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애란-
dc.contributor.author인수정-
dc.creator인수정-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6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97-
dc.description.abstract과학 탐구는 과학 교육에서 강조되어 온 핵심 주제이나 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효능감이 부족하여 과학 탐구 수업을 시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많은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 즉, 과학 실천 수업을 1년간 수행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실천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효능감이 무엇인지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밝히고, 4명의 연구 참여 교사들이 갖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은 효능감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과학 실천 수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하는 과학 실천 교수 효능감은 과학 실천 수업 계획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다르게 나타났고, 각 단계에서의 효능감은 수업 관리 효능감, 교수 전략 효능감, 교과 지식 효능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 실천 수업 계획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과학 실천 수업 개요 설정 효능감’,‘과학 실천 간 논리적 조직 효능감’,‘과학 실천 별 적절한 발문 계획 효능감’,‘과학 실천을 하는 학생에 대한 이해 효능감’이 포함되었으며, 교과 지식 효능감에는‘교과 지식 및 과학 실천 이해 효능감’,‘핵심 개념 설정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과학 실천 수업 수행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과학 실천 별 시간 배분 효능감’,‘과학 실천 교실 문화 정착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과학 실천 동기 부여 효능감’,‘과학 실천 적응적 교수 효능감’,‘능동적 사고 기회 제공 효능감’,‘과학 실천 별 논의 참여 독려 효능감’,‘과학 실천 별 참여도 평가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실천 수업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으로 교과 지식 효능감은 언급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실천 수업 계획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은 대부분 갖고 있었지만,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은 거의 갖고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시행했던 교사 학습 공동체 모임이나 멘토링을 교실 상황 중심으로 강화하고 수업 관찰이나 수업 녹화 영상에 대한 토론 등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적 고찰 기회를 좀 더 충분히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교사 학습 공동체 모임에서 과학 실천 수업을 함께 계획하였지만, 교사별로 갖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은 과학 실천 교수 효능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과학 실천 수업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동기부여가 된 참여 교사들과 과학 실천 수업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직접 경험한 참여 교사들은 갖고 있는 과학 실천 교수 효능감의 수가 많았다. 이는 과학 탐구 또는 과학 실천 수업에 대한 교사의 교수 지향이 중요한 요소이며, 지속적인 과학 실천 수업 경험을 통해 성공적인 학생 학습 과정 및 결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It is the science inquiry that has been emphasized as a main subject in science education on the many precedent studies. However, it has been mentioned that lots of science teachers have difficulty attempting to apply science inquiry class and they have a lower level of efficacy in the science inquiry clas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types of efficacy, which teachers considered necessary for science practices class, by analyzing the individually interviewed data from th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who conducted science practices class for one year and find out what types of efficacy the four involved teachers have or do not have.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ypes of efficacy of science practices teaching considered necessary by the teachers who involved in the study are different at the pre-stage and task-stage of science practices class. The types of efficacy can be categorized into class management efficacy, teaching strategy efficacy, and subject knowledge efficacy. At the pre-stage of science practices class included is‘efficacy of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science practices class’. Teaching strategy efficacy includes‘efficacy of setting outlines of science practices class’,‘of logical organization of science practices’,‘of preparation of appropriate questions by science practices’, and‘of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ing science'. As for subject knowledge efficacy, it includes‘efficacy of 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and science practices’and‘efficacy of distinguishing the core concepts’. At the task-stage of science practice class, class management efficacy takes in‘efficacy of distribution of time for each science practices’and‘of establishment of the culture of science practices class’. In terms of teaching strategy efficacy, it incorporates‘efficacy of providing motivation for practicing science’,‘of promoting participation in discussion on each science practice’, and‘of assessing degrees of participation in each science practices’. Secondl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most of the efficacy required for the pre-stage of science practices class, yet they almost lack the efficacy needed for the task-stage. This outcome suggests that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utoring based on class situations as implemented in this study be intensified and the opportunity for reflective thinking about teaching practice through class observation and discussion on recorded lessons be more abundantly provided. Thirdly, the teachers in this study prepared and implemented science practices class together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science practices teaching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y already have. The teachers who were motivated by the willingness to science practices class and who experienced their students’positive experiences by directly taking part in science practices class have more types of efficacy of science practices teaching. This demonstrates that teachers’orientation to science inquiry or science practices class is an important factor and insists that teachers be encouraged to go through students’learning process and outcome by constant experience of science practices class. This study can help the teachers struggling to conduct science practices class to figure out the useful implications related to teaching efficacy and provide meaningful resources for the following studies to develop a science practices efficacy te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7 A. 과학 탐구 수업 7 B. 교사 효능감 10 C. 과학 교수 효능감 15 Ⅲ. 연구 방법 22 A. 연구 절차 22 B. 연구 대상 23 C. 자료 수집 23 D. 자료 분석 29 Ⅳ. 연구 결과 36 A. 과학 실천 수업을 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실천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효능감 36 B. 과학 실천 수업을 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갖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은 효능감의 특징 54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80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9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과학 실천 수업을 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실천 교수 효능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Science Practices Teaching Efficac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Who Conducted Science Practices Class-
dc.creator.othernameIn, Soo Jeong-
dc.format.pagev, 89 p.-
dc.contributor.examiner우애자-
dc.contributor.examiner이현주-
dc.contributor.examiner최애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