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이윤진-
dc.creator이윤진-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7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8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80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뮤지컬수업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32명의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협동학습 LT모형 18단계 과정을 적용해 9차시의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8주 동안 영어뮤지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한 한국형 청소년 회복탄력 지수(YKRQ-27)를 허수현(2016)이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과, Maydeu-Olivares와 D’Zurilla(1996)이 개정한 사회적 문제해결도구(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PSI-R)를 최이순(2002)이 번안한 것을 연구자가 다시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으로는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 긍정성의 총 3개의 영역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으로는 긍정적 문제 지향, 부정적 문제 지향, 합리적 문제해결, 충동/부주의 스타일, 회피스타일의 총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뮤지컬 수업은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검사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 영역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LT모형을 적용한 뮤지컬수업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뮤지컬 수업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검사결과 사회적 문제해결 하위영역인 긍정적 문제 지향, 부정적 문제 지향, 합리적 문제해결, 충동/부주의 스타일, 회피스타일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LT모형을 적용한 뮤지컬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뮤지컬 수업이후 회복탄력성 하위 영역 중 대인관계에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하위영역 중 부정적 문제 지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다. 넷째, 뮤지컬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다섯째, 전반적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서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협동학습 LT모형을 적용한 뮤지컬 수업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사실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LT모형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고 본 연구가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studen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ho take musical classes in their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goal, LT model -based instruction schem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actual musical class. A total of 32 students from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and level of the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examined through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earch involved the design of the teaching plan based on nine times classes and 50 min. of musical activit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involved musical activity based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proved higher post inspection scores for general resilience compared to the scores from preliminary inspection. Second, the students who involved musical activity based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proved higher post inspection scores for general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compared to the scores from preliminary inspection. Third, after taking classes that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were applied, students’ results in personal relationship in elements of resilience were different between gender.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showed different results in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i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Fourth, Students in each grades who were involved in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showed no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owever, in personal relationship in elements of resilience, the scores of fourth graders in pretest were higher than the socres of sixth graders, proving that the scores can vary between grad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 after tak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ak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showed slight improvements in scores for fourth graders when fifth and sixth graders significantly improved in scores which were as high as the fourth graders’ scores after tak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Fifth, The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research, with verification of us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musical activities, have explore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on studen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its search for a lecturing-learn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musical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협동학습의 이해 6 B. 회복탄력성의 이해 17 C.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이해 25 D. 뮤지컬의 이해 및 교육적 가치 33 E. 선행연구 고찰 40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45 A. 연구 대상 45 B. 연구 설계 46 C. 연구 절차 46 D. 연구 도구 70 E. 분석 방법 72 F. 연구 윤리에 대한 숙고 73 Ⅳ. 연구결과 및 분석 74 A. 회복탄력성 검사결과 74 B.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검사결과 76 C. 성별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 78 D. 학년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 83 E.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상관관계 87 Ⅴ. 결론 및 제언 89 참고문헌 93 부록1. 검사 안내문 100 부록2. 회복탄력성 검사지 101 부록3.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검사지 103 부록4. 차시별 수업지도안 108 부록5. 학습지 164 ABSTRACT 1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47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협동학습 LT 모형을 적용한 뮤지컬수업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usical classes based on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elementary studen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dc.format.pagev, 166 p.-
dc.contributor.examiner신지혜,원영석,조경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