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은미-
dc.contributor.author공호진-
dc.creator공호진-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4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1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12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53-
dc.description.abstract1964년에 출간된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롤 베 스타인의 환희』는 이 작가의 글쓰기가 종전부터 보여줬던 생략적인 특징이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롤 베 스타인은 도입부의 무도회 장면에서 목격한 절대적인 사랑의 체험에 사로잡혀있지만, 이 인물의 심리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나 정체성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특징이 부재한 상태에 있다. 더불어 이야기의 사건 전개 과정에서도 일관된 흐름을 보여줄 수 있는 인과관계가 빠져있기 때문에 파편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도처에 자리한 공백은 이 작품을 읽어내기 어려운 ‘구멍-소설’로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이 작품에는 동일한 형태를 거울처럼 대칭적으로 박아 넣는 상감기법의 양상이 달렌바흐가 구분해놓은 다양한 층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이 작품의 세 가지 층위에 자리 잡은 대칭적인 반사구조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 작품을 구조적인 측면에서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달렌바흐는 상감기법을 통해 “이야기 전체를 반사시키는 작품 내의 모든 거울”이 작품 속에 새겨진다고 정의하며, 이야기가 ‘이야기 발화체’, ‘이야기 발화행위’, ‘이야기 규칙’으로 나뉘는 것처럼 그 이야기를 작품 내부에 거울처럼 새겨 넣는 상감기법도 ‘이야기 발화체의 상감기법’, ‘이야기 발화행위의 상감기법’, ‘이야기 규칙의 상감기법’의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작품에는 이러한 상감기법을 통해 새겨진 거울과 같은 요소들이 이 작품의 세 가지 층위에 반사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달렌바흐가 구분해놓은 세 가지 종류의 상감기법을 기반으로 이 작품 속에 어떠한 반사구조가 형성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미로처럼 파편화되어있는 이 작품을 읽어내기 위한 구조적인 틀을 구축해보고자 한다. 첫째로, 이 작품에는 주인공인 롤 베 스타인의 원초적 장면으로 각인된 도입부의 무도회 장면이 결말부의 재현 장면과 그 장면을 환기시키는 반사 모티프들을 통해 끊임없이 거울처럼 응축되고 있다. 이 재현 장면과 반사모티프들은 발화체―발화된 이야기의 한 부분―로서 이 작품 전체에 연장되어있는 원초적 장면을 요약하고 내적 반복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달렌바흐가 정의한 ‘이야기 발화체의 상감기법’이 나타나는 지점으로 볼 수 있으며, 작품 내부에 반사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우리는 이 작품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며 재배치되는 롤 베 스타인의 원초적 장면이 작가 뒤라스가 어린 시절 경험한 원초적 장면을 거울처럼 재현해놓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작가는 이 장면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인 강박을 롤 베 스타인에게 투영시켜 놓고, 이 소설의 서술자 겸 인물인 자크 홀드에게는 자신의 작가적 면모를 투영해 놓았다. 이 두 인물이 말과 상상의 힘을 통해 원초적 장면을 재현해나가는 모습은 작품 밖에서 자신의 원초적 장면을 되살리기 위해 이야기를 창작하고 있는 작가의 모습과 상응한다. 이렇게 작가처럼 이야기를 만들어나가는 인물들의 모습은 이야기를 수용하는 독자의 입장을 보여주는 인물들의 모습과 함께 작품 밖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발화행위’를 상감기법으로 작품 내에 새겨 넣으며, 작품 안팎에 반사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입부의 원초적 장면을 작품 말미에서 거울처럼 재현하고도 그 장면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새로운 재현의 가능성을 꿈꾸고 있는 롤 베 스타인의 모습을 통해, 원초적 장면을 재현하려는 그녀의 모험이 끝없이 다시 시작될 것이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짐작은 이 이야기의 서술자인 자크 홀드의 말을 통해 확실시 된다. 그는 원초적 장면을 재창조하려는 롤 베 스타인의 모험이 종말 없이 다시 시작되고 새로운 이야기를 통해 달리 전개될 것이라는 점을 이야기의 결말부에서 밝히고 있다. 여기서 서술자 자크 홀드의 말은 원초적 장면에 대한 다시 쓰기 작업을 반복하려는 작가 뒤라스의 실제 집필 계획을 반사적으로 투영하며 앞으로 이야기가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이야기 규칙의 상감기법’이 나타나는 지점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작품의 독자는 원초적 장면의 반복적 재현과 함께 자리 잡은 이 작품의 반사 구조가 새로운 이야기의 재생 가능성을 통해 끝없이 확장될 것이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물의 정체성이나 이야기의 사건 전개에 있어서 비어있는 부분이 많은 이 작품은 언뜻 보기에 읽어나갈 흐름이 없는 구멍투성이의 소설처럼 보이지만, 이 작품의 구조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접근한다면 오히려 그 생략된 부분을 감싸고 있는 반사구조의 확장적인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이 이야기의 비어있는 부분만을 보고 그 의미에 대해 파악하려고 한다면, 주인공의 정체성도 끝까지 파악할 수 없고 원초적 장면을 재현하려는 주인공의 모험도 원점으로 돌아가는 이 소설에는 아무런 진전도 없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의 구조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본다면, 롤lol의 이름에 형상화된 것처럼 o로 나타난 공백을 앞뒤에 반복되는 동일한 형태가 감싸고 있는 이 이야기의 대칭적인 반사구조가 롤의 이름의 철자 배열 ‘-ol’처럼 끝없이 재배치되고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Le ravissement de Lol V. Stein de Marguerite Duras paru en 1964 est une oeuvre littéraire qui montre la particulité extrême de l’auteur d’utiliser le style elliptique depuis longtemps. La protagoniste de ce livre, Lol V. Stein est envoûtée par l’apparence d’amour absolu auquelle elle a assisté au bal de T. Beach, mais on ne peut pas connaître exactement la raison de son envoûtement dans cette scène à cause de l’absence d’explication sur sa psychologie. De plus, elle apparaît comme dénuée de caractère à cause de l’absence d’explication sur son identité. Par ailleurs, il n’y a pas de courant linéaire même dans la progression de l’histoire à cause de l’absence de lien de cause à effet. Ainsi, le vide volontaire de ce livre d’un bout à l’autre en fait un livre épars. Mais l’aspect de la mise en abyme qui inscrit le même élèment symétriquement sous forme de deux miroirs se révèle répétitivement dans ce livre à travers trois différents niveaux de classification de Dällenbach. Cet aspect nous aide à découvrir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symétrique placée à trois niveaux de cette œuvre, et montre la possibilité de la lire en adoptant une approche structuelle. Dällenbach a défini la mise en abyme comme suit : 《tout miroir interne réfléchissant l’ensemble du récit》. De plus, il a considéré que l’on peut classifier la mise en abyme qui inscrit le récit à l’intérieur de l’œuvre de trois façons : la mise en abyme de l’énoncé, la mise en abyme de l’énonciation et la mise en abyme du code, comme si le récit etait classifié ainsi : l’énoncé du récit, l’énonciation du récit et le code du récit. Dans ce livre, les élèments comme des miroirs inscrits par ces trois mises en abyme contribuent à former dans ce récit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en trois niveaux. Ainsi, dans cette thèse, nous allons voir quelle structure de reflètement est formée en nous basant sur les trois mises en abyme et établir un cadre structurel pour lire cette œuvre éparse. D’abord, la scène du bal au début du récit, imprimée comme une scène primitive dans l’âme de la protagoniste Lol V. Stein est continuellement condensée comme un miroir à travers la scène finale et divers motifs qui reflètent la scène du bal. Cette scène finale et divers motifs peuvent être considérés comme la mise en abyme de l’énoncé définie par Dällenbach parce qu’ils condensent la scène primitive de Lol V. Stein étalée dans tout ce récit et créent une répétition interne comme un énoncé du récit. Ces élements de la mise en abyme de l’énoncé contribuent à former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à l’intérieur de ce livre. Ensuite, nous pouvons découvrir que la scène primitive de Lol V. Stein condensée répétitivement dans ce livre représente comme un miroir celle que l’auteur Marguerite Duras expérimente personnellement dans son enfance. Cet auteur a affiché son obsession personnelle dans cette scène à travers Lol V. Stein et affiché sa créativité comme un écrivain à travers le narrateur-protagoniste Jacques Hold. La progression où ces deux personnages recréent à l’intérieur de ce livre la scène primitive en construisant l’histoire par le pouvoir de narration et d’imagination montrent par réflexion l’écriture de l’auteur Duras de cette oeuvre pour reécrire sa scène primitive. Avec cet aspect de ces personnages qui créent l’histoire d’une part, celui du lecteur qui la reçoit est d’autre part reflété dans ce livre. Ces deux-ci fonctionnent comme la mise en abyme de l’énonciation en contribuant à former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entre l’aspect interne et externe. Pour finir, lorsque nous pensons à Lol V. Stein qui ne s’est pas échappée de son obssession même après avoir fini de recréer sa scène primitive à la fin du récit, nous pouvons deviner que l’aventure de Lol de recréer cette scène va recommencer à l’infini. De plus, notre supposition est confirmée par la parole du narrateur de ce livre, Jacques Hold. A la fin du récit, il constate que cette histoire de recréer la scène primitive de Lol ne va pas finir et recommencer sans fin à travers une nouvelle histoire déroulée autrement. Mais sa parole comme cela reflète en fait le projet de l’auteur de réécrire cette histoire autrement. Ainsi, nous pouvons découvrir ici la mise en abyme du code défini par Dällenbach dans le fait que la parole de Jacques Hold montre comme un miroir la pensée de l’auteur sur la direction de ce récit. En même temps, nous pouvons deviner que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incorporée dans ce livre à travers la répétition de la même scène va s’élargir éternellement à travers la possibilité de naissance d’une nouvelle histoire. De cette façon, même si ce livre semble épars de prime abord en raison du grand nombre d’éllipses, nous pouvons découvrir avec une approche structurelle que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comble le vide et montre même la caractéristique extensive de ce récit. Si nous nous concentrons sur les parties vides de ce livre, l’accumulation d’informations sur l’identité de la protagoniste est absente ainsi que la progression de son aventure. Ainsi, le livre semble ne pas avoir d’avancement, mais avec une approche structurelle de ce livre, nous pouvons voir la possibilité d’élargissement de la structure de reflètement comme si le nom de la protagoniste ‘lol’ pouvait se prolonger par répétition des lettres 《-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작품 내부의 반사구조 10 A. 수미상관적인 거울구조 10 B. 반사모티프의 반복과 변용 23 1. 삼각관계 구도 24 2. 에로스와 타나토스 33 3. 배경적 요소 38 Ⅲ. 작품 안팎의 반사구조 44 A. 인물들과 작가의 구조적 동일성 44 1. 원초적 장면에 대한 강박 44 2. 자크 홀드의 작가적 성격 49 B. 발화행위의 구조적 동일성 58 1. 인물들의 이야기 창작 58 2. 독자의 위치 형상화 69 Ⅳ. 반사구조의 확장 가능성 73 A. 다시쓰기 : 회귀와 재생 73 B. 롤 베 스타인 연작 78 C. 독자의 능동적 참여 85 V. 결론 89 참고문헌 94 RÉSUMÉ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774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뒤라스의『롤 베 스타인의 환희』에 나타난 반사구조와 글쓰기 전략-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a structure de reflètement révélée dans Le ravissement de Lol V. Stein de Duras et sa stratégie d’écriture-
dc.format.pageiv,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