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1 Download: 0

온라인 액티비즘으로 재/구성되는 ‘여성’ 범주와 연대

Title
온라인 액티비즘으로 재/구성되는 ‘여성’ 범주와 연대
Other Titles
The category of Women and the Solidarity Re/figured through Online Activism: The Case Study about the Megalia and the Womad
Authors
김리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온라인 페미니스트 액티비즘이 주장되는 과정에 젠더 범주로서 ‘여성’과 그 ‘여성들’의 연대가 구성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사례로 2015년 여름 등장한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와, 2015년 말 그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워마드’에 집중하였다. 메갈리아와 워마드를 함께 분석하는 이유는 2015년 말 메갈리아에서 분화되어 나온 인터넷 커뮤니티들 중 하나가 워마드이며, 당시 분화되어 나온 독립 커뮤니티들 가운데 워마드가 가장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워마드와 달리 메갈리아는 2016년 1월을 기점으로 침체기를 보이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 이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폭 또한 좁아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 기간을 고려할 때 메갈리아와 워마드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단일하고 고정된 ‘메갈리안’이 아닌, 수시로 변화하고 분화되며 이동해 가는 다양한 ‘메갈리안들’을 연구하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채택하였으며, 2015년 8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메갈리아와 워마드에 대한 온라인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메갈리아와 워마드는 종래 대중적 포스트페미니즘 담론에서 구성되어 온 ‘남성 역차별’ 주장과 반페미니즘 정서를 비판함으로써, 여성들이 경험하는 성차별적 사회의 문제를 가시화 하고 페미니즘적 언어의 유효성을 주장하는 액티비즘을 시도한다. 따라서 모두 동시기 젠더 이슈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다양한 프로젝트와 시위를 기획하여 온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차이점을 보자면, 메갈리아의 활동은 온라인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워마드는 오프라인에서의 행동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위 전략에 있어서, 워마드는 그 이슈에 따라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계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로서 시위 주체의 이름을 비가시화 하고, 이슈 그 자체의 파급력을 키우는데 집중하여, 그 영향력을 지속시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워마드 이용자들이 기획하는 온라인 액티비즘의 전략으로서,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을 최소화 하고, 외부로부터의 인정을 기대하지 않는 내부 분위기를 통해 기능하는 측면이 있다. 워마드의 이러한 특징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일상화, 대중화라는 물질적 토대에 기반을 두고, 젠더 범주로서 ‘여성’의 시리즈와 그룹의 경계에서 작동하는 액티비즘을 지속하게 한다. 초기 메갈리아에서는 온라인 페미니스트 액티비즘을 지향하는 과정에, 시리즈와 그룹으로서 여성 정체성이 공존하는 긴장을 보였다. 이는 페미니스트 운동에서 정체성 정치학의 이슈와 관련된다. 메갈리아에서는 ‘여성’으로서 공유되는 성차별적 경험이 없더라도, 페미니즘을 지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다원적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실천을 인정하고, 오로지 ‘한국·이성애·시스젠더·남성’만이 공공의 적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메갈리아에서는 “뿌리 깊은” 구조 담론에의 지지와 함께, 성차별적 경험을 하지 않은 여성의 존재를 의심하지 않는 경향 또한 강하게 감지되었다. 이러한 긴장 속에, 2015년 말 메갈리아에서 벌어진 동성애 남성 혐오발언 논쟁은 “오로지 여성만”의 연대를 주장하는 워마드를 파생시켰다. 정보산업 중심의 신모계 사회를 주도하는 도시 유목민이자, 분노하는 여성들이라는 다층적 의미를 담은 워마드는 운동 주체로서 공유된 경험을 가진 여성을 호명함과 동시에, 다양한 사회문화적 성장 배경, 가치관, 상황 등을 가진 여성들의 차이 또한 지속적으로 고려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 ‘여성’은 운동 주체로서 정치성을 갖는 액티비즘의 당사자임과 동시에, 남성중심적 성별 규범으로부터 탈주, 해체되어야 하는 성별 정체성으로 여겨짐으로서, 둘 사이의 충돌되는 논점을 내재한다. 이 지점에서 워마드 이용자들은, 액티비즘의 주체로서 여성의 의미를 전 생애주기에 걸쳐 구성되는 경험과 인식의 공유에서 찾고자 하며, 그것은 차별적 경험이 몸에 체현되는, 즉 ‘보지’를 가진 자로 기획된다. 메갈리아와 워마드는 종래 젠더화된 사회구조에 대한 저항 방식의 하나로 언어, 기호, 상징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재구축을 시도하여 온 특징을 갖는다. 특히 언어는 무의식의 상징질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인데, 그러한 점에서 언어 규범의 재창조는 성차별적 현실에 대항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일상에서의 무의식적 전환 투쟁을 기획함을 보여준다. 메갈리아와 워마드 이용자들은 커뮤니티 활동 중에 새로운 언어 규범을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반란적 의미 체계의 지속적인 재구축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무의식적 상징 질서의 해방과 감정의 변화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메갈리아와 워마드 이용자들이 남성중심적 언어의 반복적인 비판적 수행을 통하여, 성차별적 경험을 야기하는 상징적 기제를 성찰하는 과정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즉 남근중심적 언어체계에 대한 비판적 자각과 재창조의 시도는, 무의식에 숨겨진 성차별적 경험의 우울을 지속적으로 해체할 것을 자극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성별을 설명하는 언어들에 대한 의심을 수반함으로써, 남성중심적 사회가 설명하는 ‘여성’을 새롭게 의미화 하려는 기획을 지속적으로 추동한다. 그럼에도 명예 남성, 트렌스 여성 등의 이슈는 액티비즘의 당사자로서 '여성 범주‘의 안정적 기획에 긴장을 가져온다. 특히 메갈리아에서 워마드가 파생되어 나온 과정에 액티비즘의 당사자로서 ’여성‘의 정체성이 더욱 강하게 주장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여성 범주의 기획은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는 명예남성에 대한 개별화된 방식의 낙인이 아닌, 명예남성의 특정 행위에 대한 비판에 집중하거나, 혹은 명예남성이 수행하는 남성(성)에 대한 혐오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기도 한다. 2016년 말에서 2017년 초에는 여성우월주의가 아닌, 남성멸시주의를 내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기도 하였는데, 이는 당초 여성우월주의가 성별이분법적 구도 안의 남성 주체를 기준으로 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비판 받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 주체를 규정 혹은 해체하려는 방식에서 벗어나, 당초 타자로서 여성을 필요로 하는 단 하나의 주체 규범인 남성(성)에 대한 비판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 여성이란, 혹은 워마드 이용자들이란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계획”이라는 설명이 지속적인 지지를 얻어왔다. 특히 2015년 메갈리아에서 굿즈 소비 등을 통하여 현실에서 구체화 되었던 메갈리안으로서의 정체성은, 커뮤니티 내외부의 검열의 위험성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이후 워마드에서는 고정된, 단일한 그룹의 정체성으로서 인터넷 커뮤니티의 이름을 규범화 하려는 시도에 대한 비판이 강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워마드가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로서 소속감을 지양하고, 외부로의 인정을 기대하지 않는 것은, 어느 워마드 이용자의 주장과 같이, 워마드가 “실체가 없는 공기처럼 존재하는 공포”로 여겨짐으로서, 어떠한 효과를 의도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 워마드에서 여성(성)은 커뮤니티 외부에서 워마드를 악마화, 낙인화 하는 언어를 더욱 적극적으로 전유하고, 소비하는 방식으로서 여성(성)을 공포화 하는 전략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공포화의 전략은, 워마드 이용자들로 하여금, 더욱 예측하기 어렵고, 통제가 불가능하며, 충격적인 액티비즘의 실천을 정당화하는 기제가 된다. 주제어: 메갈리아, 워마드, 온라인 액티비즘, 연대, 여성 범주;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mechanism of composing 'women' as a gender category, as well as 'women's' solidarity in the process of recent online feminist activism. The case studies focused on the internet community 'Megalia,' which began in the summer of 2015, and the 'Womad' which was born out of Megalia at the end of 2015. The reason for analyzing both Megalia and Womad together is that the Womad, one of the internet communities from Megalia, was the most invigorated among those independent communities. Unlike the Womad, the Megalia has been relatively inactive since January 2016: The number of users has decreased dramatically and the scope has become narrow as well. Therefore, considering the period during which research was conducted it seemed appropriate to analyze the Megalia and the Womad together. A diverse picture of the 'Megalians,' which had been changing, diversifying, and not moving in any single direction could be achieved this way. For the research method, internet ethnography was selected, and online participatory observance had been made about the Megalia and the Womad during the period between August 2015 and December 2016. The Megalia and the Womad, criticizing the argument of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en' and the emotions of anti-feminism which have manifested in the discourse of popular post-feminism, visualize the issues of a society that discriminates on the basis of gender as this society is experienced by women, and attempt in their activism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feminist language. Therefore, each group, in so far as they respond promptly to gender issues in society and plan various projects and protests, are similar. However, the Megalia focused on online activities while the Womad pursued offlin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issues they were protesting, the Womad also used various internet communities and SNS accounts to prepare for protests. In doing so, identifying any sort of organized protesting group was difficult, and the online community was effectively invisible; this allowed the Womad to focus on the issues themselves, and to continue their influences. Furthermore, this strategy of online activism planned by users of the Womad allowed the group to function through its internal atmosphere and negated the need of recognition from other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Womad, based on the material foundation of daily use and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and smart phone, allow the activism to function in the border between seriality and the group of 'women' as a gender category. The initial Megalia, in the process of pursuing online feminist activism, showed tension of co-existence of female identities between seriality and the group. It is linked to the issue of the politics of identity in feminist movements. In the Megalia, even though there were no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shared as 'women', there were perceptions of how one should support feminism. And, in the environment, the practice of multiple genders and sexualities were recognized, and only 'Korean, heterosexual, cisgender, and men' were regarded as a public enemy. However, at the same time, in the Megalia, with support of 'deep rooted' discourse of structure, there was a strong trend not to doubt the existence of women without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In these tensions, the debate about homosexual male hate speech in the Megalia at the end of 2015 inspired the Womad to insist upon the solidarity of 'women' only. The Womad, including multiple meanings of urban nomad leading to neo-matrilineal society centering IT industries and angry women, labels women having the shared experiences as agents of movement and tends to consider continuously the differences of women with various sociocultural backgrounds, values, and situations. In this atmosphere, 'women' in the Womad, being considered as the parties of activism and having politics as the agents of movement and gender identity to escape and deconstruct from male-dominating gender norms, include the point conflicting between both of them. To this point, users of the Womad try to look for the meaning of women as agents of the activism from shared experiences and perceptions constituting the entire life cycles, and it is planned as a being with vagina, that is, embodied with discriminating experiences in their bodies. The Megalia and the Womad both try to rebuild ongoing systems of languages, signs, and symbols in order to resist the gendered structure of society. In particular, language is the most basic instrument used to compose the order of symbol in unconsciousness, and re-creation of norms of language in this perspective, is one of the ways to resist the gender-discriminating reality, shows to plan unconscious conversion fight in daily lives. The users of the Megalia and the Womad, using new norms of languages intentionally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attempt an ongoing re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meaning of rebellion. And this attempt tends to lead to the liberation of unconscious order of symbols and changes of emotions. This is because the users of the Megalia and the Womad, through repeated critical practice of male-dominating languages, experience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symbolic mechanism to cause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That is, critical self-realization about a phallo-centric system of language and attempts of its re-creation stimulate the deconstruction of continuously depressed experiences of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hiding in the unconsciousness. And this attempt continues to drive the planning to make 'women' described by male-dominating society newly meaningful, accompanying doubt against languages to explain gender. Nevertheless, the issues of honorary men and trans-women bring tensions to the stable planning of the category of 'women' as the agents of the activism. In particular, as the Womad was emerging from the Megalia, with a stronger trend to insist on the identity of 'women' as the agents of the activism, the planning of the category of women has provoked ongoing debates. In this atmosphere, the Womad focuses on criticizing specific behaviors of honorary men or strengthening hatred against muscularity conducted by honorary men, not individual stigmatization against honorary men. During the end of 2016 and the beginning of 2017, the argument that male-contemptism—not female-superiorism—should be built up was supported, the reason being that female-superiorism was criticized as a conception based on the male subjects in the structure of gender-dichotomy. Accordingly, escaping from that way of defining or deconstructing the female subject, it was detected that the movement to strengthen criticisms against male(muscularity) was the only norm of subject requiring female as other. And in this situation, the explanation that planning is more important than who the women and/or users of the Womad are has been continuously supported. Especially, the identity as the Megalian embodied in the reality through consumption of goods in 2015, by bringing risk of censorship in and out of the community, was strongly criticized for attempting to define the internet community as a fixed and single group in the Womad. The reason that users of the Womad evade being identified as users of a larger internet community and do not expect recognition from others—including other users of the Womad— may be that they intend a kind of effect by being regarded as 'fear existing as air without substance’. In addition, in this atmosphere, females(feminity) in the Womad show strategies to terrorize it with ways to use and consume languages, making the Womad devil and a group that is stigmatized outside of the community. And this strategy of terrorizing enables users of the Womad to be difficult to predict, impossible to control, and justifies the practice of shocking activism. Keywords: Megalia, Womad, Online Activism, Solidarity, Category of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