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uthorKOO, DEBORA-
dc.creatorKOO, DEBORA-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13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1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1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1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86-
dc.description.abstractCultural identity is a significant aspect of identity in that it can provide a sense of symbolic belonging and community to one’s personal identity. One can identify as part of a member of a group or nation, and participate and also develop and form his or her identity in the larger context of culture that he or she inhabits. These are also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one’s self-esteem, which in turn influences self-identity formation and socio-emotional stability. When this stable sense of identity is disrupted enough to destabilize and fragment one’s identity, it can be said that one goes through a cultural form of identity crisis. Today it can be said that more contemporary people find themselves in a state of in-betweenness and or multiple identities as they increasingly find themselves in a space between multiple cultures and backgrounds, particularly in the midst of globalization. Their sense of belonging can easily become transferred into a sense of loss, confusion, or incompleteness. If cultural ident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self-identity, contemporary people increasingly find themselves surrounded by disparate cultures and cultural products in their everyday lives. My own personal background became keener to such dramatic changes with globalization and the co-existence of multiple cultural products from recent decades. This was especially felt when as a Korean native, I came back to Korea long term after living in the States for twenty years and I found myself in a state of sudden diffusion and confusion of my identity. Although in America I had developed a sense of identity of being both Korean and American and alternated harmoniously between the two cultures, in Korea I felt that I had to be one or the other. People were also confused about whether they should treat me as a Korean or American and through these experiences, I came to see myself as belonging to neither of the ethnic and cultural identities, a state that I identified as “in-betweenness.” Who am I? And am I incomprehensible? These questions I asked myself conveyed the state of instability and the constantly shifting of the sense of the self. This identity crisis of not being able to identify myself to a fixed category led me to think back to my first years in America when my was father still a student supporting a family of five, during which I had tried to shed aspects of my Korean cultural identity that had made me feel less American, inferior, and unclean compared to my upper middle class White-American lifestyles. I saw distinctive Korean objects in my home that I did not see in my friends’ houses such as Korean pink rubber gloves hanging on the edge of the kitchen sink, specks of dried seaweed sheets on the kitchen counter and vinyl floor after my mom had cut them up with scissors, and remnants of hot pepper flakes stuck in between my father’s teeth. As I grew up, I learned that the disparities between my home and my friends’ homes were not entirely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I developed a more confident and balanced sense of both cultures, which formed by hybrid identity. Upon returning to Korea, I was going through a similar experience again, of feeling shame and confusion for not being just one cultural identity. Much like artist Jim Dine who used nostalgic, ordinary objects like tools and bathrobes as a symbol for himself, through my confused experiences, I chose ordinary objects such as pink rubber gloves as a symbol for my in-betweenness, as well as their bright pink color as a visual lens through which I could express and depict shock, fascination and the social disparities I felt as an in-between in Korean society. After two years of grappling with my identity issues through my artistic processes, I eventually came to a new understanding of identity which liberated me from the emotions of instability that came with not having a fixed sense of identity. This liberation, or free-floating of identity, connected to postmodernist thinkers who insisted on the subject’s multiplicity and emphasized its state of chaos. Furthermore, I learned that instead of thinking of identity as something that can be finished or completed, I should think of identity as identification which emphasizes the on-going ideation process. I learned that my identity is always susceptible to change or in the midst of being formed and shaped in reaction to my social surroundings. My return to still life painting, which I had intended to continue studying from my undergraduate years when I came to Korea, conveys the freeing of my identity issues in needing to have a complete sense of identity. As well, what I learned about identity also affected my art making in still life painting that reflected my new realizations of identity. Although in my recent works I continued to paint ordinary objects again and again as I had in my undergraduate years, a practice that was inspired by painter Giorgio Morandi, this repetitive act of depicting ordinary objects of plastic bottles and meat came to reflect the decentered subject’s state of multiplicity. I still utilized the ordinary object as a symbol for myself, my coming in terms with the concepts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confusion and inferiority I felt. I continued to highlight my identity crisis experiences with intimate and mundane objects rather than more abstract methods in the area of painting, performance arts, and other means. My formal, painterly interests in light, color, form, and shadow still existed, but the expression of these aspects changed in form as well. For example, the brighter and varying color background choices for my still life came to represent the constantly changing contexts of one’s identity. The overarching themes of my artwork convey my changed ideas of identity and my reactions to my thoughts before and after my realizations. Through drawing, performance, and painting, I was able to express my journey of coming in terms wit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in today’s fragmented and globalized backdrop.;문화적 정체성은 그것이 개인에게 상징적 소속감 및 공동체 의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아형성에 중요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개인은 소속된 집단이나 국가의 일부로서 자아정체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그가 속한 문화라는 보다 큰 맥락에 속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개발하고 형성해 갈 수 있다. 문화적 정체성은 또한 자존감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들이며, 다시금 자아정체성이나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안정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정 문화에 속하지 못할 경우 안정감이 붕괴되어 개인의 정체성이 불안정해지고 해체될 경우, 자아는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인의 개인적인 삶도 최근 수십 년 동안 일어난 세계화 및 다중 문화적 산물들이 공존하는 급격한 환경적 변화에 영향을 받아 왔다. 한국 태생으로서 미국에서 20년 동안 교육을 받고 생활한 후에 한국에 다시 귀국하게 되면서 본인은 갑작스런 정체성의 분산과 혼란이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한국인 및 미국인 둘 다로서의 정체성을 지니며 그 두 문화 사이를 조화롭게 오갈 수 있었으나, 한국에서는 그 둘 중의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고 느꼈다. 한국인들 또한 그들이 나를 한국인으로서 대해야 할지 아니면 미국인으로 대해야 할지 혼란스러워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내 자신이 민족적 정체성 및 문화적 정체성 중 어느 것도 아닌 것, 즉, ‘경계선’상에 위치해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나는 불가해한 존재인가?” 스스로에게 던진 이런 질문은 자아 인식의 불안정성 및 끊임없는 변화를 드러내었다. 자신을 고정된 정체성으로 분류할 수 없으면서 생겨난 정체성의 위기는 본인의 아버지가 학생 신분으로 다섯 식구를 부양해야 했던 초기 미국 생활을 떠올리게 하였다. 당시 본인은 백인 친구들의 상위 중산층 미국인의 생활 방식에 비해 덜 미국적이고 열등하고 부정하다고 느끼게 했던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벗어버리고자 노력했다. 집에는 친구들의 집에서는 찾을 수 없는 한국적인 것들, 예컨대 부엌 싱크대 모서리에 걸려 있는 분홍색 고무장갑, 어머니가 가위로 잘라낸 후 부엌 조리대와 비닐 바닥 위에 떨어진 김 부스러기, 아버지 이빨 사이에 낀 고춧가루들이 눈에 띄었다. 나이를 먹으면서 본인은 자신과 친구들의 집에 존재하는 차이가 완전히 문화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정체성의 일부가 된 두 문화에 대하여 보다 자신감 있고 균형 잡힌 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귀국한 후에, 본인은 어느 하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갖지 못함으로 인하여 느끼게 되는 부끄러움과 혼란의 유사한 경험을 반복하게 되었다. 공구나 목욕용 가운 같이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일상적 물건을 자신의 상징으로서 사용했던 예술가 짐 다인(Jim Dine)과 상당히 유사하게 본인은 혼란스러운 경험을 통해 경계성의 상징으로서 한국의 일상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분홍색 고무장갑과 같은 물건뿐 아니라 본인이 한국 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 느꼈던 충격, 매혹, 그리고 사회적 격차를 표현하거나 묘사하는 시각적 연출로서(목적으로) 밝은 분홍색을 선택했다. (회화)작업으로써 위와 같은 혼란스러움을 사물과 색감을 통해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의 문제와 씨름한지 2년 만에 본인은 마침내 고정된 정체성을 갖지 못함에서 오는 불안정한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고 새롭게 정체성을 이해하는 방식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해방된 상태는 정체성이 부유(free-floating)하는 상태에 놓여 있는 자아의 다중성을 인정하는 것이고, 정체성의 혼란 상태를 강조해온 포스트모던 사상가들과도 맥을 함께 한다. 또한 본인은 정체성을 완성된 것으로 인식하는 대신 정체성을 고정된 것이 아닌 계속 진행 중인 과정을 강조하는 ‘정체성화(identification)’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인은 자신의 정체성이 언제나 변화에 민감하거나 사회적 환경에 반응하여 형성되고 형상화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졸업 전, 한국에 왔을 때부터 계속 공부해 보고자 했던 정물화로 다시 돌아온 것은 정체성에 대한 본인의 새로운, 해방된 관점을 주변의 사물의 관찰을 통해 드러낸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정체성에 대하여 본인이 배운 것은 정물화 작업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을 반영하고 있다. 화가 조르지오 모란디(Giorgio Morandi)의 영향을 통해 최근 작업에서 본인은 학부 때부터 했던 것처럼 일상적 물건을 계속 반복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플라스틱 병이나 육류 같은 일상적 물건을 반복하여 그리는 행위는 탈 중심화된 주체의 다중성을 반영하고 있다. 본인은 여전히 나 자신,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이나 본인이 느꼈던 혼란과 열등감에 관한 깨달음의 상징으로서 일상적 물건을 이용하고 있다. 본인은 회화 영역, 행위 예술 및 기타 기법들을 사용해서 추상적인 방식보다는 친숙하고 일상적인 물건을 소재로 정체성 위기의 경험을 강조하였다. 빛, 색, 형태 및 음영에 대한 형식적이고 회화적인 관심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이러한 표현방식 또한 변화되었다. 예를 들어, 본인의 정물화에서 보다 밝고 변화하는 색 배경의 선택은 끊임없이 변하는 정체성의 맥락을 표현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의 핵심적인 주제는 변화된 정체성 개념과 그러한 깨달음의 전후, 이에 대한 작가의 생각과 반응을 전달하는 것이다. 드로잉, 퍼포먼스 및 페인팅을 통하여 본인은 오늘날의 분열되고 세계화된 맥락 속에서 정체성화의 과정에 관한 나만의 여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Identity Crisis 9 A. The Decentered Subj ect 9 B.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Identity 12 1. Crisis of Identity and Failure: In-between Identity 14 2. Cultural Identity in Contemporary Art : Failure as an Artistic Strategy 19 III. Working with the Ordinary 22 A. Giorgio Morandi: Repetition, Obsession, Introspection 23 B. Jim Dine: Identity in the Everyday Object 28 C. Fischli & Weiss: Failure and Humor as an Artistic Strategy 33 IV. Artwork Analysis 38 A. The Beginning: Still Life Painting 38 B. Working with In-between Identity 41 1. <Project 2014, Koo Stupid/Koo Babo> 44 2. Identity in the Everyday Object: Pink Rubber Gloves 49 3. <Shocking Pink Series>: The Voyeurs Gaze 57 4. Plastic and Meat Still Life Series 69 V. Conclusion 80 Bibliography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1859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Working with the Ordinary-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In-between Identity, In-between Subject-
dc.title.translated일상의 표현 : 경계선상의 정체성, 경계선상의 자아-
dc.creator.othernameDebora Koo-
dc.format.pageix,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