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6 Download: 0

조선신궁사진첩『恩賴(은뢰)』(1937) 이미지 연구

Title
조선신궁사진첩『恩賴(은뢰)』(1937)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ages of 『恩賴(Eunroi)』(1937), a photo album in commemorat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the Joseon Shrine(朝鮮神宮)
Authors
이주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photographic images contained in 『恩賴(Eunroi)』, a photo album issued in 1937 in commemorat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the Joseon Shrine. The Joseon Shrine was built in 1925 facing the entrance to the southwest of Mountain Namsan(南山) in Kyungsung(京城). Jinjwa(鎭座) is a ceremony to enshrine the Meiji Emperor(明治天皇) and Amaterasu(天照大神) selected as rite gods of the Joseon Shrine in the Joseon Shrine. 『恩賴』is pronounced as ‘Mitamanojuyu(みたまのふゆ)’and means ‘Emperor's grace.’ The existing photo album of the shrine was a chronological list made by organizing the events related to the shrine for a year. But『恩賴』has a research value because it included more photographs such as scenery of Joseon despite its chronological format. Yamazawa Sanjo(山澤三造), who was in charge of editing photos of『恩賴』, is a figure familiar with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photography as an employe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amateur photographer. Therefore, the fact that he was in charge of photo editing of『恩賴』means that the Japanese Empire clearly recognized the effects of aesthetic politics. 『恩賴』is mysterious and dreamy and includes many photographs that are expressed in side and elevation angle rather than frontal view. This style of expression enhances the propagation by giving a visual stimulus to the photographs.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nature, civilization, maternity, Eosinbo(御神寶, sacred treasure​), and rituals depending on the materials representing the ritual gods. First, the Japanese emperor was represented as sacred nature. Nature at this time was expressed as sacred by making the outline obscure in the printing process. The photo montage technique also enhances the mystery such as synthesizing Japanese fonts in the background of photographic images. In addition, the scene of the mother and her son in the Joseon Shrine symbolized the motherhood during the war and was sublimated into the benevolent Japanese Emperor 's mind of looking at the people. The reality of Meiji Emperor and Amaterasu did not appear in the photo album, but instead they were represented as Eosinbo symbolizing the ritual gods. In 『恩賴』, it is expressed as Eosinbo, Eogum(御劍, sword of State), Eoryo(御料, imperial property​) or is represented as a ritual called Dogumbongnap(刀劍奉納, sword dedication). The object symbolizing the Japanese Emperor is derived from the ancient Japanese three kinds of Divine Treasure and symbolizes the ritual gods in the shrine. Noting that the Meiji government of Japan built a shrine in a place related to myth and regarded the relics excavated as divine treasure, this paper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shrine with the historical survey that was actively conducted in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The rites performed at the Joseon Shrine made the shrine a sacred temple. At that time, photos of the crowd gathered at the shrine and the ceremony were continuously inserted in the newspaper media, pursuing a community of the Japanese empire centered on shrines. Mythological thinking based on the shrine has made the invasion glorified and made the war holy in Japan. On the other hand, 『恩賴』contained information on popular beliefs such as ghosts of Joseon and village rituals. The photographic images related to village rituals were also included. This reflects the research of the shamanism of the Joseon Dynasty accumul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Japanese Empire’s basis for the one parent source between Japan and Korea was Mu (dance) of Muyeo (female dancer). Tori Ryujo(鳥居龍藏) regarded bells or fans which are common between Japanese dancers performing divine music at a shrine and Joseon’s shaman performing gut(korea traditional exorcism) as the basis of one parent source. The Joseon Shrine female dancer’s posture holding the long cloth connected from bell to bell in 『恩賴』is similar to the female dancer’s posture of Joseon included in the Takeshi Akiba(秋葉隆)’s study, and is also found in paintings based on shamanism. In addition, seungmu(僧舞, a Buddhist dance) is known as a dance performed in Buddhist rituals. However, most of the female dancers in the photos survey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dressed in the clothes of a Buddhist dance, so they can also be seen as female dancers who served the Harvest God. At a lecture for the development of mind field(心田開發) of the Joseon people led by Governor Ugaki Katsushige(宇垣一成) in 1935, Akiba Takashi insisted on using the Buddhist elements of the Joseon female dancers. The Buddhist dance performance, which had been popular especially since the late 1930s, was regarded as a unique dance of the Joseon Dynasty, but it was likely to be carried out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mind field of the Joseon people. As seen above, this study assumed the Shamanism research recognized as a Japanese Gosindo(古神道, ancient Shinto) and discussed by a systematic investig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the origin of visual culture based on shamanism, which was popular across the colonial Joseon literature at that time and put meaning of inferring the association. 『恩賴』has the photos of specific places and tourist attractions in Joseon such as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Bulguksa Temple, and Mount Kumgang while there are idyllic landscape photographs mainly based on the rural area of Joseon, but the specific places and names are unknown. This is the image of Joseon that the Japanese Empire wanted to see and the peaceful image under the Japanese emperor's grace. The photographic images of 『恩賴』are similar to idyllic landscape photographs with rural materials that were prevalent in Joseon Photo Exhibition》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In the meantime, namelessness of the figures and landscapes in the photographs was reconstructed as subjects under the gaze of the benevolent Emperor in combination with the Japanese poets. Numerous photographic images of 『恩賴』were expressed in the dreamy and mysterious form. The fantasy of Ilseondongjo (日鮮同祖, Japan and Joseon have the same ancestors), which the Japanese Empire has claimed, was pursued politically from the beginn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Joseon and Japan shared the same myth.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investigation of the Joseon 's shamanism was a process of confirming the possibility.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showing ‘mystery of the same root beteen Japan and Joseon' shows that analyzing the image with this problem consciousness can have a valid meaning.;本論文では、朝鮮神宮の鎮座祭の執行から10周年を記念して、1937年に朝鮮神宮奉贊会から発行された写真集・『恩頼』に収録された写真の分析を試みた。朝鮮人の日本同化を目的に創建された朝鮮神宮は、1925年に京城南山の南西側に入口を面して建てられた。朝鮮神宮は、祭神に選ばれた明治天皇と天照大神を奉安する儀式である鎮座祭以降、初めて神社としての役割が開始された。 『恩頼』は、‘みたまのふゆ’と発音し、‘天皇の恩徳’という意味を持つ。『恩頼』の写真編集を担当した山澤三造は、朝鮮総督府の職員であると同時に、アマチュア写真家として、当代の芸術写真の傾向に明るい人物であった。したがって、彼が『恩頼』の写真編集を担当したということは、日帝が、審美化された政治の持つ効果を明確に認識していたことを意味する。 『恩頼』は、神秘的かつ夢幻的であり、正面よりも側面や仰角から撮影された写真が多い。神社の祭神であった天皇が、別の形態の表現で現れると判断し、素材に応じて、自然・文明・母性・御神宝・儀礼に分類して、その様相を考察した。まず、天皇は、人間の姿ではなく、神聖な自然として表象された。このときの自然は、現像の過程で輪郭を曖昧にして神聖さを宿しているように表現された。また、写真の背景に日本語で書かれた文字を合成するなど、フォトモンタージュ技法で神秘性を倍加させている。また、朝鮮神宮内に母子が共にいる場面は、戦争期の母性を象徴し、それはそのまま国民を見つめる慈愛に満ちた天皇の大御心として昇華された。 明治天皇と天照大神の実体は、写真集には現れず、代わりに祭神を象徴する御神宝で表象された。『恩頼』には、御神宝、御剣、御料などで表現されたり、刀剣奉納という儀式で現れる。天皇を象徴する物体は、日本神話の三種の神器に由来し、神社の祭神を象徴するものである。本稿では、日本の明治政府が、神話と関連した場所に神宮を建て、出土した遺物を神器と見なした点に注目して、当時の朝鮮でも活発に行われた古蹟調査と神社のつながりの可能性を模索した。 朝鮮神宮で行われる儀礼は、神社を神聖な神殿にした。当時の新聞には、神社に集まった群衆、儀礼を挙行する勅使の写真が継続的に掲載され、神社を中心とした帝国共同体を志向した。神社に根差した神話的思考は、軍国主義を志向した日本が侵略した戦争を聖戰として美化するために利用された。 一方、『恩頼』には、朝鮮の鬼神、洞祭のような民間信仰に関する情報が抜粋され、写真も併せて掲載された。これは、朝鮮総督府に蓄積された朝鮮のシャーマニズム関連の研究が反映されたものである。日帝が、日本と朝鮮の同祖根拠として提示したのが巫女の舞である。鳥居龍藏は、人類学の調査をもとに、神社で神楽を奏でる日本の巫女と、歌舞を行う朝鮮のムーダンが手にしていた鈴や扇子を同祖の根拠と見た。『恩頼』の中で、朝鮮神宮の巫女が、鈴と長い布を垂らしている姿は、秋葉隆の研究に収録された朝鮮の巫女の姿と似ており、さらには、シャーマニズムを題材とした絵画からも確認できる。 また、僧舞は、一般的には仏教儀礼の踊りとして知られている。しかし、日本植民地時代、日本人が調査した写真の中のほとんどの巫女は、僧舞の衣装を身に着けており、帝釋神将に仕える巫女として見ることができる。1935年に宇垣一成総督が主管した朝鮮人の心田開発のための講演会は、朝鮮のムーダンを朝鮮固有の信仰と見なした。この席で、秋葉隆は、朝鮮の巫女が持つ仏教的要素を発展させることを主張した。1930年代後半から特に盛んに行われた僧踊の公演は、当時、朝鮮固有の踊りとして認識されていたが、実は、朝鮮人の心田開発の一環として実行された可能性がある。 このように、日本の古神道として認識され、体系的な調査によって談論化されたシャーマニズムの研究を、当時の植民地である朝鮮の文芸全般に流行したシャーマニズムを素材にした視覚文化の起源と見て、その関連性を推定することに意義を置いた。 『恩頼』には、昌德宮や仏国寺、金剛山のような朝鮮の特定の場所や、観光名所の写真も収録されているが、一方では、主に朝鮮の農村を背景にした牧歌的な風景写真も載せられている。しかし、それらの具体的な場所や名前は分からない。これは、日帝が目指した朝鮮の姿であり、取りも直さず天皇の恩徳に満ちた平和のイメージである。『恩頼』の写真は、当時《全朝鮮写真展覧会》で流行した郷土的素材を持つ牧歌的な風景写真と似ている。そして、写真の中の人物と風景の無名性は、日本語で書かれた詩歌と結合して、慈愛深い天皇の眼差しのもとに置かれた臣民として再構成された。 『恩頼』に収録された多数の写真は、夢幻的で神秘的な姿で表現されている。日帝が主張してきた日鮮同祖の幻想は、朝鮮と日本が同じ神話を共有するという仮定の下、初期から政策的に追求された。この仮定に基づいた朝鮮のシャーマニズム調査は、その可能性を確認していくプロセスであった。特に、‘內鮮同根の神祇’を示す配置は、ここまで説明した問題意識に基づいて画像を分析することが有効な意味を持つということを示している。;본 논문은 조선신궁의 진좌제가 열린 10주년을 기념하여 1937년 조선신궁봉찬회에서 발행한 사진첩 『은뢰(恩賴)』에 수록된 사진이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인을 일본에 동화시키기 위해 설립된 조선신궁(朝鮮神宮)은 1925년 경성 남산의 남서쪽에 입구를 면하여 조영(造營)되었다. 조선신궁의 신사로써의 역할은 주신인 메이지 천황과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를 봉안한 진좌제 이후 시작되었다. 『은뢰』는 ‘미타마노후유(みたまのふゆ)’라 발음하고 ‘천황의 은혜’라는 뜻을 가진 사진첩이다. 일반적으로 신사관련 사진첩은 조선신궁의 신직(神職)을 맡은 사람들이 한 해 동안 관련 사건을 기록하여 연보로 만든 것이다. 반면 『은뢰』는 전례(前例)와 같은 연보 형식을 갖추면서도 조선의 풍광 등 천황의 은혜를 표현한 사진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연구가치가 높다. 『은뢰』의 사진편집을 담당한 야마자와 산조(山澤三造)는 조선 총독부 직원이자 아마추어 사진가로 당대 예술사진의 경향을 주도한 사람이다. 그가 사진편집을 담당했다는 것은 일제가 미화된 정치의 효과를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은뢰』는 신비롭고 몽환적이며, 정면보다는 측면과 앙각(仰角)으로 표현된 사진들이 많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사진에 시각적 자극을 주어 선전(宣傳)효과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사진에 가미된 효과를 분석하는 한편, 신사의 제신인 천황이 실체와는 다른 형태의 표상들로 나타남에 따라 소재별로 자연·문명·모성·어신보·의례로 나누어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천황은 인간의 모습이 아닌 신성한 자연으로 표상되었다. 이때의 자연은 인화과정에서 윤곽을 모호하게 만들어 신성함이 깃든 것처럼 표현되었다. 또 사진이미지 배경에 일본어로 쓴 서체를 합성하는 등 포토몽타주 기법으로 신비성을 배가시킨다. 또한 조선신궁 내에 모자(母子)가 함께 있는 장면은 전쟁기 모성을 상징하게 되었고, 곧 국민을 바라보는 자애로운 천황의 대어심(大御心)으로 승화되었다. 메이지천황과 아마테라스의 실체는 사진첩에 나타나지 않고 대신 제신을 상징하는 어신보(御神寶)로 표상되었다. 『은뢰』에는 어신보, 어검(御劍), 어료(御料) 등으로 표현하거나 도검봉납(刀劍奉納)이라는 의식으로 나타난다. 천황을 상징하는 물체는 일본 고대의 삼종신기(三種神器) 신화에서 유래하며 신사의 제신을 상징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메이지정부가 신화와 관련된 장소에 신궁을 세우고 출토된 유물을 신기(神器)로 바라본 점에 주목하여 당시 조선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된 고적조사와 신사의 연결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조선신궁에서 이루어지는 의례는 신사를 신성한 신전(神殿)으로 만들었다. 당시 신문매체 속에서 신사에 운집한 군중, 의례를 거행하는 칙사의 사진이 지속적으로 게재되어 신사를 중심으로 한 제국공동체를 지향하였다. 신사에 기반한 신화적 사고는 군국주의를 지향한 일본이 침략한 전쟁을 성전(聖戰)으로 미화시켰다. 한편 『은뢰』에는 조선의 귀신, 동제(洞祭)와 같은 민중 신앙에 대한 정보가 발췌되어 수록되었다. 또한 동제와 관련된 사진이미지도 실려 있다. 이는 조선총독부에 축적된 조선의 무속 관련 연구가 반영된 것이다. 일제가 일본과 조선의 동조 근거로 내세운 점은 무녀의 무(舞)이다. 도리이 류조(鳥居龍藏)는 인류학 조사를 토대로 신사에서 신악(神樂)을 공연하는 일본의 무녀와 가무(歌舞)를 행하는 조선의 무당이 들고 있던 방울이나 부채를 동조(同祖)의 근거로 보았다. 『은뢰』속 조선신궁 무녀가 방울과 긴 포를 늘어뜨려 들고 있는 자세는 아키바 다카시 연구에 수록된 조선의 무녀 자세와 유사하고 나아가 무속을 소재로 한 회화에서도 확인된다. 또한 승무는 조선시대 불사의 법회에서 추는 춤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도리이 류조,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아키바 다카시(秋葉隆)로 이어지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조사한 사진 속 대다수 무녀는 승무의 복장을 입고 있어, 제석(帝釋)신장을 모신 무녀로 볼 수 있다. 1935년 우가키 가즈시게 총독이 주관한 조선인의 심전개발을 위한 강연회는 조선의 무속을 조선의 고유신앙으로 보았다. 이 자리에서 아키바 다카시는 조선 무녀가 지닌 불교적 요소를 정제하여 활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1930년대 후반부터 특히 성행한 승무 공연은 당시 조선고유의 춤으로 인식되었으나 사실 조선인의 심전개발을 위한 일환으로 실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의 고신도(古神道)로 인식되어 체계적인 조사로 담론화된 무속 연구를 당시 식민지 조선 문예 전반에 유행했던 무속을 소재로 한 시각문화의 기원으로 보고 그 연관성을 추정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은뢰』는 창덕궁이나 불국사, 금강산과 같은 조선의 특정 장소나 관광 명소의 사진도 수록되어 있지만 한편으로 주로 조선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목가적인 풍경사진도 나타나는데 구체적인 장소와 이름은 알 수 없다. 이는 일제가 바라보고자 했던 조선의 모습이며, 곧 천황의 은혜가 내려앉은 평화로운 이미지이다. 『은뢰』의 사진이미지들은 당시 《전조선사진전람회》에서 유행한 향토적 소재를 지닌 목가적인 풍경 사진과 비슷하다. 그러면서 사진 속 인물과 풍경의 무명성(無名性)은 일본어로 된 시가와 결합하여 자애로운 천황의 시선아래 놓인 신민(臣民)으로 재구성되었다. 『은뢰』의 수많은 사진이미지들은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일제가 주장해 온 일선동조(日鮮同祖)의 환상은 조선과 일본이 같은 신화를 공유한다는 가정 아래 초기 정책부터 반영되었다. 이 가정에 근거한 조선의 무속 조사는 그 가능성을 확인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특히‘내선동근(內鮮同根)의 신기’를 보여주는 배치는 지금까지 살펴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이 유효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