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7 Download: 0

Language Pairs and Explicitation Universal

Title
Language Pairs and Explicitation Universal
Other Titles
언어 쌍과 명시화 보편소 : 번역 영어에 대한 코퍼스 기반 연구
Authors
RAMARD, HELOISE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아
Abstract
Explicitation is a feature of translation hypothesized by numerous researchers as the disparity in explicitness between an original text and its translation. Amongst other speculated features, explicitation is regarded as the most fitting candidate for the status of translation universal (TU), which is defined as a common linguistic tendency appearing in all types of translated texts (TTs) rather than original work. According to Baker (1993), who first coined the term, TUs occur regardless of the language pair involved and are not influenced by it. However, recent studies have challenged this idea and tried to investigate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use of explicitation in regard to the language pair. A common conjecture is that the source language (SL) could influence the degree of the TTs’ explicitness, although no researcher could convincingly prove it. Inconsistencies in methods and definitions produced mostly unsatisfactory results. By using a contrastive analysis of English translations from both French and Korean,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different strategies and types of explicitation are used in translated English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SL. Moreover, this study promotes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definition of the explicitation phenomenon as well as a more meticulous method of analysis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t is expected that explicitation will be more used in English TTs from Korean due to a bigger gap in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To test this hypothes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a corpus of 5,000 sentences from 20 different books of English translated literature. The books were written by different authors and translated by experienced native translators. Cases of explicitation were then classified by characteristic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Gumul’s (2006) categorization and put into three categories: (i) optional, (ii) obligatory, and (iii) pragmatic. The author found a higher use of explicitation for the Korean-English pair, especially in cases of obligatory and pragmatic explicitation, which confirms the original hypothesi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explicitation could indeed be influenced by the SL when analyzed with a thorough methodology, rejecting Baker’s (1993) primary assumption. This study further proved that cases of optional explicitation were affected by cases of obligatory explicitation, thus advocating for the consideration of obligatory explicitation as an actual case of TU, contrary to some researchers who exclusively recognize optional explicitation.;번역학에서 명시화(explicitation)란 원문 텍스트와 번역 텍스트 간에 존재하는 명시성(explicitness)의 차이를 가리킨다. 원천 텍스트에 암묵적으로 나타나 있는 정보를 목표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밝히는 명시화는 번역 보편소(translation universal) 후보로 간주되어 왔다. 번역 보편소는 원문 텍스트보다는 번역 텍스트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을 일컫는데, 이 용어를 처음 고안한 Baker(1993)에 의하면 번역 보편소는 언어 쌍과 상관없이 나타나며 언어 쌍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 이러한 Baker(1993)의 주장을 반박하는 연구를 통해 언어 쌍에 따라 명시화 사용이 달라지는지 고찰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가정한 것은 원천 언어가 번역 텍스트의 명시성 정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인데, 연구 방법론 상의 문제 및 개념의 비일관성으로 인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번역한 영어와 불어를 번역한 영어를 대조 분석함으로써 어떤 유형의 명시화 전략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고 원천 언어가 번역 영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불어-영어에 비해 한국어-영어 간에 존재하는 언어 문화적 차이가 더 크므로 명시화가 더 많이 사용되는 번역 영어는 후자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총 20권의 문학 작품(한국문학 10권, 불문학 10권)으로 구성된 5000 문장의 병렬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각 영역본은 영어 원어민 전문 번역가가 번역한 것이다. 병렬 코퍼스 분석 시 Gumul(2006)의 접근법을 수정하여 명시화 전략을 세분하였고, 각 세부 전략을 다시 선택적 명시화, 의무적 명시화, 화용적 명시화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불어-영어 코퍼스보다 한국어-영어 코퍼스에서 명시화를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의무적 명시화와 화용적 명시화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원천 언어가 명시화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으며, 이로써 번역 보편소는 언어 쌍과 무관하다는 Baker(1993)의 가정을 반박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선택적 명시화가 의무적 명시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의무적 명시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번역 보편소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