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관악부활동이 고등학생의 음악적 태도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관악부활동이 고등학생의 음악적 태도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Wind Ensemble Activity on Music Attitude
Authors
안지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usic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wind ensemble activity, and how the musical activity affects on their academic stress. For this study, research on 31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S high school in Gyeonggido was carried out. The wind ensemble activity was performed for 7 weeks and the changes in musical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were measured by using the pre and post test. The inspection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usical attitude questionnaire by Shaw and Tomcala (1976) and the academic stress questionnaire by Byung-ki Park and Sun-mi Park (201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wind ensemble activity, and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wind ensemble ac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matching 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mong the detailed questions on the musical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of the wind ensemble activity, the analysis of the question 7, 8 and 23 that are determining the attitude toward the music class in high school, determining the attitude toward the desire for continuous music activities, and determining the attitude to meet musicians respectively showed less positive aspect after the wind ensemble activity than before. From these results, the phenomenon that students got less interested in music class in school education and continuous music education can be observed. Secondly, the pre-post test was conducted on a research subject of whether the wind ensemble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music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 six sub–factors of music attitude, 'attitude toward school music class', 'personal attitude toward music', 'learning attitude toward music', 'social attitude toward music' and 'attitude to obta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music'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of the band, except ‘affective attitude toward music’.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ind ensemble activities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music,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hey could learn musical instruments and collaborate with their friends to develop their musical attitude. Thirdly, the analysis of question 25, which can be expressed as the class stress from the teacher among the detailed questions related to the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wind ensemble activity,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students' stress. This result is due to decrease in stress caused by assessments given by the teacher in the class. Last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level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the wind ensemb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e-post test with a research question "Does the wind ensemble a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tress level of parents associated with the class was increased in the post-test compare to the pre-test. In summary, there has been no positive change in musical attitude since the conduct of the wind ensemble activity, however there has been a positive change in relation to academic stress. From the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virtually, there is a limit to positive effect of music activity on students' musical attitude. However, the decrease in the academic stress after the wind ensemble activity demonstrates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feel sense of freedom from the pressure of the assessments by participating in the wind ensemble activity. The reason for this conflicting result can be deduc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ensemble education which are unilaterally conducted without respecting the opinions of the members, the way it is managed, or the short period of time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ind ensemble activity.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way that the wind ensemble activity is conducted and to consider how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can be respected in the wind ensemble.;본 연구는 관악부 활동이 고등학생의 음악적 태도와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악부가 운영되고 있는 경기도 S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관악부 활동은 7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사전·사후검사를 사용하여 음악적 태도와 학업스트레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는 Shaw와 Tomcala(1976)의 음악적 태도 설문지와 박병기와 박선미(2012)가 개발한 학업스트레스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관악부 활동 이전에 사전검사를 하였고, 관악부 활동 이후에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문항분석과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악부 활동을 하기 전과 하고 난 후의 음악적 태도의 세부 문항 분석 결과 고등학교 음악수업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7번 문항, 미래에도 음악활동을 계속하고 싶어 하는 태도로 이루어진 8번 문항, 음악가를 만나고 싶어 하는 태도로 구성된 23번 문항은 사전보다 사후에서의 음악적 태도에 긍정적인 면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교육에서의 음악수업과 음악교육의 지속성 측면에서의 흥미가 저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관악부활동이 고등학교 학생의 음악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관악부 활동 이전보다 이후에 음악적 태도의 긍정적인 면은 감소되었다. 음악적 태도 6개의 하위요인 중‘음악에 대한 감정적 태도’를 제외한‘학교 음악수업에 대한 태도’,‘음악에 대한 개인적 태도’,‘음악에 대한 학습적 태도’,‘음악에 대한 사회적 태도’,‘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얻고 싶어 하는 태도’는 관악부 활동 이전과 이후에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악기를 배우고 친구들과 협동하여 음악적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관악부에 참여한 아이들은 오히려 음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관악부 활동을 하기 전과 하고 난 후의 학업스트레스의 세부 문항 분석 결과 교사에게서 받는 수업스트레스를 의미하는 25번 문항은 학업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주는 과제 스트레스가 감소했다는 결과이다. 넷째,‘관악부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관악부 활동을 경험한 이전과 이후의 학업스트레스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수업영역의 부모스트레스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에 긍정적인 면이 감소되었다. 지금까지 내용을 종합해보면 관악부 활동 실시 이후에 음악적 태도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업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질적으로 관악부활동이 학생들의 음악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학업스트레스 감소결과를 통해 학생들은 관악부 활동을 함으로써 교사가 주는 숙제에 대한 부담감에서 벗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이유를 유추해보면 단원들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관악부교육의 특성 때문인지, 운영 방식 때문인지, 학생들이 관악부 활동을 짧은 기간 동안 경험한 것 때문인지 추후 연구에서 밝힐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악부활동의 운영방식을 재점검하고, 관악부 안에서 학생들의 의견이 존중될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