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근주-
dc.contributor.author김해든-
dc.creator김해든-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9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4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6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self-directed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in secondary education and their music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music teachers’self-directed development and music teaching competence, which led to the necessity of self-directed development. It also attempts to examine the needs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self-directed development and explore the ways to promote their self-directed development, providing a basic material for enhancing their expertise. In this regard, a total of 105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in Korea were surveyed on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awareness of self-directed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were highly positive, the actual situations were not sufficient. They were fully aware of the need for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the music teachers with more teaching career than those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self-directed development. In contrast, regarding the number of self-directed development programs per year, 41% of the survey participants answered ‘once-twice a year’ and‘three times a year’, respectively. The attitude for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the level of specific plans and practices were also only moderate. Therefore, more effective self-directed development program is required. Moreover, when establishing a self-directed development plan, they were most likely to ‘exchange ideas or information with supervisors or fellow teachers’ and mainly ‘used media’ during the self-directed development process. When utilizing the result, they mainly ‘analyzed and reflected on their own’. In particular, the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analyzed and reflected on their own’ compared to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with more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generalize their self-directed development results after organization, distribution, presentation in conferences or training sessions’ than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econd,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sampled in this study were above average in overall musical teaching compet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music teaching competence of the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f increase, while it showed a slight decline for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music teaching competence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The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self-directed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ttitudes toward self-directed development overall, the level of self-directed development plan practice, and music teaching compet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u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development program is suggested to enhance the awareness on the necessity of self-directed development, attitudes toward self-directed development overall, the level of self-directed development plan practice. Fourth, in the response of the most effective self-directed development, the majority of survey participants selected ‘curriculum and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attending training, workshops, lectures, seminars and conferences’, which corresponded to the most-frequently practiced self-directed development to some extent. Therefore, they mainly practiced the self-directed development types which were relatively easy to arrange and perform, realizing its effectiveness. Also, as a way to activate self-directed development, they answered that ‘autonomy and self-development will for class expertise’at a personal level and ‘time and psychological support’at a school level were most important. To integrate, in order to activate the self-directed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the reduction of miscellaneous work of music teachers by each school’s supervisor, the temporal and psychological support through awareness fostering of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the willingness of self-development of individual teachers. That is, both schools and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were positively and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that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such self-directed development were related to music teaching competence, which implied the significance of self-directed development support for them. However, in spite of such significance, its insufficient conditions revealed the establishment and supplement for the self-directed development programs for current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Particularly, since the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had low perception and practice of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low music teaching competence, and felt the need for self-directed development in classroom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relevant program development are require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review the prior works for the activation of self-directed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nd to suggest a basic material for their future development and expertise enhancem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ncrete plans and supports for raising their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self-directed development.;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수준 및 음악교수역량을 개인 배경 변인 별로 조사하고 이러한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수준과 음악교수역량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자기장학의 필요성을 도출해내는 것에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장학에 대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요구와 필요를 조사하고 자기장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음악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자기장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전국 중등학교 음악교사 105명을 목적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걸쳐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에 비해 실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음악교사는 자기장학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직경력이 5년 미만인 음악교사에 비해 교직 경력이 많은 음악교사가 자기장학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연간 자기장학 횟수는‘연 1회-2회’,‘연 3-4회’가 각각 41.0%의 응답을 나타내었으며 자기장학에 임하는 태도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정도 역시 중간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보았을 때 보다 효과적인 자기장학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또한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자기장학 모형 단계에 따른 수행은 자기장학 계획 수립 시 ‘장학 담당자 또는 동료교사와 아이디어나 정보를 교환’ 자기장학 과정 중 ‘매체 활용’을 가장 많이 실천하고 있었으며 결과 활용에 있어서도 ‘교사 스스로 분석, 반성’을 가장 많이 실천하고 있었다. 특히 교직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사에 비해 5년 미만인 교사가 자기장학 결과 활용으로 ‘교사 스스로 분석, 반성’하는 수행을 더 많이 보였으며,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사는 ‘자기장학 결과물을 정리, 배포, 연수회 또는 대회에서 발표하여 일반화’하는 수행이 교직 경력 5년 미만인 음악교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표집된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음악교수역량은 평균 이상의 교수역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개인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교직 경력이 20년 미만까지는 경력이 많을수록 음악교수역량이 높아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다가 20년 이상인 경우 음악교수역량이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수준과 음악교수역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필요성에 대한 인식, 자기장학 전반에 대한 태도, 자기장학 계획의 실천 정도와 음악교수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음악교수역량 중 전문성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음악교수역량을 높여 교원의 전문성과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자기장학의 필요성의 인식을 높이고 자기장학 전반에 대한 태도 및 자기장학 계획에 대한 실천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자기장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중등학교 음악교사는 가장 효과적인 자기장학의 영역으로 ‘교과연구회 및 교사 학습 공동체 활동’과‘연수, 워크샵, 특강, 세미나, 학술대회 등 참석’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이는 가장 많이 실천하는 자기장학 유형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보았을 때 중등학교 음악교사는 비교적 수행이 용이하고 여건이 마련되어 있는 자기장학 유형을 많이 실천하고 있고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은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교사차원에서는‘수업 전문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기발전 의지’가, 학교 차원에서는‘시간․심리적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서 각 학교의 장학담당자의 음악교사에 대한 잡무 경감과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한 시간적,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 스스로의 자기발전 의지도 중요하여 학교와 교사 모두가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등학교 음악교사는 자기장학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기장학의 인식과 실천 정도가 음악교수역량과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어 중등학교 음악교사에 대한 자기장학 지원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장학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태는 미흡하게 나타나 현행 중등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자기장학의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인 경우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및 음악교수역량이 낮으며 교과지도 영역과 학급관리 및 경영 영역에서의 자기장학의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저경력 음악교사를 위한 자기장학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시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선행과제를 모색하고 향후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프로그램의 개발과 음악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지원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D.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자기장학의 의미 5 1. 자기장학의 개념 5 2. 자기장학의 유형 6 3. 자기장학의 모형 7 B. 음악교수역량의 의미 11 1. 음악교수역량의 개념 11 2. 음악교수역량의 구성요소 12 C. 선행 연구 고찰 15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절차 20 C. 연구 도구 21 D.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24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5 A. 음악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 별 자기장학 수준 25 B. 음악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 별 음악교수역량 49 C.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수준과 음악교수역량 간의 관계 52 D.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효과인식 및 활성화 선행과제 54 Ⅴ. 결론 및 논의 58 참고문헌 65 부록 68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00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자기장학 수준과 음악교수역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elf-Directed Development and Music Teaching Competency of Music Teachers in Secondary Education-
dc.format.pagei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