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9 Download: 0

조선후기 채색(彩色)백자 연구

Title
조선후기 채색(彩色)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이보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고에서 지칭하는 채색백자란 백자에 청·철·동 안료로 기면을 채색하여 장식한 백자를 말한다. 현재까지는 채색백자에 대한 연구는 독립적인 주제로 진행되지 않았는데, 이는 채색과 채료를 이용한 문양을 구분하지 않은 근원적 이유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채색백자라는 명칭과 함께 기준을 설정하여 채색백자를 독립적인 하나의 양식 분류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전 유물에 대한 유형 분류와 양식 분석을 시도하여 조선후기 채색백자의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조선후기 백자 연구에서 채색백자가 가지는 의미를 밝히고 중요도를 높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채색백자는 그림이 아닌 ‘색’만으로도 장식성이 있다는 것을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실제적 근거이므로, 채색백자를 ‘색을 중심으로 장식한 조선후기의 백자’로 정의할 수 있다. 채색백자라는 명칭은 필자가 대상 유물들을 통칭하기 위해 제시한 용어로, 과거의 용어들 가운데 ‘채색백자’에 해당하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명확한 특징인 ‘채색’과 정체성을 알려주는 ‘백자’가 결합된 ‘채색백자’가 이 갈래의 백자군을 통칭하는 용어로 적합하다고 보았다. 조선후기로 이어지는 채색백자의 생산은 출토 유물들을 근거로, 이미 17세기에 수요가 존재하여 제작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했다. 당시는 산화코발트 안료 수급 문제로 철채 위주의 채색백자가 제작되었으나 18세기 중반부터 고급품에 한해 각종 채료를 사용한 채색기법이 장식성을 목적으로 적용되었다. 이후 고급품의 수요층이 확대되는 19세기 초 ∙ 중반에는 다양한 양식의 채색백자가 시도되어 1890년대경 거의 모든 종류의 채색백자 형태가 완성되었다. 채색백자는 20세기 초까지 제작되나 1890년대에 완성된 채색백자의 유형이 진화없이 답습되다 소멸하게 되었다. 채색백자의 제작배경은 유행과 확산의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채색백자의 유행은 청대 자기를 비롯한 외래 문물 유입에 의한 자극에서 촉발된 것으로 판단하여, 확산으로 이어지는 채색백자에 대한 인식과 선호 양상을 조선후기의 회화자료와 함께 살펴보았다. 회화자료는 사회 전반에 파급력을 가지는 지배층 문화를 보여주는 궁중의 進饌圖와 불교의 水陸齋에 사용되는 甘露圖 및 상류층과 서민층의 다양한 생활상을 비추는 풍속화 그리고 책가도 등의 궁중 ∙ 민간 장식화를 대상으로 했다. 또한 채색백자의 확산은 안료의 공급 문제와 직결되어 있으므로, 채색백자의 안료 중 산화코발트의 수급 상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朝鮮王朝實錄』과 『承政院日記』 등의 사료와 개인 문집 등 조선시대의 문헌자료 내용을 근거로, 18세기 중반에 청화 안료의 수급이 안정되고 19세기 말부터는 倭靑이 수입되면서 안료의 가격이 낮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현재 전세되고 있는 조선후기 채색백자 473점을 대상으로 분류를 시도하고 제작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채색이 적용된 범위에 따라 전면채색과 배경채색, 부분채색 유형으로 크게 나눈 뒤, 안료의 종류, 결합 기법 등으로 하위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세부 유형별로 기종과 기형, 문양에 대해 분석했다. 전면채색 유형은 기면 전체를 채색한 것으로 안료의 사용과 관련하여 한 가지 안료만 사용한 단색채와 두 가지 이상의 안료를 사용한 복합채색 유형으로 나눈다. 단색채 유형은 안료의 종류에 따라 청채백자·철채백자·동채백자로 세분된다. 전면채색 유형은 전체 채색백자 473점 중에 약 60%에 해당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수가 청채백자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인다. 두번째로 배경채색 유형은 문양의 외곽을 청·철·동 안료로 채색한 백자를 의미한다. 배경채색 유형은 다시 세부 특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하위분류 한다. 문양의 종류에 따라 양각기법과 결합된 것을 Ⅰ유형으로, 평면에 각종 안료로 문양을 그린 후 외곽을 칠하는 방식을 Ⅱ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다음 Ⅲ유형은 '바타비안(Batavian) 양식'을 공통점으로 하는데, 바타비안 양식은 청화로 주요 문양을 표현하고 동채나 철채를 사용해 바탕을 갈색으로 칠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양식의 채색백자에 대해 현재까지는 동화, 철화백자의 한 종류로 인식했으나 본고에서는 이 유형만의 특성과 원류에 주목하여 새로운 양식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바타비안 양식'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무역자기 중 갈색 바탕에 각종 문양을 더한 상회자기류를 'Batavia ware' 라고 부르는 것에서 착안했다. 부분채색 유형은 기물의 일부를 채색하여 장식한 채색백자를 의미한다. 부분채색 유형은 채색면이 대체로 좁고, 일정하지 않으며, 결과물 사이의 외형적 유사성 및 경향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모두 기형의 특정 부분을 추가로 장식하여 강조의 효과를 얻으려는 공통된 목적이 있었다. 이는 특정 형상의 표현에 초점을 둔 것으로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는 채색기법 중에서는 소극적인 방식이다. 이어서 앞에서 살펴본 제작 양상을 안료와 기법, 기종 그리고 문양을 기준으로 채색백자의 특징을 정리했다. 총 473점의 채색백자를 대상으로 검토하여 전면채색 유형 중 단색채 유형과 청채백자에 대한 집중도, 그리고 안료 사용에 있어 산화코발트 안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파악했다. 기법 및 기종의 측면에서는 양각기법에 편중된 현상과 문방구류, 특히 연적에 대한 선호도가 확인되었다. 문양은 크게 동물문, 식물문, 기타문으로 나누었는데, 통계 결과로는 세 종류가 고르게 분포하나, 양각과 결합된 경우는 매화문과 장생문이 애호되고, 배경채색 Ⅱ유형에서는 운문, 배경채색 Ⅲ 유형(바타비안 양식)에서는 수복자문이 대다수를 구성하여 특정 유형과 문양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채색백자의 의의는 색을 중심으로 장식한 조선후기의 백자로 밝힐 수 있다. 또한 채색백자는 조선시대를 지배하는 백자의 관념에서 탈피한 장식적인 자기로, 조선후기 급변하는 사회상에서 수요층이 점차 자의식을 가지고 개인의 취향을 드러내며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표상이라는 데 중요성이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 채색백자 연구는 채색백자의 개념을 정리하여 조선후기 백자의 새로운 분류로 제시하며, 채색백자의 제작 양상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형과 양식의 다양한 원류를 밝혔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더 나아가 채색백자의 유형 중 '바타비안(Batavian) 양식'이라는 새로운 양식 유형으로 제시함으로써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까지의 백자 제작 양상에 대해 추가적인 시각을 열어주는 계기가 된다.;The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fers to white porcelain that is coated with cobalt, iron and copper-based pigments. This type of porcelain is tangible evidence of the perception that color itself is a decorative aspect and can be officially defined as “white porcelain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is decorated primarily with color.” Based on excavated artifacts, demand for the production of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was focused in the 17th century and continued into late Joseon. Due to problems in supplying oxidized cobalt pigment at the time, most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was created with iron-brown pigment. However, beginning in the mid-18th century, high-quality white porcelain began to be produced that utilized various types of pigment for decorative purposes. In the early and mid-19th century, a time when demand for high-quality products increased dramatically, even more diverse experimentation was done with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and by the 1890s, the full range of formats had been finalized.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is best understood in terms of trends and their expansion. The popularity of such porcelain was born from the increased import of foreign objects (namely, Qing porcelain). Paintings from late Joseon were used as the basis for analyzing perceptions and stylistic preferences related to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and its expanded consumption. Paintings used as evidential resources wer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genres: jinchando (painting of the royal banquet), court paintings that depict the culture of the socially-influential upper classes; gamrodo (Nectar Ritual Painting), paintings used in Buddhist ceremonies to alleviate the spirits of the dead; folk paintings that show the lifestyles of the upper class and commoners; and paintings used primarily for decoration (e.g. chaekgado). The expand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wa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matter of pigment supply; this study explores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supply of oxidized cobalt blue pigment. Documentary evidence from the Joseon Dynasty (e.g.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shows that the supply of cobalt blue pigment stabilized in the mid-18th century and that pigment prices plummeted in the late 19th century due to the import of Japanese cobalt blue pigment. This study also attempts to classify the 473 items of underglaze color-coated white porcelain from late Joseon, in addition to ascertaining the production process. The largest classification type was created based on the area colored (full coloration, background coloration, partial coloration), with sub-classifications based on pigment types and methods of combin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f the functions, shapes and designs of the porcelain. The full-coloration type refers to porcelain that has been colored over its entire surface: this is again divided into monochrome type (one pigment) and heterochrome type (two or more pigments). The monochrome type is departmentaliz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pigment used: cobalt blue pigment-colored white porcelain, iron brown pigment-colored white porcelain and copper red pigment-colored white porcelain. The full-coloration type is the most common, consisting of over 60 percent of the 473 porcelain items, of which the majority can be classified under porcelain coa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The background coloration type refers to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that has been colored the outer pattern with cobalt, iron or copper-based pigment. This type is sub-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ategory 1, which embosses certain types of designs; Category 2, which involves painting the design onto the surface and then coloring in the outer; and Category 3, which employs the Batavian Style (uses cobalt blue pigment to depict major designs and iron or copper-brown(red) pigment to fill in the background). Porcelain in Category 3 has thus far been viewed as a type of White Porcelain in underglaze Iron-brown or copper-red, but this study argues that it must be regarded as a separate category based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term “Batavian Style” is derived from the term “Batavia-ware” for porcelain with over-glaze decoration exported from China that features designs on a brown background. The partial coloration type refers to porcelain that features color on only part of the object for decorative purposes. The area colored for this type is usually narrow and irregular, with no noticeable uniformity of external features among works that fit in this type. The only shared trait is that color is added to a certain section or part for the purpose of emphasis. Following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summarizes the production method of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in terms of pigment type, production technique and desig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473 items of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it was shown that the monochrome type (of the full-coloration type) relied heavily on cobalt blue pigment. In terms of technique and type of porcelain,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heavy preference for the embossed technique and stationery goods (particularly Water dropper). In terms of embossed designs, plum blossoms and longevity symbols were overwhelmingly preferred, with cloud designs for Category 2 and Chinese characters for longevity and fortune for Category 3 (background-coloration type). As such, there was clearly a correlation between certain porcelain types and designs.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gnificance of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is the fact that color was the primary decorative agent in this genre of late Joseon white porcelain as opposed to illustrated designs. Also, because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was a decorative genre that deviated in principle from the white porcelain that was dominant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process by which the consumer class of late Joseon was born, gained a sense of self-consciousness, and began to express their personal preferences through the items they purchased. Also, through analysis of the types and sub-classifications of underglaze color-coated porcelain, this study shows that the range of shapes and formats was truly diverse. With the proposal of the new Batavian Style category, this study broaden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from the mid-19th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