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6 Download: 0

新羅 下代 府의 설치와 그 의의

Title
新羅 下代 府의 설치와 그 의의
Other Titles
The establishment and significance of Bu( 府) in the late Silla
Authors
조혜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미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reform of local government system during the late Silla(新羅),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both epigraphic and documentary, that associate bus(府) with toponyms.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Sillabongi(新羅本紀)” and “Jirigi(地理志)” in Samguksagi(三國史記) is that the system of nine provinces and five secondary capitals(9州5小京), introduced on the fifth year of King Sinmun(神文王)’s reign(685), underwent only minor changes until the end of Silla(935). On the contrary, the discovery of bu as a unit of local government in the epigraphy before Queen Jinseong(眞聖王)’s reign suggested a certain change of local government system, which has not hitherto been explored, during the late Silla. Since then, it is believed that the royal court of late Silla incorporated wealthy areas, land routes, and military footholds into bus that served as the local bases of power in relation with the five secondary capitals. Having suffered from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金憲昌) that had swept the entire kingdom, the royal court of King Heungdeok(興德王) reformed the five secondary capitals into bus in the course of rebuilding the land routes that connected the Silla capital to all across the kingdom. The problem is that the relations of some bus with the former five secondary capitals remain unclear, which entails other questions such as the historical location of these bus.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onghwabu(通化府), which did not succeed any of the toponyms of former secondary capitals, as an example of such bus. Tonghwabu, along with other bus switched from the former five secondary capitals, is classified into the type of bu before Queen Jinseong. The location of former secondary capitals and Tonghwabu was of importance for Silla which sought to reinforce its rule over the northern border area. Tonghwabu was a new type of administrative unit that functioned both as a military base and as a local government, whose jurisdiction covered Sakjeong county(朔定郡) through which the official land route between Silla and Balhae(渤海) passed. That is, the introduction of Tonghwabu was the outcome of Silla’s military and diplomatic consideration on its relation with Balhae. In the period of Later Three Kingdoms(後三國期), Silla’s Gimhaebu(金海府), Gyeongsanbu(京山府), Goulbu(高鬱府), Uiseongbu(義城府), and Boseongbu(甫城府) functioned as the military footholds that defended the Silla capital. Around the fifth year of King Hyogong(孝恭王)’s reign(901), the Later Baekje(後百濟) and the Later Goguryeo(後高句麗) respectively expanded their territories toward today’s Gyeongsangbukdo(慶尙北道) province, where they continuously waged battles against each other until 930. This area of war included the five bus nearby Silla capital. This fact makes it more likely that the areas of strategic significance, in terms of both land transportation and proximity to the capital, were reorganized into military footholds between the later years of Queen Jinseong and the early years of King Hyogong. The bus of late Silla shares a common character with China’s fus(府) introduced during the reign of Emperor Suzong(肅宗) of Tang dynasty. The fus of Tang dynasty were reorganized during Emperor Xuanzong(玄宗), and thereafter remained for another two centuries until Emperor Zhaozong(昭宗, in the early tenth century). Among them, Hezhongfu(河中府) and Jiānglingfu(江陵府), established during Emperor Suzong’s reign, emerged as the centers of transporation and military actions after the An-shih(安史) Rebellion. The bus of late Silla were similar to the fus of Emperor Suzong in that bus served both as the traffic points that connected the Silla capital to the western, northwestern, and northeastern border areas and as the military bases that defended the Silla capital. The domain of bu was as large as that of a county(郡) combined with the towns under that county’s jurisdiction(領縣), and the administration of late Silla’s bu was organized in a way that its central city(治所城) supervised the belonging counties, cities, and towns nearby. The offices of local magistrate in the secondary capitals were reformed into those of yun(尹) and soyun(小尹), which had jurisdiction over bus. Likewise, in Tang’s China, Yin(尹) and xiaoyin(小尹) were the high-ranking officials that administered fus. As Silla’s territory shrunk to today’s Gyeongsang region during the period of Later Three Kingdoms, bus strengthened their military function of defending the capital, their heads being janggun(將軍) or jegunsa(諸軍事). More social strata of Silla society had become eligible to the title of janggun(which originally means a general) in the late Silla, and toward the end of Silla, the heads of bus either sent from the capital or selected from local worthies were entitled janggun regardless of their social origins. Otherwise, the title of jegunsa was bestowed upon a head of bu. On the other hand, the titles such as jigunbusa(知軍府事), yeonggun(領軍), or jibu(知府) only seem to have sometimes been used to emphasize the role of bu’s officials, since the use of these titles are observed only in the epigraphs dating back to Goryeo dynasty. The bus of late Silla were both civilian and military until the Later Three Kingdoms. The succeeding Goryeo would see the division of bu into military bu (Dodokbu or Dohobu, Dodok and Doho respectively meaning protector and governor-general) and civilian bu. Bu as the toponym of late Silla demonstrates that the local government system, having been uniformly re-institutionalized toward the reign of King Gyeongdeok(景德王), was reformed again during the late Silla. This conclusion puts forward bu as the evidence that suggests the relation of Silla’s royal court and “regions”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thus supporting the preceding study that the period of late Silla, from King Seondeok(宣德王, 780~785) to King Gyeongsun(敬順王, 927~935), was not homogeneous in its historical character.;본 논문은 신라 하대의 상황을 전하는 금석문과 문헌사료에 府가 地名과 결합하여 기록된 것에 주목해, 신라 하대 지방제도의 개편 배경과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三國史記󰡕 新羅本紀와 地理志에 따르면, 대체로 신문왕 5년(685)에 마련된 9州 5小京 제도는 신라의 멸망기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고 이해된다. 그러나 신라 진성왕대 이전에 건립된 금석문에서도 지방행정단위인 府가 확인되면서, 신라 하대 지방제도가 개편되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신라 하대 조정에서는 5소경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자원이 풍부한 지역, 육상 교통로·교역로, 군사적인 거점을 지방지배의 거점인 부로 개편했다고 해석되었다. 5소경은 신라 조정이 전국적인 규모로 발생한 김헌창의 난을 경험한 뒤, 흥덕왕대 왕경에서 각지로 연결되는 육상 교통로를 재정비하면서 부로 개편되었다. 한편 소경과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는 부는 위치를 비정하는 문제부터 합치된 견해를 찾기 어려운데, 본 논문은 소경의 명칭을 계승하지 않은 ‘통화부’를 그 예시로서 살펴보았다. 통화부는 5소경에서 전환된 부와 마찬가지로 진성왕대 이전의 유형(신라 하대 前期)으로 분류되며, 5소경처럼 신라가 북변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주목한 지역이었다. 그 위치는 신라와 발해의 공식 육상 교통로가 위치한 삭정군 일대로, 신라가 발해와의 관계를 고려해 군사적 거점의 성격을 더하여 설정한 새로운 단위로 여겨진다. 후삼국기(신라 하대 後期)에 확인되는 부는 金海府, 京山府, 高鬱府, 義城府, 甫城府로, 왕경을 방어하는 군사적 거점으로 기능했다. 후백제와 후고구려는 각각 孝恭王 5년(901)을 전후한 시점에 현 경상북도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했고, 930년까지 현 경상북도 일대에서 지속적으로 교전했다. 이때 다섯 府는 왕경 인근에 위치하여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교전 지역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신라 왕경 인근에 위치한 육상 교통의 거점이 진성왕대 말~효공왕대 초에 군사적 거점으로 전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라 하대의 부는 唐 肅宗대 설치되었던 부와 성격 면에서 일부 공통점이 확인된다. 당의 府는 현종대 정비되어 10세기 초인 소종대까지 약 200년간 유지된 지방제도이다. 그 중 숙종대 설치된 河中府, 江陵府는 안사의 난에 따라 새롭게 부상한 교통로 및 군사적 거점지였다. 신라 하대의 부 또한 9세기 이후 왕경에서 국가의 서변·서북변·동북변으로 가는 육상 교통의 거점으로 중시되었고 왕경을 보위하는 군사적인 성격이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당 숙종대 개편된 부의 성격과 유사하다. 부의 규모는 領縣을 포함한 군의 영역과 유사했고, 신라 말에는 과거 군·현의 治所城을 중심으로 인근 군·현(城)을 관리하는 형태였다고 추정된다. 부의 통치조직은 진성왕대까지 기존 소경의 外官이 (大)尹과 小尹(少尹)으로 개편되어 부를 함께 관할했다고 보았다. 당에서도 尹과 小尹은 부의 최고위 관직으로, 부의 업무를 통할했다. 후삼국기의 부는 신라의 영역이 현 경상도 일대로 축소되면서 왕경을 방어하는 군사적인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는데, 이때는 將軍, 諸軍事 등이 부를 관할했다. 장군은 신라 하대에 이르러 수여할 수 있는 신분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신라 말 부에 파견된 관리와 재지유력자를 신분에 관계없이 부의 관리자로 공인한 관직이다. 제군사도 장군과 같이 부의 관리자에게 부여한 직책으로 보인다. 한편, 知軍府事, 領軍, 知府는 고려에서 건립된 금석문에서만 확인되므로, 부에 소속된 인물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쓴 표현으로 보았다. 신라 하대에 설치된 부는 후삼국기까지 민정적 성격과 군사적 성격이 공존했다고 생각된다. 이후 고려에서는 군사적 성격의 도독부·도호부와 민정적인 성격의 부로 점차 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신라 하대에 확인되는 지명으로서 부는 경덕왕대까지 일원적으로 정비되었던 신라의 지방제도가 하대에도 개편되었음을 증명한다. 이상 본 논문은 宣德王대(780~785년)부터 敬順王대(927~935년)에 해당하는 신라 하대를 단일한 성격으로 볼 수 없다는 선행 연구의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신라 말(후삼국기)까지 신라의 조정과 ‘지방’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단서로 부를 확인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