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장예란-
dc.creator장예란-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6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7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5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esamtkunstwerk, or total work of art, in the works of Pablo Ruiz Picasso (1881~1973), focusing on his three dimensional works combined with elements of performing arts. Working in diverse fields throughout his life, Picasso created a significant body of three-dimensional works such as sculptures, installations, costumes, and stage settings. Made in close connections with various genres of performing arts including dance, music, and literature, these three dimensional works exemplify his eagerness for the idea of total work of art.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 spread of popular performing arts and the active exchange among artists of various fields, guided by the Wagnerian concept of Gesamtkunstwerk, formed the basis of these works. However, in line with the popular characterization of Picasso as the pioneer of Modernism, the existing scholarship on Picasso tended to focus on a formalist analysis of his Cubist paintings. It was rare to find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his other works from a novel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f Picasso’s oeuvre by exploring the multiple ways in which he applied elements of performing arts to his three dimensional works from the early 1900s to the late 1960s. First, this study analyzes Picasso’s sculptures that adopted the motifs related to performing arts, such as the performers, musical instruments, and stage. These works not only borrow the subject matters from performing arts but also bring their distinct formal traits, such as temporality and genre complexity, into the realm of plastic arts. Initially creating portraits of a singer or a circus performer, Picasso soon took these performers’ musical instruments as a specimen of his sculptural experiment. As the parts of the musical instruments could be assembled or dismantled in a variable manner, they prompted the incorporation of temporality in the works’ composition and installation. Also, being compounds of everyday objects as well as painted sculptures, his sculptures of musical instruments encompass elements of various artistic genres. Picasso’s stage designs literally fuse performing arts with plastic arts. Produced intensively between the late 1910s and the mid-1920s, his designs range from costumes to stage settings, such as main curtains and backdrops. While bringing Cubist aesthetics onto the stage, these works reflect the unique qualities of performing arts such as theatricality and presence. Furthermore, he contributed to broadening the spectrum of performing arts by incorporating the elements of popular culture such as bullfighting and melodrama into the forms of high art such as ballet. At the same time, his staging of moving sculptures, sculptural bodies, and pictorial scenes illustrates his utilization of the theater space for formal experimentation, which reaffirms the view of Picasso as a total artist. Lastly, Picasso extended the site of his work to the outdoor space, embracing the theatrical situation in which works and audiences meet in real time. Installed in everyday spaces rather than in museums or galleries, his outdoor installations transfor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to a stage for an artistic experience, involving the everyday passers-by as the audience of the work. Not only that, he also conceived of a space where the individual pieces constitute a set, similar to the concept of mise en scene in the performing arts. Gradually, his production of theatrical situations expanded from private spaces, such as the house and the garden, to public spaces, such as the square and the city, and from a small scale to a large scale, to the extent that it overwhelmed the audience’s view. These works share the characteristics with performing arts in that the meaning of the work emerges from the relationship it establishes with the external circumstances, rather than from what is internal to the work. In sum, this study reveals the multiple ways in which Picasso’s three dimensional works were grafted onto performing arts: they employed the motifs and formal attributes of performing arts, were designed and mobilized for actual stage performances, and produced theatrical effects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everyday. These works reveal that Picasso, who is often cited as the progenitor of formalist art, in fact attempted to go beyond the formal boundaries of each artistic gen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regard, it may be said that Picasso already anticipated the phenomenon of the deconstruction of borders in art, or Postmodern art, which would develop in full force since the 1960s. In shedding light on the underrepresented aspect of Picasso as an artist of the total work of art, this study contributes to reconsidering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rtist and offering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odern art.;본 논문은 파블로 피카소(Pablo Ruiz Picasso, 1881~1973) 작업의 총체예술적 경향을 공연예술과 그의 3차원 작품 간의 결합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피카소는 일평생 다양한 영역의 작업을 시도한 작가로서, 무용, 음악, 문학을 아우르는 공연예술과 연계된 조각, 설치, 의상, 무대장치 등의 3차원 작품들은 그의 총체예술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20세기 초 바그너의 '총체예술(Gesamtkunstwerk)' 미학에 근거한 다분야 예술가들의 활발한 교류와 대중 공연예술의 성행은 이러한 작업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피카소가 모더니즘 미술의 시원으로 불리어온 만큼, 그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입체주의 회화에 대한 형식주의적 분석에 치우쳐 있으며, 여타의 방대한 작업들을 다른 시각에서 포괄하여 논의한 경우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00년대 초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의 3차원 작업들을 공연예술과의 관계라는 하나의 축으로 읽어냄으로써, 그의 작업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했다. 먼저 공연자, 악기, 무대 등을 모티프로 한 조각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들은 공연예술의 소재를 차용할 뿐 아니라, 그 고유한 형식인 시간성, 장르복합성 등을 미술로 통합시킨다. 요컨대 피카소는 가수나 서커스 단원을 묘사한 초상 조각에서 출발하여, 이들이 무대에서 사용하는 악기를 그의 조각적 실험의 표본으로 삼았다. 여러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악기는 그가 가변적으로 작품을 구축하거나 설치할 수 있는, 즉 시간성을 작업에 내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더불어 그의 작품은 일상 오브제들의 모음집이자 채색된 조각인데, 그런 의미에서 이 작업들은 다양한 장르의 요소들을 포용하는 총체적 작업이다. 또한 피카소는 무대 미술을 통해 공연예술과 조형예술을 문자 그대로 융합시키기도 하였다. 1910년대 말에서 1920년대 중반 사이에 집중적으로 구현된 그의 무대 미술은 의상에서 메인커튼과 배경막을 포함한 무대장치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하다. 그는 입체주의 미학을 무대에 적용하는 가운데, 연극성, 현존성 등 공연예술의 특질을 그의 작업에 반영했다. 나아가 발레와 같은 고급예술에 투우, 통속극 등 대중 공연문화적인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공연예술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그는 무대 위에 움직이는 조각, 조각적인 신체, 회화적인 장면 등을 연출하며 공연장을 조형적 실험의 장으로 활용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작업들은 총체예술가로서의 피카소의 면모를 재확인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피카소는 작품과 관객이 실시간으로 조우하는 연극적 상황을 끌어들여, 그의 작업의 영역을 옥외 공간으로 확장하였다. 미술관이나 갤러리 등의 특수한 장소가 아니라 실생활의 공간에 설치된 피카소의 조형물들은 주변 환경을 예술적인 경험이 가능한 무대로 전환시키고, 일상의 행인들을 작품의 관람자로 유입시킨다. 뿐만 아니라 그는 공연예술에서의 미장센(mise en scene) 작업처럼, 개별 조각들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 공간을 기획하기도 했다. 그의 연극적 상황의 연출은 말년에 갈수록 집, 정원 등 개인적인 공간에서 광장, 도시 등의 공공장소로, 소형에서 시야를 압도하는 규모로 점차 확대되었다. 이와 같은 작업들에서는 그 의미가 작품의 내부보다는 그것이 놓인 외부적 상황과의 관계로부터 발생하는데, 이는 공연예술과 그 속성을 공유하는 지점이다. 이처럼 피카소의 3차원 작품은 공연예술의 모티프와 속성을 주요 화두로 삼거나, 실제 공연에 동원되거나, 일상의 시, 공간에서 연극적인 효과를 연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연예술과 결합해왔다. 이러한 작업들은 형식주의 미술의 수호자로 여겨져 온 피카소가 오히려 개별 예술의 형식을 넘나드는 작업을 20세기 초부터 시도하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1960년대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대두된 경계 해체적인 미술, 즉 탈 모더니즘 미술의 현상을 그는 일찍이 예견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피카소의 숨겨진 면모를 밝혀 그 미술사적 위치를 재고하고, 현대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피카소 작업의 형성 배경 6 A. 19세기 말 총체예술 개념의 대두와 피카소의 예술적 태도의 형성 6 B. 대중 공연예술과 피카소의 초기 작업 16 Ⅲ. 피카소의 3차원 작품에 나타난 총체예술의 경향: 공연예술과의 결합을 중심으로 25 A. 조각에 등장한 공연예술의 모티프와 속성 25 B. 무대 미술을 통한 종합예술의 실현 34 C. 삶의 공간으로 확장된 연극적 상황 45 Ⅳ. 결론 55 참고문헌 58 도판목록 64 도판 75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86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총체예술의 개념을 통해 본 파블로 피카소의 3차원 작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ndency of Total Art in Pablo Picasso’s Three-Dimensional Works-
dc.creator.othernameJang, Yeran-
dc.format.pagev, 103 p.-
dc.contributor.examiner전동호-
dc.contributor.examiner전혜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