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4 Download: 0

소냐 들로네(Sonia Delaunay)의 작업에 나타난 총체예술 개념

Title
소냐 들로네(Sonia Delaunay)의 작업에 나타난 총체예술 개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 of Intermedia Art in Sonia Delaunay’s Works
Authors
박신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소냐 들로네(Sonia Delaunay, 1885-1979)의 작품에 나타나는 총체예술 개념을 살펴본 연구이다. 1910년대부터 남편 로베르 들로네(Robert Delaunay, 1885-1941)와 함께 본격적으로 동시주의 미학을 실험한 그녀는 음악, 문학 미술 영역이 교차하는 동시주의를 기저로 한 회화와 디자인 작업들을 선보이며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경계를 해체했다. 그녀는 여러 형태의 디자인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추상회화의 조형형식을 접목하고, 시와 공연예술의 특성을 수용하기도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총체예술을 탐구했다. 그녀가 장르복합적인 작업을 구현하며 동시주의의 의미를 확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술사에서 이루어진 논의는 로베르 들로네에게 집중되어 그녀의 작업에 대한 논의는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이미 완성된 그녀에 대한 연구는 미술사와 디자인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논의됨에 따라 단편적으로 분석되어 왔다. 이에 본고는 그녀가 회화와 디자인을 상호보충적인 관계로서 실험했을 뿐 아니라, 문학, 음악, 미술이 통합된 폭 넓은 의미의 총체예술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녀의 작업세계를 보다 다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들로네는 다수의 시인들과 교류함으로써 시와 미술이 결합된 책과 포스터 디자인을 시도했다. 그녀는 시에서 전달되는 감정을 이미지로 시각화하기 위해 회화에서 실험한 추상의 형상을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시인과 협업하여 동시적 책을 완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간예술인 시와 공간예술인 추상이미지가 한 화면에 혼합된 총체예술을 구현하였다. 특히 책과 포스터 디자인에서 색채와 기하학적인 추상형태들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며 언어로서의 역할을 하며 문자들은 회화적인 조형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렇듯 들로네는 문자를 활용한 디자인을 통해 타이포그라피의 미술사적 선례로 제시했으며 이와 동시에 서사적 요소가 배제된 추상이미지에 문학적인 서사성을 담아냄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작업영역을 구축하였다. 추상회화와 디자인을 통합하는 그녀의 총체예술 실험은 의상 및 직물 디/자인 작업으로 이어진다. 들로네의 디자인 작업은 동시주의의 의미를 확장하기 위한 전위적인 실험의 일환이었다. 그녀는 의상의 장식과 모델의 신체 윤곽에서도 추상의 조형성을 발견하였을 뿐 아니라,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동시주의의 리듬감을 구현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퍼포먼스적인 요소를 디자인에 추가함으로써 더욱 폭 넓은 총체예술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들로네의 작업은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평가되며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다량으로 제작되고 판매되기도 했다. 이처럼 그녀는 전위적인 추상미술을 일상의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순수미술과 생활미술의 경계를 해체하고, 나아가 전위미술의 대중화를 실현하였다. 한편, 그녀는 의상 디자인을 공연예술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동시주의가 반영된 공연의상에는 음악과 춤의 리듬감이 구현되었고, 의상과 무대배경은 유사한 형식의 추상이미지로 디자인되었다. 또한 들로네는 아방가르드 공연인 수아레에서 극을 이끄는 시와 무대의상을 밀접하게 관계 맺도록 함으로써 의상이 극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서 작용하게 하였다. 동시에 들로네는 영화에 참여하며 총체예술 실험을 이어갔는데, 그녀는 배우들의 의상과 촬영 공간을 동시주의의 추상형식으로 통일함으로써 공간 전체를 총체예술의 장으로 구현하였다. 이와 같은 그녀의 실험은 시와 미술, 공연예술 영역의 경계를 해체하고 미술의 의미를 확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들로네는 동시주의를 바탕으로 추상회화와 디자인, 나아가 미술과 시, 음악, 공연예술이 통합된 총체예술을 실현하였다. 이는 다양한 장르가 통합된 작업을 통해 삶으로 소환되는 미술을 구현하고자 한 그녀의 근본적인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시주의를 반영한 모더니즘 추상화가로서 연구되어온 소냐 들로네를 각 예술 간의 경계를 해체하고, 미술과 일상을 결합한 총체예술가로서 폭 넓게 조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into the concept of intermedia art represented by works of Sonia Delaunay(1885-1979). From the 1910s, she experimented with the aesthetics of Simultaneism(simultanéisme) also known as simultanism in collaboration with her husband, Robert Delaunay(1885-1941) and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fine art and applied art with works of painting and design based on Simultaneism in which the realms of music, literature, and fine arts cross. She explored the intermedia arts in a variety of ways and grafted modeling idioms of abstract art onto various design works, while embracing the features of poetry and theatrical arts. Although she realized multiple works and was dedicated to expanding the meaning of Simultaneism, almost all discussions focused on the work of Robert Delaunay: her work was not discussed in-depth. Her works were also analyzed just superficially because studies on her works were conducted in division of art history and design.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a multipronged outlook of her art focusing primarily on the facts that she experimented with painting and design, seeing them as being in complementary relation, and made forays into doing intermedia arts that integrated art with music or literature. Delaunay tried to design books and posters in which poetry was fused into art while interacting with a multitude of poets. She made use of abstract pictorial images to visualize the emotions conveyed by a poem. In this process she completed simultaneous books in collaboration with poets and incarnated intermedia arts in which the temporal art poetry is combined with the spatial art of abstract images. In particular, colors and abstract images in her books and posters have symbolic connotations and work as a language while letters carry out a pictorial modeling function. As such, Delaunay presented an art precedent of typography with her design tapping into letters. She also constructed her own distinctive idioms by putting literary narrativity into abstract images devoid of any narrative factor. Her experiments with intermedia art to integrate abstract painting with design were continuously conducted both in fashion and textile design. Her design work was part of avant-garde experiments to expand the meaning of Simultaneism. She discovered modeling qualities not only in fashion accessories but also in a model’s body contour and realized the rhythm of Simultaneism through physical movements. In this process she could enter into a more extensive territory of intermedia art by lending performance elements to design. Such works of Delaunay are credited with attaining contemporary design so her pieces were mass produced and sold in the capitalist system. As such, she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fine art and living art and moreover achieved popularization of avant-garde art by grafting avant-garde abstract art onto quotidian design. She also extended the domain of fashion design into the theatrical arts. Her performance suits reflecting Simultaneism realized the rhythms of music and dance and her clothes and stage backgrounds were designed using abstract images. Delaunay also made clothes as a seminal factor to form a drama by closely associating poetry with stage costumes in a soiiree for avant-garde performance. She also continued experiments with intermedia art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films. She used the entire space as a forum for holistic arts by unifying performers’ clothes and the film set as an abstract form of Simultaneism. Such experimentation resulted in blurring the boundaries of poetry, fine arts, and theatrical arts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art. As such, Delaunay realized intermedia art integrating abstract painting, design, art, poetry, music, and theatrical arts based on Simultaneism. This derived from her underlying intention to realize art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through her work integrating diverse genre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tensively sheds light on Delaunay who has been researched as a modernist abstract painter, reflecting her work in Simultaneism as a holistic artist who broke down the borders of art genres and combined art with everyday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