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9 Download: 0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 실행연구

Title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 실행연구
Authors
김예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WPBS)은 학교의 모든 물리적, 사회적 맥락에 긍정적 행동지원 원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모든 학생에게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문화 및 행동지원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접근이다(Todd, Campbell, Meyer, & Horner, 2008). 이는 행동지원의 계획과 실행 과정에서 학생의 요구에 맞추어 행동지원 연속체 안에서의 지원 강도를 결정하고 제공하는 다층적 예방 모형(multitiered prevention model)을 적용하게 된다. 다층적 예방 모형은 보편적 지원(1차 예방)과 표적집단 지원(2차 예방), 개별 지원(3차 예방)의 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원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중재의 강도도 높아진다. 보편적 지원은 학교의 모든 학생과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학교차원의 기대행동과 규칙을 정하여 모든 환경에서 일관되게 적용하며 이를 통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지도하고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둔다. 표적집단 지원은 보편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문제행동이 지속되거나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학생들을 대상에게 좀 더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소집단 형태의 교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회성 기술 교수, 체크인체크아웃(Check-In Check-Out, 이하 CICO)/행동교육프로그램(Behavior Education Program, 이하 BEP), 자기점검전략, 멘토링 등이 활용된다. 마지막 단계인 개별 지원은 보편적 지원과 표적집단 지원을 제공했음에도 문제행동이 유지되는 학생들에게 기능평가를 실시하여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한 후 개별화된 행동중재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하는 것으로, 가장 강력하고 집중적인 행동지원이 제공된다. 한편 많은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성과가 발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연구들은 주로 보편적 지원과 개별 지원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어 표적집단 중재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수가 적었다. 그러나 표적집단 중재가 문제행동의 예방과 바람직한 행동 지도에 효과적임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효과적인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표적집단과 관련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다층적 예방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2차 예방 즉,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표적집단 중재 자체의 효과 및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과정에서의 표적집단 중재 효과를 탐색할 기회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보편적 지원을 실시한 서울 소재 G초등학교에서 진행되었으며 중재 대상으로 선별된 10명 학생들(특수교육대상학생 2명 포함)을 대상으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G초등학교 특수교사 2인과의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행연구절차에 따라 G초등학교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후 특수교사 2인과 표적집단 중재를 통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여 사회성 기술 교수, 자기점검교수, 학급연계, 부모연계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표적집단 중재는 오리엔테이션 및 수료식을 포함하여 총 18회기로 구성되어 G초등학교 3학년 1반 학급 교실에서 토요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회기의 사회성 기술은 정의 및 토론 유도, 긍정적인 예 제시, 부정적인 예 제시, 복습 및 정의 재확인, 활동(모델링, 모둠활동), 일반화(역할극), 실천 계획 수립의 7단계로 진행되었다. 학습한 사회성 기술 내용과 스스로의 행동은 자기점검활동을 통하여 점검되었고 학급안내문과 가정안내문을 회기마다 제공하여 사회성 기술의 일반화와 유지를 위한 학급 및 부모연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또래모델을 모집하여 모든 과정에 표적집단 중재 대상 학생과 동일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표적집단 중재가 대상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교우관계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종속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참여관찰, 문서자료, 면담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진행 과정 및 참여자의 변화를 설명하는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참여한 학생, 부모 및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한 후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초등학교 특수교사 2인과의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을 통하여 표적집단 중재 대상 학교 및 학생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성 기술 및 자기점검 교수, 학급연계와 부모연계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둘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가 참여한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전과 사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표적집단 중재가 보편적 지원에 반응하지 않는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및 교우관계를 향상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참여한 학생, 부모 및 교사의 인식과 경험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시작, 과정, 성과평가, 개선방안의 4개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개발한 표적집단 중재 방안이 대상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교우관계 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현장에 잘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행 책임자의 헌신과 노력, 교사 간 협력, 학교 관리자의 지지, 전문 인력의 지원 등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을 통하여 그간 간과되었던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 방안을 개발 및 실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 행동상의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의 문제행동 감소, 사회성 기술 및 교우관계 향상을 통해 보다 심각한 문제행동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예방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 예방의 의미와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다층적 예방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표적집단 중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적용을 통하여 표적집단 중재의 효과 검증을 위한 이론적 근거들이 제시되어야할 것이며 아울러 표적집단 중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WPBS), which is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a school in every physical and social context, is an approach establishing a social culture and a behavior support system in order to be equipped with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all students. It applies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that determines and supplies the intensity of support in the continuum of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in the process of planning behavior support and carrying out the plan. The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consists of three levels, universal support (tier 1 prevention), targeted group intervention(tier 2 prevention) and individualized support (tier 3 prevention) and as the level gets higher, the intensity of support becomes stronger. The universal support aimed at every student and school staff makes rules and expectation behavior at the school level, applies them consistently under any circumstances, and focuses on the guidance of desirable social behavior and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s aimed at the students having trouble in peer relationship or showing constant problem behavior in spite of the universal support and gives them more intensive and systematic teaching as a small group form, using social skills teaching, Check-In Check-Out(CICO)/Behavior Education Program (BEP), self-monitoring strategy and mentoring etc. The individualized support, the last level, is aimed at the students who continues their problem behavior despite the universal support and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After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problem behavior by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it supports through an individualized behavior intervention plan, which is the most powerful and intensive. Meanwhile, there has been published the results of SWPBS by man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vious studies, but these have mainly focused on verifying an effect of the universal support and the individualized support and the ones about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ere relatively infrequent. However, as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in the guidance of desirable behavior and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 it drew much attention and consequentially the current trend is an increase in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nd verifying an effect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Nevertheless, we could hardly find a study related this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ternally.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a critical mind that we need to have a chance to develop solutions of the second prevention,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hich have been relatively ignored in the process applying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of SWPBS to an actual field as I mentioned, to investigate an effect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tself and the effect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 the practice course of SWPBS.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3rd graders at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the universal support had been conducted. Aimed at selected 10 students(including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targeted group, this study developed a plan of the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racticed that and analyse the effect. This process was worked out with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G Elementary School through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dure, after figuring out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G Elementary School. As discussing with those teachers about a improvement plan through targeted group intervention, developed a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lan consisted of the 4 elements. These are social skills teaching, self-monitoring teaching, link with general classes and parent link. And based on the professionals' investigation of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all these processe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as made up of 18 sessions including orientation and completion ceremony. The program was held at 3 grade 1 classroom of G Elementary School on Saturdays and all the social skills in those sessions proceeded into 7 steps, definition and guided discussion, positive example, negative example, review and restate definition, activities(modeling, group activities), generalization (role play), action plan. The achieved social skills and their own behaviors were checked by self-monitoring activity, and link with general classes and parent link for generalizing and retaining social skills was practiced by distributing them notices for class and home on every session. Besides, peer models were advertised and they participated in every process in the same method with students involved in targeted group interven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rgeted group prevention on the participated students, the study used scales of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rs, peer relation and the difference of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zed through the dependent t-test.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document data and interviews was used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ng process and participants' change. After having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know their experiences and awareness, continuous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based on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ith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G elementary school, targeted school and students'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was figured out. In order to improve those matters, targeted group intervention consisted of 4 elements, social skills teaching, self-monitoring teaching, link with general classes and parent link, was developed and practiced. Secondl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roceeded through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is result, the fact that targeted group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eer relation, social skills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the students who had not responded to universal support was confirmed. Thirdly,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4 themes (beginning, process, outcomes, improvement plan) were deducted in their experience of targeted group intervention and the practice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accordance to the mentioned results, developed targeted group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 social skills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for the aimed students, and in order for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be applied to an actual field, there should be devotion and efforts of a manager in charge, cooperation among teachers, support from school administrators and assistance from professionals. At the time an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exp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develop, practice and analyse the effect of a targeted group intervention plan, the second prevention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had been relatively unnoticed among three steps,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lso the fact that this program prevented development possibility towards more serious problem behaviors through improving peer relation, social skills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the students and all these made certain that the second prevention is important and significant.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which could apply multitiered prevention mod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more effectively to the education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