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이윤지-
dc.creator이윤지-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21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2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7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7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7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시행 및 운영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문화예술 담당자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경기도 지역의 교육지원청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를 중심으로, 장학사들과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장학사들과 교사들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목표를‘생활 속 문화예술의 확대’, ‘학생들에게 예술교육에 대한 참여기회 확대’, ‘성취기회제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장학사들과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목표는 공교육을 통해 학생 누구나 자신의 관심과 적성에 따라 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도록 하는데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 참여한 장학사들은 지원사업의 목표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지향점과 동일한‘생활 속 문화예술의 확대’를 강조하였으며, 이는 장학사들이 교육부에서 의도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을 생각할 때 문화예술의 내적가치에 비중을 두고, 학생들이 일상 안에서 예술적 향유를 누리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나타낸다. 교사들은 실제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얻게 된 예술 활동‘기회 제공’과 ‘기회 확대’라는 목표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교육지원청 장학사들에 비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목표에 대해 다소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점이 드러났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담당자들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운영 면에서 예산상 및 정책상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먼저, 한 가지 지원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학교 자체 예산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야만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책상의 문제점으로 매년 지원사업에 따른 예산 확보의 어려움과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불확실함이 드러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성과는 학생 및 학부모의 문화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 악기 교육을 통한 협동 및 배려, 악기 연주에 따른 성취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성과는 본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같은 맥락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즉, 교육담당자가 인식하고 있는 목표가 교육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담당자들 상호 간의 소통에 따른 학교문화예술교육 목표 공유의 중요성과 더불어,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학교 현장의 실질적이고 다각적인 관찰을 통해 각 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예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교육현장의 현실적인 인식을 반영하여 질적인 성장을 이루기를 기대한다.;As part of public policy in Korea, programs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s involve a variety of parti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how such programs are being perceived by those who have to put them into practice on the working level. Therefore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teachers from participating schools as well as administrative education supervisors in Gyeonggi Province where several of such programs were established recently. In doing so the assumption was followed that a more complex understanding of the respective mechanism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ssociated with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arts and culture in schools can be achieved by juxtaposing the supposedly different perspectives of administrative supervisors on the one hand and teachers who are actually working in the school on the other. The answers given by the interviewees in regard to their perception of the goals that art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embody are subsumed under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ly, the augmentation of the role that art-involving cultural practices play in the lives of students and their families is seen as a major goal whereas secondly, the aspect of providing the opportunity of access to these practices for children who otherwise could be seen as underprivileged in this regard is being stressed. Thirdly, art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are perceived to aim at facilitat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personal success and accomplishment. While both groups of the interviewed share the perception that public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aim at provid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the fine arts, especially music, to any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talents and social background it is the especially the education supervisors who tend to see the goals of the programs in the first point, the student's personal enrichmen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ir perceptions show a stronger correlation with the program intentions as they are defined by the governmental side. In comparison to that, the teachers tend to show a lesser awareness of these officially defined goals and see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more factual, specific achievements like the provision of access to an arts education for every student despite their parental background. However, a more homogenous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upervisors can be observed regarding issues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articularly budgetary problems, as well as deficits in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programs, are highlighted, i.e. when schools have to provide funds from their own budget in order to fully implement a certain program or teachers have to deal with the uncertainty if their program will continue to receive funding in the following year.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rviewed teachers and education supervisors perceive that the above-mentioned educational programs d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ole that art and culture play in the live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addition to that, activities in music are reported to enable students to acquire important social skills and learning a musical instrument does provide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personal success. Hence, a correspondence in the interviewee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goals and their actual outcome can be identified.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way in which the goals of an educational program are being perceived affects its actual outcome. In consequence, the analysis of involve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upervisors' perception of art and culture educational programs in schools as it has been undertaken in the present study can play an essent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se program's conceptual design as well as the way of their implemen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4 B. 문화예술교육의 세계적 동향 8 C. 학교문화예술교육 12 D. 선행연구 고찰 16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연구절차 21 C. 연구도구 23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30 A.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목표에 대한 인식 30 B.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운영에 관한 인식 36 C.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성과에 따른 인식 50 Ⅴ. 결론 및 논의 58 참고문헌 64 부록1. 장학사 대상 면담 질문지 67 부록2. 교사 대상 면담 질문지 69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00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문화예술 담당자들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with involve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upervisors-
dc.creator.othernameLee, Yoon Ji-
dc.format.pagevi, 74 p.-
dc.contributor.examiner박소현-
dc.contributor.examiner박은경-
dc.contributor.examiner신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