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세영-
dc.contributor.author남재희-
dc.creator남재희-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3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8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81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가정에서 보이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학령기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5학년 학령기 아동(남아: 142명, 여아: 146명)의 어머니 28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Fabes, Eisenberg와 Bernzweig(1990)이 개발한 CCNES(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를 김희정(1995)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안효민(2013)의 연구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일어날 가능성이 적은 6가지 사건들을 제외한 후 측정에 사용하였다. 가정 내에서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가 개발한 SEFQ(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의 간편형 척도인 Short form of SEFQ를 여은진(2009)이 번안하여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5)가 개발한 ERC(The Emtion Regulation Checklist)를 박서정(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t-검정,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의 경우 어머니가 지지적 반응을 많이 보일수록 높아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평소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수준이 낮은 경우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지지적 반응을 많이 보일수록 남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낮아지는 경향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나타났다. 아동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은 남아와 여아가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어머니가 비지지적 반응을 많이 보일수록 부적응적 정서조절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평소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나타났다. 둘째, 남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이 있었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이 있었다. 여아의 경우 적응적 정서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긍정적 정서표현이 있었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에는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부정적 정서표현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적응적인 정서조절을 증가시키고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을 감소시키기 위한 어머니의 정서적 반응과 표현적 태도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어머니의 정서적 반응과 정서표현의 수준에 따른 상호적 영향에 대해 밝힘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을 위한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모교육 및 가족상담의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잇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v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reaction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emotional regulation in schoolage boys and girls. A total of 288 4th- and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142 boys and 146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e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including questions o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ther’s emotion expressivity in the family,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Mothers rated all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supportive reac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boy’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hile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and positiv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boy’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For girls, mother’s supportive reaction and only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for boys, mother’s supportive reaction and negative emtoinal expression,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and positive emtoinal expression had interaction effects on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for girls,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and negative emtoinal expression had interaction effects on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for both boys and girls,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and negative emtoinal expression had interaction effects on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significant role of mother’s emotional reaction and expressivity in increasing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reducing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to improv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y providing guidance on maternal c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8 A.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8 B.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C. 가정 내에서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14 D.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가정 내에서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16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19 A. 연구문제 19 B. 용어정의 20 Ⅳ.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조사도구 24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8 Ⅴ. 연구결과 30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30 B.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1 C.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가정 내에서의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34 Ⅵ. 논의 및 결론 47 참고문헌 55 부록1. 설문지 69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4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Mother’s Emotional Reaction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Schoolag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dc.format.pagev, 80 p.-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한세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