 세워지게 된다. 이는 실물과 기록이 일치하는 유일한 해태상이다. 더불어 정의를 수호하고 바르게 이끄는 의미를 지녔던 해태는 화재로부터 경복궁을 지키는 방화수호의 의미도 부각된다. 광화문 앞은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장소이기 때문에 광화문 해태상의 조형을 조선식 해태로 인식하게 되면서 그로부터 조선 해태에 대한 조형과 개념이 널리 퍼져나갔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해태의 도상은 백자 연적의 형태로 채택되어 성행하여 제작되었다. 본 논문은 이를 주목하여 문화적 배경을 토대로 해태와 연적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선후기 복을 빌고 사치를 부리는 풍조는 민화의 범람을 초래하였고, 특히 벽사용 민화의 제재로 동물그림이 많이 채택되면서 해태 역시 그림으로 많이 그려지게 된다. 또한 조선후기 사회의 상품경제의 발달과 신분제 동요로 인한 신흥계층의 출현은 물건에 대한 소비층이 확대되고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가져왔다. 수요의 확대는 새로운 양식을 선호하는 취향으로 이어졌으며, 해태가 갖는 벽사와 길상의 의미는 대중의 호응을 얻으면서 문방구 애호현상과 함께 해태형 연적이 대량으로 제작·소비된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해태는 석물·금속·목공예·가구·불교공예품 등 미술품에서 매우 폭넓게 등장하여 조선후기를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주로 연적으로 제작된 해태형 백자는 기형이 매우 다양하고 조각 성형한 유형뿐 아니라 틀 성형까지 채택되어 상당한 기간 동안 애호되며 제작된 특징을 보인다. 해태형 백자의 양식특징을 도출하고자 기형을 분류하고, 장식기법을 분석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해석해 보고자하였다. 해태형 백자중 해태형 연적은 전통사자도상을 따르면서 도식화된 돌기 없이 신체요소를 세밀하게 표현한 Ⅰ형식, 도식화된 돌기가 생겨나면서 조선식 해태로 정형화되는 Ⅱ형식으로 나뉜다. 그 외 해태형 백자는 다른 조형과 결합되는 양상에 따라 표형병과 결합되어 길상성을 배가시킨 Ⅲ유형과 다각연적의 첩화장식으로 해태상이 부착된 Ⅳ유형으로 분류된다. 결과적으로 해태형 백자에서 주로 다루는 해태형 연적은 크게 전형(典型)적인 사자도상의 전통을 계승한 형태와 전형에서 벗어나 조선식 해태의 특징을 나타내는 변형된 형태로 양분될 수 있다. 전형적인 형태에는 사자도상의 전통성을 간직한 유형과 함께 그 안에서도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모습이 공존한다. 그리고 조선식 해태도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변형된 형태와 함께 새로운 도상이 출현하는 양상을 보인다. 해태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공통되는 동아시아의 조류에 있지만 조선후기에 이르러 조선만의 특징적인 도상이 탄생하여, 조선후기 해태는 복을 바라고 호화롭게 사치하는 시대의 흐름과 함께 벽사과 길상의 상징으로 문방구애호현상과 함께 연적으로까지 다량 제작된다. 나아가 해태형 백자는 사회·문화·기술적인 애호 감각과 어우러져 기물로써 책가도 안에 그려져 주목된다. 책가도 속 해태가 백자를 의미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기물로써 표현된다는 점에서 해태형 백자는 조선후기 사회·문화의 길상적 지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선후기 해태는 근대를 넘어 현대까지 지속적으로 유포되어 전해진다. 해태형 백자는 일제강점기 경매도록에 다량 수록되어 있고, 근대기 일본경질도기주식회사의 관광 상품으로 해태형 백자가 문방구로 생산되기도 한다. 해태이미지를 활용한 상품이 개발되면서 그 명맥을 이어나가게 된 것이다. 현대에 이르면 해태 브랜드가 탄생하게 되고 수도인 서울의 상징물로 해태가 지정되면서 도심 곳곳에 해태상이 수없이 세워지게 된다. 조선후기 백자 연적으로도 대량 생산된 해태는 현대까지 남아있는 조선후기를 잇고 있는 거의 유일한 유물이 아닐까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