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reator이주연-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2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5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55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4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 간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4세와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73쌍을 대상으로 실험실 상황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비계설정은 어머니와 유아가 함께 퍼즐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루어진 상호작용을 비디오로 녹화한 후, Neitzel과 Stright(2003, 2004)가 개발한 ‘부모의 비계설정 코딩매뉴얼(Parental Scaffolding Coding Manual)‘을 수정, 보완하여 인지적 지지, 정서적 지지, 자율성 지지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유아의 마음이론은 외양실제과제(Flavell, Flavell, & Green, 1987), 내용교체과제(Perner, Leekam, & Wimmer, 1987), 위치이동과제(Wimmer & Perner, 1983)와 이차틀린믿음과제(Perner & Wimmer, 198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이 연구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비계설정과 마음이론 모두 유아의 월령, 성별, 형제자매의 수와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들은 유아와 상호작용 시 인지적 지지를 보이는 비계설정 보다 정서적 지지, 자율성 지지와 관련된 비계설정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유아의 마음이론의 경우, 유아들은 외양실제과제, 틀린믿음과제(위치이동과제, 내용교체과제), 이차틀린믿음과제의 순서로 더 높은 이해 수준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계설정과 마음이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어머니가 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인지적, 정서적, 자율성 지지 행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가 높은 수준의 마음이론을 보였다. 비계설정의 각 하위차원과 마음이론 간 관계에서는 인지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 보다 근소하지만 마음이론과 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 지지와 마음이론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유아 간 상호작용 시 어머니가 보이는 비계설정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국내 상황에서, 이를 주제로 선정하여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어머니의 비계설정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어머니의 인지적, 정서적,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사회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최초의 교육기관으로서 가정환경과 부모-자녀 관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유아들의 성공적인 사회화 과정에 필수적 요소인 마음이론의 긍정적 발달을 돕기 위한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general tendencies of maternal scaffolding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nd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scaffolding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during a puzzle task. Seventy-three 4- and 5-year old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a videotaped laboratory procedure that involved a jigsaw puzzle task. Maternal scaffolding behaviors were assessed in three dimensions (cognitive, emotional, autonomy support) with an observational coding system developed by Neitzel and Stright (2003). To assess preschoolers' theory of mind understanding, a battery of theory of mind tasks including two appearance-reality tasks, four false-belief tasks, and two second-order false-belief tasks was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showed more emotional and autonomy support than cognitive support towards their child during puzzle solving interactions. Also, preschoolers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theory of mind tasks in order of appearance-reality tasks, false-belief tasks, and second-order false belief tasks. Second, maternal scaffolding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 with mothers' education level, children's gender, age, and number of siblings within househol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aternal scaffolding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s mothers provided more cognitive, emotional, and autonomy support during the interaction, their preschoolers performed better on the theory of mind tasks.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scaffolding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development. Finding from this study indicates that maternal cognitive, emotional, and autonomy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socio-cognitive ability. Also, the current study reconfirms that family environments are important as the first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rovides guidance on mothers' role in parent-child interaction to help their children's socio-cognitive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유아의 마음이론 7 B. 어머니의 비계설정 10 C.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 14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7 A. 연구문제 17 B. 용어정의 17 Ⅳ. 연구방법 19 A. 연구참가자 19 B. 조사도구 20 C. 연구절차 28 D. 자료분석 30 Ⅴ. 연구결과 31 A.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 31 B. 어머니의 비계설정의 일반적 경향 31 C. 유아의 마음이론의 일반적 경향 32 D.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33 Ⅵ. 논의 및 결론 35 참고문헌 43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4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유아의 마음이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aternal Scaffolding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dc.format.pagev,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