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김송이-
dc.creator김송이-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5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4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犬圖를 시대별로 제작 배경과 전개 흐름, 특성을 살폈다. 개는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동물이다. 개는 지역에 따라 외양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지역에 상관없이 동일한 행동 특성을 보인다. 이에 현전하는 작품이 적은 조선시대 견도를 살피기 앞서 중국의 견도의 유래를 파악하고 유형을 나눴다. 『歷代名畫記』, 『宣和畫譜』와 같은 기록에 의거하면, 견도는 唐代부터 그려지기 시작해 五代에는 다양한 주제가 정립된다. 중국의 견도는 크게 두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는 개의 行動 특성에 초점을 맞춘 견도다. 이 유형의 견도는 개가 그림 속 대상과 조응하며 취하는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어미가 새끼를 돌보거나 자기 세력권을 보호하기 위해 싸우는 등의 행동은 그림 속에 내러티브를 형성한다. 南宋代의 母犬圖는 어미개와 강아지가 뜰에서 놀고 있는 모습을 그린다. 모견도에는 비슷한 화면구성, 안정적인 구도, 노는 강아지 모티프가 공통적으로 보인다. 猫犬圖는 개와 고양이의 행동을 그린다. 공격신호를 보내는 고양이를 화면에서 우위에 두고, 놀고 싶은 개의 행동을 아래에 배치하여 화면을 사선으로 배치해 긴장감을 주며 宋代부터 淸代까지 지속적으로 그려진다. 행동 표현에 초점을 맞춘 견도는 개를 그린 그림의 고전 양식이자 도상으로 정립되어 그려지는 경향이 강하다. 화가들은 행동 표현을 그린 그림에 상징 언어를 내포하여 길상을 부여한다. 둘째는 개의 個體的 특징에 중점을 둔 견도다. 살아있는 개는 당연히 움직인다. 이 유형의 견도는 개가 취하는 행동보다는 특정한 개 한 마리에 중점을 둔다. 개의 외양을 정세한 묘사를 통해 강조하여, 의용을 드러낸다. 외국에서 진상된 개나 맹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냥개는 평범한 개와 다르다. 그림을 통해 특별한 개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견도는 감상자의 명품 향유 욕구를 충족시키는 일환에서 제작되는 경향이 강하다. 조선시대에 제작되는 견도는 중국의 견도와 궤를 같이 하면서도 다르게 전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개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조선 전기 李巖의 견도다. 이암의 견도는 조선에서 가장 오래된 견도이지만 동시대의 견도가 전하지 않아 그 양상을 파악하기 힘들었다. 이에 이암의 견도가 제작되는 당대의 화조영모화풍을 토대로 등장 배경과 영향관계에 대해 살피고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선 초기 영모화초화풍은 元代 원체화풍과 밀접했다. 이에 이암의 견도도 원대 견도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추론하였고, 이에 구체적으로 이암 <母犬圖>와 元代 <花陰臥犬圖>를 비교했다. 이암 <모견도>와 원대 <화음와견도>는 도상과 화면 구성, 화면의 크기 및 그려진 개의 모습이 유사했다. 이암의 견도는 개의 외형보다 행동 표현에 중점을 두어 등장동물들이 만드는 내러티브를 통해 화면에 기운생동함을 부각시켰다. 이후 이암 견도는 일본으로 넘어가 일본 견도에 영향을 미친다. 17~18세기 일본인들이 이암의 그림을 남송대 毛益을 배웠다고 평가한 것은 이암의 견도에서 원체화풍과 연관성이 감지되었기 때문이며, 가장 좋다고 평가한 것은 개 행동 표현이 생동했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 후기 寫實的 犬圖다. 사실적 견도는 개의 행동 표현과 개의 개체적 표현 모두에 중점을 둔다.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개를 실증적으로 바라보며 개의 천성을 파악하고, 개를 분류하여 물명하며, 개 질병 치료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실증적 인식은 그림을 그릴 때 사물의 모습을 관찰하여 참모습을 그려야 한다는 사실주의적 인식과 결부되어 견도에 투영된다. 화가들은 조선인들이 인식한 개의 본질을 사실적인 화법으로 구현해낸다. 사실적 견도는 개의 외양을 정세하게 그려내면서도 개가 취하는 행동을 약동감 있게 묘사했다. 구체적으로 경계 하는 개를 그린 것과 몸을 긁는 개를 그린 것으로 나뉜다. 셋째, 조선 말기 梧桐吠月圖다. 오동폐월도는 집을 지키는 개의 행동에 오동나무를 연결시켜 그림 속에 내러티브를 형성한다. 오동폐월도는 중국의 제화시를 차용한 점과 청대 화풍의 영향을 받은 점에서 중국 견도와 관련 있다. 하지만 오동나무와 개는 조선에 내재된 이미지였으며 문학과 그림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화가들은 조선에서 계승되던 이미지를 변용하여 도상을 만든다. 달을 오동나무 가지나 잎으로 교묘히 가리고, 그 밑에 짖거나 경계하는 개를 배치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오동나무를 민감한 개와 조응시켜 개가 가진 벽사성을 부각시킨다. 달밤의 뜨락이라는 서정적인 공간은 오동페월도의 예술성을 고취시키며 오동폐월도에 장식성을 더한다. 조선시대에는 개의 다양한 행동을 그린 견도가 조선 초기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제작되었고, 짖는 개의 행동을 오동나무와 조응시킨 오동폐월도가 성행했다. 한편, 사실주의적 회화관에 입각해 개의 외양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면서도 개의 본질을 표현한 조선식 寫犬圖를 제작했다. 종합하면, 조선시대에는 동아시아 견도와 흐름을 같이 하는 견도가 제작되면서도 조선만의 특성이 나타나는 견도 또한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Gyeon-do(犬圖), which is a painting of a do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ainting displays a manufactured background, that embodies a stream of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era. Dogs are animals that exist on every continent. Even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appearance based on the geographical area, dogs reveal the same behaviors regardless of the area. Before this study researches the painting of a dog in Joseon dynasty in which only a few pictures remain, it will identify the origin of the Chinese painting of a dog and classify them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Book of Lidai Minghua Ji(歷代名畫記) and The Catalog of Paintings of the Xuanhe Emperor(宣和畫譜), the painting of a dog had been painted from the Tang dynasty. The work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themes throughout Five dynasties. The Chinese painting of a dog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Firstly, it is the painting of a dog which focuses on the behavior of dogs. This type of painting highlights the behavior of dogs, showing their maternal behaviors or territorial defenses while creating a narrative of the painting. Mogyeon-do(母犬圖), the painting of mother dog and puppies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represents the mother dog playing with her puppies in the garden. The similar configuration of the picture creates a stable structure and the same puppy motif is seen in the painting of mother dog and puppies. Myogeon-do(猫犬圖), the paintings of dog and cat, describes the behavior of the dog and cat. The cat, sending the attack signal to the dog predominates the upper-left part of the picture and the dog; the dog in which, would like to play with the cat is arranged in the lower-right corner of the picture. The painting attains a delicately balanced diagonal composition, which therein resides a dynamic tension between the cat and the dog. This dynamic had been continuously drawn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e painting of a dog, focuses on the description of the behavior of the dog which has tended to be established in the classical style and iconography of the picture, in how the dog is drawn. The painters endowed a good omen with the symbolism and language in the picture by descriptively drawing the behavior. Secondly, it is the painting of a dog, which emphasizes the features of the species. A living dog obviously moves. This type of the painting of a dog puts an emphasis on drawing a specific dog rather than the behavior of the dog. It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of a specific dog through its exquisite description. It also expresses the loyalty and courage of the dog. The dog depicted is different from other dogs received from overseas as a present, or a hound, which is not afraid of the ferocious beast. The painting further intensifies this show of character in this special dog. This type of painting of a dog is inclined to be manufactured to satisfy the desire of the viewer partial to luxury goods. The painting of a dog in the Joseon dynasty had gone along with the Chinese painting of a dog, but the two differed developmental-wise. This study divides the development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ly, a look at Yi Am(李巖)‘s painting of a do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Yi’s painting is the oldest painting of a dog, but there is no painting of a dog in the same era so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spect of the painting. On discussing the basis of the painting of puppies, birds, and blossoms in Yuan dynasty, which was, painted in the same era with Yi’s painting of a dog, this study traces the background of Yi’s picture and the influences from Yuan paintings. The painting of puppies, birds, and blossoms in early Joseon dynasty looks similar to the ‘Yuan style’. From that, this study infers that Yi’s painting was also influenced by Yuan painting and compares Yi Am’s < Mogyeon-do(母犬圖), Painting of Mother Dog and Puppies> and Yuan painting < Hwaumwagyeon-do(花陰臥犬圖), Painting of a Dog Lying under the Shadow of Blossoms> in a detailed way. <Painting of Mother Dog and Puppies> and <Painting of a Dog Lying under the Shadow of Blossoms> share a particular genre or style of painting, seen in the iconography, structure, dimension, and appearance of dogs. Yi’s painting focuses on the behavior of a dog rather than an outward appearance, and it gives a narrative between characters and brings a vividness to the painting. After that, Yi’s painting goes over to Japan and has an affect on Japanese paintings of a dog. The Japanese in seventeenth century estimated that Yi Am learned from Mo Ik, who was a painter in Southern Song dynasty, caused the Japanese to notice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remained to be a vivid description of the behavior of dogs. Secondly, it is realistic painting of a do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alistic painting of a dog focuses on both the expression of the dog’s behavior and its species characteristics.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gan to empirically learn about dogs as well as, identify the dogs’ nature, categorize dogs and prescribe treatments for various diseases within dogs. This empirical awareness is linked to the realistic awareness, observing the aspects of objects and by highlighting the true reality of it. All of which are reflected in painting of do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ainters realized the essence of the dog and represented it with realistic drawing technique. The realistic painting of a dog draws details of the outward appearance of a dog while describing a lively motion of the dog’s behavior at the same time. In the specific way, it is divided into two types as a dog guarding its body and a dog scratching its body. Thirdly, in O-dongpyewol-do(梧桐吠月圖), painting of a dog barking at the moon under the paulownia tree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The painting of a dog barking at the moon under the paulownia tree> forms a narrative as it describes a dog guarding its house under the paulownia tree. <The painting of a dog barking at the moon under the paulownia tree> is related with the Chinese painting of a dog because it borrows Chinese painting poetry and it shows influences of painting style of Qing dynasty. However, the paulownia tree and the dog are inherent image of the Joseon dynasty due to its image being used as the subject matter of literature and the painting. Painters brought the inherent im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made their own iconography. They adroitly conceal the moon beneath the branches or the leaves of the paulownia tree and place a barking or guarding dog under the tree. The painters capture the dog’s sensitivity in hearing and its courage to guard its house or to chase away a spectator, all of which corresponding with the paulownia tree. The lyrical space of a moonlight courtyard inspires the artistry of <The painting of a dog barking at the moon under the paulownia tree> and adds a touch of elegance. In the Joseon Dynasty, painting of a dog, which draws the various action of the dog, was continuously made from the early years of Joseon till the latter term. Also <The painting of a dog barking at the moon under the paulownia tree>, which gives correspondence the behavior of the barking dog with the paulownia tree, was prevalent. In the meantime, painters in the Joseon dynasty were based on the realistic view of painting and individual style of painting of a dog which portrays the dog’s appearance in realistic way and captures the dog’s own nature. Overall, painting of a dog in the Joseon dynasty is shared with the East Asian paintings of a dog; moreover, there was the painting of a dog, which shows its own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중국 犬圖의 유래와 유형 4 A. 중국 犬圖의 유래 4 B. 行動 표현과 個體 표현 6 1. 行動 표현 6 2. 個體 표현 15 Ⅲ. 조선 전기 犬圖- 李巖을 중심으로 23 A. 李巖 犬圖의 제작 배경 23 1. 사회문화적 배경 23 2. 조선 초기 영모화초화와 元代 화풍의 영향 25 B. 李巖 犬圖의 화풍과 특성 28 1. 李巖 <母犬圖>와 元代 <花陰臥犬圖>의 연관성 28 2. 李巖 犬圖의 특성 34 3. 일본인들의 李巖 犬圖 감정 38 Ⅳ. 조선 후기 犬圖- 두 양상을 중심으로 41 A. 寫實的 犬圖의 전개 41 1. 개에 대한 실증적 인식 41 2. 사실주의 회화관과 犬圖 50 B. 梧桐吠月圖 도상의 유행 57 1. 오동나무와 개 58 2. 梧桐吠月圖 도상의 전개 63 Ⅴ. 결론 69 참고문헌 73 도판 82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042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시대 犬圖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og Paintings in Joseon Dynasty-
dc.format.pagex,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