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6 Download: 0

아르스로서의 법적 판단

Title
아르스로서의 법적 판단
Other Titles
Legal Judgment as Ars
Authors
박지윤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현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deal type of legal judgment and a practical process that empowers human life to the democratic adjudication. Existing studies on legal judgment are largely split into two positions: one position on legal judgment drawing the same conclusion whoever takes the cases, and the other position on legal judgment that focuses o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cases. Generally speaking, the former position is mainly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considers legal judgment as a kind of mathematics, because it believes that objective and neutral legal judgment is only drawn through reason. In this study, such a perspective is categorized as “formalism of legal judgment.” This study criticizes the possibilities that separated positions for legal judgment on the basis of logic and reason could be concluded into the formalism of legal judgments. The method of legal judgments is also examined that utilizes human experience under an organic commonality in order to overcome dualistic reasoning.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ancient phenomenon in which law was recognized as Ars when citizen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legal judgment. Next, it reviewed the classic ideal type of “Law as Ars”—a notion flowing from techne to ars in Latin—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core conceptions about legal judgment. After this analysis, based on the fact that Ars of legal judgments may be obtained through the repeated inquiry of problem-solving with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 for legal judgments as Ar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ideal type of legal judgments as well as consumm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continuous experiences that transact with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s, Ars of a legal judger forms an internalized style, which is a disposition-system toward legal judgment. The practice of acquired Ars is interconnected with experiences of a legal judger, experiences of judicial participants(lawyer, litigant parties etc.) and experiences of the citizens as a member of a community. Such a viewpoint on Ars reveals the meaning of legal judgments that create life with an active participation in legal matters, including full and live experiences, by allowing citizens to critically look into the following: first, what elements should be at the core when legal judger makes legal judgment, and how they affect life and growth of the citizens; second, how judicial participants influence a community through legal judgment; and third, how legal judger—including judicial participants—treat law. In the conclusion, on the perspectives that Ars of legal judgment can be acquired through a qualitative problem-solving that offers vivid experiences regarding law,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stages for inquiry of legal judgment.;이 연구는 민주적인 사법에 의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게 만드는 법적 판단의 이념형과 실천적 과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법적 판단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의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하나는 누가 맡더라도 같은 결론이 도출되는 법적 판단이고 다른 하나는 사안 자체의 해결 과정에 주목하는 법적 판단이다. 전자의 입장 중에서도 이성에 의해서만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법적 판단이 도출된다고 보고 법적 판단을 일종의 수학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견해가 제시되기도 하였는데 이와 같은 입장을 이 연구에서는 ‘법적 판단의 형식주의’라고 특정하였다. 반면 후자의 입장은 사안 자체의 해결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인간 경험을 활용하는 법적 판단이 도출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본 연구는 먼저 논리와 이성에 의해 법적 판단이 내려져야 한다는 상이한 입장들이 결국 법적 판단의 형식주의로 수렴됨을 비판한다. 그런 다음 이원론적 이성 개념에 입각한 법적 판단의 잘못된 이해를 극복하기 위해 유기체적 공통성에 의한 인간의 경험을 활용하는 법적 판단의 방식에 대해 고찰한다. 필자는 먼저 시민이 직접 사법에 참여하였던 고대의 경험에서 법을 테크네로 파악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희랍어 “테크네”로부터 라틴어 “아르스”로 이어지는 개념을 법적 판단의 형성이란 문제에 중점을 두며 재구성하여, ‘아르스로서의 법’이라는 고전적 이념형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문제를 해결하고 유·무형의 산출물을 제작해내는 반복적인 경험에 의해 법적 판단의 아르스가 얻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법적 판단의 이념형과 실천이 반영된 모델로서 아르스로서의 법적 판단의 탐구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법적 판단자의 아르스는 환경 및 상황과 상호작용하는 연속된 경험 속에서 법적 판단에 대한 규칙적인 성향체계와 내면화한 일정한 스타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획득된 아르스의 실천은 법적 판단자의 경험과 당사자를 비롯한 사법 참여자의 경험, 그리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시민의 경험과 연동된다. 이와 같은 아르스에 관한 고찰은 첫째, 법적 판단자들이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법적 판단에 임하여야 하며 그것이 자신의 삶과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둘째, 사법관료의 법적 판단이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셋째, 사법관료를 비롯한 법적 판단자들이 법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시민들이 비판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법에 참여하여 충만하고 생생하게 법을 경험하면서 살아가는 삶을 만들게 한다는 점에서 법적 판단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는 법적 판단의 아르스가 법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는 질적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 구해질 수 있다고 보았고, 법적 판단의 탐구 과정의 실천적 단계를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