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호-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creat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7-09-08T09:00:40Z-
dc.date.available2017-09-08T09:00:4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6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69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79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 authoring tool for educational contents of smart device, which is assuming that practical use of smart device as an educational platform. To do the research, the change of paradigm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education are considered. In the pre-existing educational paradigm, teachers deliver some kind of specific ‘knowledge’ to students in one direction. But these days, the paradigm has been changed so that students can discover by themselve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tudents' environment contextually. At the same time computer is utilized as a media player and also support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computer becomes a integrated platform for digital contents that people can create, distribute and enjoy the contents with. As a result, distribution system of digital contents has been changed. The function of smart device can be expanded boundlessly through installing softwares. And the interface is very easy to use based on touch screen. Moreover it is easy to carry. With these features, smart device is emerged as new kind of educational tool. So the fundamental functions and the features as a distribution platform for the digital contents of smart device were considered to make known this research of reform. Especially ‘e-Book’ is selected as a form of educational contents of smart device. So the usefulness of smart device was mentioned by considering the change of e-Book market and present situation of authoring tool for e-Book. e-Book is helpful to reduce the expense for creating and publishing the contents and also the market will be expanded because of self-publishing system. So the educational contents developed as a form of e-Book will be used as a textbook in school. To define the element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smart device, it was studied as follow. At first, it is studied how smart devices can be used in aspect of teaching-learning method. To do that some requirements a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within classroom and the e-Learning course development. As a result smart device can be supportive as an integrated platform to contribute teaching materials, to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the learning activity and create contents, to suppor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lso learning skills used to enhance the effect of learning for students were discussed. As independent participation of students is getting important, participative activities of students have to be helped. So learning activities are classified as the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nd group learning activity in classroom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y, and the functions are defined to be used as inherent functions of smart device. Lastly, the function to deliver various media objects was focused. There are 2 opposing theories. ‘Dual-coding theory’ is the first. In the human cognitive system, there are analogue code to be used to mentally represent images and symbolic code to be used for mental representations of words. So when these 2 code are mixed, students can learn more effectively. But the ‘Cognitive load theory’ insisted that excessive information can lose the learning effect. Synthetically, gathering up the threads, it is found that the way to diversify the media object. To verify the utilization of new kind of media object, analysis about subject curriculums are applied. As a resul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media objects are defined and assort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function. First, it is to deliver the contents substances. In this class fundamental medial objects and complex media objects are included. Second, it is to support students’ creation. Using the input tools of smart device, students can draw pictures, write letters and so on. Third, it is to help the interaction. They help related people can communication each other, using SNS. Fourth, it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learning. Evaluation system is exclusive character of educational cont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quiz. These media object are too complex to create. So the authoring interfaces are modularized. It will make easy to create complex media objects by entering some essential information. Also, when it forms like e-Book, layou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contents. So the user interface of authoring tool is focused on the layout. So when authors wants to insert media objects, the first thing to do is define the layout. And if the authors are not familiar with the design, they can use the templates supplied. Templates are consist of normal type, report type, test type and lecture type, and there are visual variations in low rank. Through this authoring steps, contents are created. To distribute the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is needed. Authors can choose whether sell them with expense or not. Also they can deliver the contents to particular group. This research has advantage to make various types of media objects based on educational theor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is process, various educational theories and smart device’s potential possibilities are considered. In the past research, they were almost focused on the outcome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But this research, new kind of media objects are defined and authoring interfaces are suggested. It can be the valuable point of this research.;본 연구는 교육적 목적을 가진 콘텐츠의 플랫폼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스마트 디바이스용 교육 콘텐츠의 쉬운 저작을 위한 저작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을 중심으로 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과거의 교육은 교수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면, 지금의 교육은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학습 효과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학습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컴퓨터가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컴퓨터는 다양한 미디어 요소들을 재생하는 플랫폼으로써 활용될 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함으로써 교육적 활용가치를 더하고 있다. 특히 누구나 콘텐츠를 저작하고 유통하며 향유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으로써 기능하여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유통 체계를 바꾸어놓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컴퓨터처럼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통해 그 기능의 확장이 무한할 뿐 아니라 이동이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는 새로운 교육 도구로써의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적 특징과 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써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의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 콘텐츠의 형태로 e-Book을 선정, e-Book을 둘러싼 시장의 변화와 저작 도구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를 둘러싼 교육적 활용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e-Book은 저작과 출판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매체로써 가치를 갖고 있으며, 1인 출판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앞으로 더 많은 콘텐츠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e-Book의 형태로 개발된 교육 콘텐츠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과서처럼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운용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의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교수-학습 설계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는 수업 설계 관점 및 e-Learning의 코스 설계 관점에서 요구되는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디바이스는 교수자료를 전달하는 통합적인 플랫폼이자, 학습자의 학습 참여를 돕고 저작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수자와 학습자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수행하는 학습 기술에 대한 측면에 대하여 논의하였는데 학습자의 주체적인 참여가 중요해 지면서 학습자의 참여 행위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일어나는 개별 학습과 그룹 학습, 수업 외 시간에 일어나는 자기 주도적 학습 기술을 각각 분류하고 이러한 학습 기술에 대한 지원 요소를 정의하였다. 이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재된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교수매체의 전달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육에 있어 멀티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상반된 의견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언어적 인지 체계와 시각적 인지 체계가 분리되어 있어 복합적인 감각을 사용할 때에 학습 효과가 향상된다는 이중부호화이론과 과도한 정보의 제공은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오히려 떨어뜨린다는 인지 부하 이론을 종합하여 미디어 객체들을 다양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들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교육 과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객체를 정의할 수 있었는데, 목적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로 교육 내용 전달을 위한 미디어 객체로써 기본적인 미디어 객체는 물론 복합적인 미디어 객체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미디어 객체가 여기에 포함된다. 둘째로 학습자 창작형 미디어 객체를 정의하였는데 스마트 디바이스가 갖고 있는 입력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등의 참여 행위를 지원한다. 셋째로 상호작용을 위한 미디어 객체로써 이는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전문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SNS를 활용하여 의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를 위한 미디어 객체를 들 수 있는데 이는 교육 콘텐츠의 변별적 특징으로써 학습 효과를 평가하는 퀴즈와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 이렇게 분류된 미디어 객체들은 복합적 형태를 띠고 있어 저작 과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작도구를 정의함에 있어서 미디어 객체를 저작하는 방식을 모듈화 함으로써 저작자는 간단히 필요 정보만 입력함으로써 복합 객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UI를 정의하였다. 또한 e-Book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때에 레이아웃을 정의하는 것이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이는 방안이라고 보고, 레이아웃 정의를 우선에 둔 저작 UI를 개발하였다. 저작자가 디자인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이라고 가정했을 때 시각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기획하였다. 템플릿은 일반형, 보고서형, 시험지형, 동영상 강의형 등 기능적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하위에 시각적 다양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저작 과정을 거쳐 제작된 콘텐츠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통 시스템을 거치게 되는데 유통 과정에서 유료 판매 및 무료 배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특정 그룹에게 전달 가능한 유통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개인 출판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교육적으로 활용함에 있어 그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미디어 객체를 정의하고 이를 저작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미디어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해당 객체가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보이는가에 초점을 두고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객체 타입을 정의하였으며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연구의 관점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개요 1 B. 연구의 필요성 4 C. 연구 방법 5 II. 환경 분석 7 A. 교육 환경과 콘텐츠의 변화 7 1. 교육 콘텐츠의 특징 7 가. 교육의 3요소 7 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8 다. 교수 방법의 형태 13 라. 교육 콘텐츠의 변화 15 2. 컴퓨터 기반 교육 콘텐츠 18 가. e-learning의 정의와 특징 19 나. e-Learning 시스템의 구성 요소 22 다. e-Learning 콘텐츠의 구성 24 라. 국내 e-Learning 콘텐츠 개발 현황 25 B. 스마트 환경에서 콘텐츠 시장의 변화 양상 고찰 31 1. 스마트 디바이스 콘텐츠 시장의 특징 31 가. 디지털 콘텐츠 환경의 변화 31 나. 스마트 디바이스의 특징 36 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 40 C. 교육 콘텐츠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결합 44 1. 스마트 러닝의 확산 44 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장 44 나. 교육 콘텐츠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결합 46 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 콘텐츠의 활용 51 2. 디지털 출판 시장 변화 53 가. e-Book 시장 54 나. e-Book의 형태 57 다. 저작도구 현황 59 라. 교육용 e-Book 저작도구 62 III. 저작도구 설계 67 A. 연구 설계 67 1. 교실 수업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맥락 67 2. 미디어 객체 정의 68 3. 저작 관련 환경 정의 69 B. 교수학습 활동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계 69 1. 교수학습 설계 관점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69 가. 스마트 러닝과 수업 설계 69 나.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과 학습 행위 73 다. 교수학습 설계 측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역할 79 2. 학습자 관점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81 가. 학습 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 81 나. 수업 중 개별 학습 활동 84 다. 수업 중 협동 학습 활동 85 라. 자기 주도 학습 85 마. 학습자 측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역할 86 3. 교수매체 관점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88 가. 교수매체로서의 멀티미디어 88 나. 멀티미디어 교수 매체와 스마트 디바이스 95 다. 교과 분석을 통한 멀티미디어 활용 가이드라인 분석 100 C. 미디어 객체 정의 104 1. 미디어 객체의 구분 104 가. 교육 내용 전달을 위한 미디어 객체 104 나. 학습자 창작을 위한 미디어 객체 105 다. 상호작용 지원 미디어 객체 106 라. 평가를 위한 미디어 객체 106 2. 유의미한 미디어 객체 도출 107 가. 교육 내용 전달 미디어 객체 107 나. 학습자 창작형 미디어 객체 110 다. 상호작용 지원 미디어 객체 111 라. 평가를 위한 미디어 객체 112 D. 저작도구 정의 113 1. 기술 환경 113 가. 저작 환경 113 나. 유통 환경 114 2. 저작 도구의 인터페이스 116 가. 메뉴 구성 116 나. 레이아웃 119 다. 모듈화 120 라. 템플릿 132 IV. 결론 136 A. 연구 결과 136 B. 제언 139 참고문헌 141 ABSTRACT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467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스마트 디바이스용 교육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of authoring tool for educational contents of smart device-
dc.creator.othernameLee, Yoo Jin-
dc.format.pageix,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