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5 Download: 0

조선 중기 공신화상 채전(彩氈) 도상 연구

Title
조선 중기 공신화상 채전(彩氈) 도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ortraits of Meritorious Retainers’Chaejeon(彩氈) image in the mid-Joseon Period
Authors
최종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초상화를 대상으로 하여 17세기에 특징적으로 출현한 공신화상 속의 채전 도상에 주목하여 도상이 표현된 양상을 살피고,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채전 도상이 갖는 의미와 초상화 내에서의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반도는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조선까지 자리를 깔고 앉는 생활을 하였으며, 고려의 국칙(國則)을 이어받은 자리 인식과 좌차(座次)가 조선에서도 적용되었다. 자리는 직급과 위치를 상징하는 생활품목으로 인물과 인물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향사(享祀)와 제의적(祭儀的) 성격이 강한 초상화에서 이러한 자리가 배치되는 것은 인물의 업적을 강조하고 초상화의 성질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한 기물이 갖는 성질이 회화에 반영되었을 때 도출해내는 복합적 상징 의미는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 입각하여 깊이 고찰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17세기의 공신화상은 전란(戰亂) 이후 잦은 녹훈(錄勳)으로 인해 400점 가량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공신화상은 전신 7분면이라는 조선시대 초상화의 전형을 안정적으로 보이면서도 이전의 조선 초기 공신화상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붉은 색 위주의 채전(彩氈)이 출현한다. 채전을 그리는 초상화 형식은 18세기 이후 사라지지만, 초상화사적 측면에서 공신화상이 갖는 성격과 결부되며 하나의 완성된 형식을 구축했기 때문에 일시적 현상으로만 설명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조선 중기의 공신화상은 녹훈된 이후 제작에 들어가 화상이 완성되면 각 가문으로 사적(私的) 전송(傳送)했던 이력이 있어 화상의 정확한 제작연도를 살피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의 기록과 비교하여 1604년(선조 37)부터 1628년(인조 6)까지의 짧은 시기에 집중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녹훈 기록외의 인물 초상에서도 채전이 나타나는 사례가 보였다. 이에 공식적인 활용은 사라졌더라도 잔여(殘餘)한 문화의 여파로 18세기 초반까지도 채전 도상을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연구소, 박물관 소장의 작품 중 채전 도상이 나타나는 인물의 초상을 약 50점으로 취합하여, 이들 화상을 현전하는 기록과 인물의 공적을 비교, 대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7세기의 대명교류를 통해 이루어진 회화 작품들의 교류는 사행기록의 공적인 회화 외에도 사행원 간의 사적인 회화 주문이 있을 수 있는 여건이었다. 이 시기 명에서 제작된 <이광정 상(李光庭 像)>을 통해 채전을 그리는 초상 형식이 유입된 것을 알 수 있다. 대명교류를 통해 유입된 명의 초상화는 당시 중국의 유행을 여실히 묘출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채전을 그리는 형식만을 주체적으로 선택하여 수용하였다. 이는 17세기의 조선 공신화상에서 인물 형세는 7분면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의 채전이 붉은색을 위주로 하는 것은 당대 명에서 소비한 서역 교류 품목과 차별성을 보이는 점에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중기에 나타난 채전의 문양은 둘레의 선문(線紋), 초엽문(草葉紋)의 장식 아래에 팔각금문(八角錦紋), 쇄문(瑣紋)이 점(點)으로 묘사되어 있다. 조선에서는 위 문양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조합을 활용해 조선식 채전도상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독특한 양상을 이룩한 조선의 채전도상이 발생한 경위와 조선 내 사회문화적 상황을 살피어 채전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선 초에 유입되었던 주자가례는 탈불교를 위한 유자(儒者)적 의미를 강조하는 일의주자가례(一依朱子家禮) 의식을 전파, 저변화(低邊化) 하였다. 16세기 중종연간(1506- 1544)에 들어서면 조선 초의 태도가 변화한다. 예학(禮學)을 재조명하고 일상에의 수행을 습관화하며 논의를 거듭, 이후 새로운 의식을 확산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저술 및 편집된 예서(禮書)가 대략 90여종에 이르렀고 그 중 가례와 관련한 책이 9할 이상이라는 점은 당시 조선에서 일어난 가례의식의 풍조를 알 수 있다. 이 때 상장례(喪葬禮) 문화 역시 재형성되었고 그 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상례비요(喪禮備要)』, 『상제잡의(喪制雜儀)』 등의 보급이 이뤄졌다. 이에 주자학적 정통주의를 강조하던 모든 사대부들이 상례문화를 이끌어가며 제의적 태도를 강화시켰고 이는 국민 전체의 제향의식을 상향시켰다. 시대에 따른 가례의 성질 변화는 성주이씨 가문이 고려시대 사묘(祠廟)였던 안봉사(安峯寺) 영당(影堂)을 유교적 교육기관인 서원으로 전환하면서 선조들의 초상을 개모(改摹)했던 사실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또한 16세기 말 임진왜란을 시작으로 잦은 전란 이후 숱한 전사자들의 발생, 혼란한 사회를 정비하기 위해 관료적으로 공(功)을 인정하고 녹훈하는 것은 필연적이었다. 공신화상이 제의적 성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므로 국가적으로 성행한 성리학적 명분론과 잘 맞물리는 부분이었다. 제의 형식을 강조하던 당시의 조선 풍조는 공신화상을 제작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쳐 초상의 제작 과정과 형식에 역점(力點)을 두게 하였다. 조선에서 생산하지 못했던 니금(泥金)과 니은(泥銀)을 사용하고 귀한 수입 안료를 사용한 것이 『녹훈도감의궤』에서 확인되는 바, 국제적 혼란으로 안료의 국내 수급조차 어려웠던 조선에서 특별히 강조된 제의성을 엿볼 수 있다. 더불어 조선 후기 도화서 화원의 체계적 정립이 이뤄지기 이전, 화승과 화원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화원을 비롯한 화사(畫師)들이 건축의 단청작업을 겸하였고 장식을 통해 존숭(尊崇)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인 단청의 속성과 기능을 경험,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 두 가지 사안을 바탕으로 공신화상의 제작과 형식을 통해 제의를 강조하고 인물을 추숭(追崇)하고자 했던 의지를 유추할 수 있다. 후대 이모 시 개작(改作) 요소로 등장하는 채전 도상의 추가는, 17세기에 완성된 공신화상이 국가적인 준칙(準則)이 된 것을 반증하며 제향의식의 확대로 형식을 강조했던 대중 인식을 잘 반영한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나타난 초상화 내의 채전 도상은 조선 중기만의 특수한 문화를 대표하며 미술사 내에서 길이 남는 형식을 제시하면서 발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ocus mainly on images shown in colorful carpets(Chaejeon, 彩氈) expressed in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that appeared in Josen Dynasty in 17th century, in order to analyze what the images signify and how they can be defined inside these portraits. The people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Era of Three Kingdoms to the Joseon Dynasty, lived sitting on floors instead of chairs, and the perception about seats, usually on woven mats, descended to Joseon Dynasty, including ideas regarding the order of seats. The assigned seats signified the ranks of the seated, and it made it capable for people to compare their social positions. The order of seats in portraits, which usually had ritualistic meanings, were used as a tool to emphasize the achievements of the drawn, which were usually the main purpose of drawing a portrait. Thus, the complex symbols and their meanings, deducted when a character of a certain object is applied on art, are what should be considered up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In 17th century Joseon, the numbers of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are approximately four hundred, in order to appreciate meritorious deeds during many wars. While following the traditional method of three-point view, the portraits also show new methods, such as coloring the carpets in red colors. Drawing carpets in portraits is a method that disappeared in the 18th century, but it cannot be treated as a transient fashion because the method established a certain style in the history of portraits, combined with the significant meanings of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in Joseon Dynasty.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exact production year of mid-Joseon's portraits, because the portraits were produced after the awards ceremony and were sent privately to the awarded families. However, according to The Pictorial Record of Meritorious Retainers,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production took place mainly between 1604 and 1628, and some cases in which portraits of personnel without awards were noticeable. This provides the insight that even in the 18th century, the images in the carpet were still used unofficially, influenced by the culture that existed beforehand. This research gathers approximately 50 pieces of portraits with images in the carpet, and compares their meritorious deeds with recorded history. The exchanges of artwork between Joseon and the Ming(明) Dynasty included transactions conducted by individuals, apart from official, more formal ones. It is visible from the Portrait of Lee Kwang-Jeong, painted in Ming, that the style which includes colorful carpets in paintings are influenced by paintings from Ming. Portraits produced by Ming artists clearly show what was in trend back then. Joseon artists selectively adopted their styles, and drawing carpets was practically the only style they did. This fact can be seen in the paintings of Joseon in 17th century, in which three-quarter view was used and carpets were filled with red colors. These traits are distinctions from the ones shown in Ming paintings. The patterns popular in Joseon used linear designs and leafy designs on the edge, and onctagonal-textile designs and closed designs under them, in dotted figures. The carpet images in Joseon used these designs in different ways, and this built their own style. Also,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what the carpets signified by checking how the carpet images first occurred and how it could be connected to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Joseon. Master Chu's family rituals, introduced to Joseon in its early era, attempted to emphasize Confucianism among people and was reluctant to Buddhism. In 16th century, in the reign of King Joongjong(1506-1544) the trend shifted. The studies of ritual was reviewed carefully, and scholars urged people to participate their studies in real life. Books about rituals produced between mid 16th century and mid 17th century were approximately ninety types, and over 90% of them were about family rituals. This fact shows how people thought of family rituals back then. Cultural aspects regarding funeral rites were remodelled and books such as Essentials of Funerary Rites or Various Funerary Rites spreaded among people. Scholars and officials who believed in the learning of Master Zhu provided proper models of family rituals and funerals and urged people to follow them, and people did. The shift in the significance of family rituals from time to time is shown well in the case of the Lee family of Seongju. The Anbong Temple, where they used as their ancestral portrait hall, was turned into a Confucian academy, and the Lee family redrew the portraits of their ancestors. Also, starting from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many wars occurred and many people died. To soothe the disorder, awarding officials' meritorious deeds were essential. It also fit the moral obligations of Joseon, since the productions of portraits were for ritualistic reasons. People of Joseon had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formality of rituals, and this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portraits. Colors unable to obtain in Joseon Nigeum(泥金) and Nieun(泥銀) were used to paint The Pictorial Record of Meritorious Retainers, and this fact shows how much Joseon put importance on ritualistic values. Also, in late periods of Joseon Dynasty,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its roles were not fully established and the borders between governmental painters and nongovernmental painters were not clear. Nongovernmental painters also worked to paint government building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ainters understood and realized the functions of ornamental painting styles as a tool to express respect for meritorious elites. From these two factors, the will to revere elit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ituals can be inferred. Images in carpets, which also appear in reproductions as remake factors, not only show that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completed in 17th century had become a national regulation, but also reflect the thoughts of the public which put importance on formality. Carpet images shown in portraits, connected with unique culture of mid-era of the Joseon Dynasty, developed and flourished a certain style in the history of portrai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