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세경-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creat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01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0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8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88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터넷 망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편화, 동영상 콘텐츠의 인기에 발맞춰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짧은 동영상 시청 행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개인 미디어와 각종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미디어 수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소비한다. 수용자는 정해진 시간 자원을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해 여러 채널에서 쏟아져 나오는 미디어 콘텐츠 중 자신의 욕구와 가장 잘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동형 기기의 발달과 짧고 강렬한 자극제에 대한 수요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스낵컬처가 급부상하고 있다. 동영상의 인기는 각종 포털과 동영상 플랫폼, SNS 등에서 활발한 짧은 동영상 유통을 불러왔다. 본 연구에서 짧은 동영상은 스낵컬처의 일환으로 짧은 시간 내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10분 내외의 동영상 클립을 말한다. 짧은 동영상은 시청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되며 스트리밍 시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중이나 잠깐 짬이 났을 때 시청하기 편리하다. 일상생활이 바쁜 현대인들은 정해진 시간에 한 곳에 앉아 프로그램 전 편을 시청하는 행위를 점점 부담스러워하며 꼭 정해진 시간과 장소 때문이 아니더라도 길이가 긴 콘텐츠 자체에 지루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의 콘텐츠에 머무르는 시간이 점점 짧아지는 미디어 시청 양상을 보며 ‘우리는 왜 짧은 동영상을 시청하는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왜 짧은 동영상을 소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짧은 동영상의 이용동기와 충족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짧은 동영상의 길이적 특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스트리밍 시청 구조, 짧은 동영상을 시청할 때 주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기기적 특성 등에서 기인한 특징적인 이용동기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짧은 동영상을 중시청자들의 이용 행태, 이용동기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선행연구와 심층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이용동기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짧은 동영상의 이용동기는 습관적 소비성, 접근성, 핵심 간결성, 상호작용성, 질적 우수성, 반복성, 조작 편리성 7가지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짧은 동영상 이용 행위 후 얻은 충족 요인으로는 접근성/간편경제성, 습관적 소비성, 상호작용성, 질적 우수성, 반복성 5가지를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는 이용 행위를 주요 변인으로 본다. 이용 행위에는 짧은 동영상 유형, 장르, 플랫폼에 대한 이용 정도가 해당된다. 이용 행위를 주요 변수로 삼는 이유는 이용동기에 따라 이용 행위에 차이가 나고, 특정한 이용 행위를 했을 때 실제 얻는 충족에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짧은 동영상 유형에는 하이라이트 영상, 비공개 영상, Web RMC, UCC라는 하위 차원이 포함되고 장르에는 예능, 드라마,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음악, 교양∙다큐, 일상생활, 광고가 포함된다. 플랫폼은 유튜브, 네이버TV캐스트, 다음TV팟(카카오TV), 아프리카TV, 비메오, 곰TV,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도출된 이용동기를 바탕으로 이용동기가 이용 행위(유형, 장르, 플랫폼 별 이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 행위(유형, 장르, 플랫폼 별 이용 정도)가 충족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연구 결과, 이용동기는 유형, 장르, 플랫폼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쳤고, 각 하위 범주 별로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용 행위인 유형, 장르, 플랫폼의 이용 정도 역시 충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이용 행위의 하위 범주에 따라 만족된 충족 요인에 차이가 났다. 이용 행위 별로 이용동기 요인이 이용 행위를 거쳐 수용자들이 어떠한 충족 요인을 얻었는지 살펴본 결과 추구하는 이용동기 요인보다 획득된 충족 요인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의 하위 항목인 UCC와 장르의 하위 항목인 광고(CF)를 제외하고는 모든 이용동기를 충족시킨 이용 행위는 없었다. 대체적으로 이용자가 짧은 동영상을 이용하면서 추구하는 욕구에 비해 짧은 동영상이 제공해주는 충족이 낮은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짧은 동영상에 대해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매우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넘쳐나는 짧은 동영상 콘텐츠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유형화를 하기란 쉽지 않고 기존 연구에도 제대로 적립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오리지널 TV기반의 영상과 웹 전용 영상으로 짧은 동영상을 구분하여 유형화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짧은 동영상을 범주화 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었고 짧은 동영상에 대한 콘텐츠적 측면의 논의를 용이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유형과 장르, 플랫폼 이용 정도로 구성된 이용 행위에 대하여 영향을 준 이용동기와 이용 행위로 인해 얻은 충족 요인을 밝힘으로써 영상 미디어 소비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짧은 동영상의 독특한 특성에 기반 한 이용동기를 찾아냄으로써 짧은 동영상을 단지 TV나 오락의 보조적 역할이 아닌 하나의 독립적이고 새로운 매체 이용 행위로 바라보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ewing behavior of short videos that is rapidly growing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wide use of smart phones, and popularity of video contents. With the development of personal media and various platforms, audiences consume media contents in subject and active manners. The audiences appropriately distribute his/her predetermined time resource and chooses contents that satisfy his/her needs among the media contents that are widely available from various channels. Snack culture, which can be enjoyed without commitment, is on a sudden rise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combined with demands for short and intense stimulants. In addition, short videos are actively distributed in various kinds of portal sites, video platforms, SNS, and such, due to its popularity. Short videos are video clips that are approximately 10 minutes long and can be enjoy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part of the snack culture. Short videos do not require much time to watch and through streaming, it’s easy to watch on the go or during short breaks. It has been shown that modern people who are busy in daily life feel increasingly burdensome to watch an entire episode at a fixed time and place and even feel bored by the long contents despite not having to watch it at a fixed time and place. Through the phenomenon of media consumption in which lesser time is spent in one particular content, we can ask the question of why we turn to short videos.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y we consume short video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of gratification sought and the gratification obtained in using short video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specific gratification sought from short videos by its distinctiveness in length, form of viewing (streaming via internet), and mobile devices that are mainly used for viewing short videos. Gratification sought factors were acquired through surveys that were developed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frequent short video viewers on their short video clip usage and gratification sought, and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s short video clip usage as the main variable and uses this variable to examine the frequency in the types of short videos selected, genres viewed, and the platform used. Short video clip usage is considered as the main variable because short video clip usage differs depending on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through particular short video clip usage, gratification obtained also varies. Short video types include: highlight video, unrevealed video, Web RMC, and UCC, and genres include: entertainment, drama, film, sports, animation, music, culture/educational∙documentary, daily life, and advertisement. Platforms that were examined include: Youtube, Naver TV Cast, Daum TV Pot, afreeca TV, vimeo, GomTV, Facebook, and Instra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irst, the gratification sought for using short videos were: habitual consumption, accessibility, core simplicity, interactivity, qualitative excellence, repeatability, and operational convenience. Five factors drawn from gratification obtained after short video clip usage include: accessibility/simplicity, habitual consumption, interactivity, qualitative excellence, and repeatability. Secondly, after examining whether gratification sought affect short video clip usage, results show that it affects frequency in the types of short videos selected, genres viewed, and the platform used. The factors influencing type, genre and platform varied for each sub-category.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short video clip usage on gratification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in the types of short videos selected, genres viewed, and the platform used affect gratification obtained. In conclusion, there were fewer gratification obtained than gratification sought through short video clip usage. There is no short video clip usage that satisfies all gratification sought except UCC, sub-category of short video types, and advertisement (CF), sub-category of genre. The gratification obtained by the users from short videos are less than what the users desired. This study categorized short video clips that has become a viral media consumption phenomenon and have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video media consumption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in short video clip usage. Through this research on short videos regarding the unique gratification sought and its characteristics, short videos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auxiliary role of television or entertainment, but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and newly arising media us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1 Ⅱ. 이론적 논의 8 A. 급변하는 미디어 시장과 모바일 콘텐츠의 성장 8 1. 전통적 미디어 환경의 변화 8 2. 인터넷 기반 미디어의 발달과 동영상의 인기 10 3. 스낵컬처 짧은 동영상의 등장 14 B. 재매개 관점에서 본 미디어와 그 분류 16 1. 재매개 관점에서 본 미디어 콘텐츠 16 2. 재매개 관점에서 본 짧은 동영상의 분류 17 3. 짧은 동영상의 길이에 관한 논의 24 C. 이용과 충족 이론과 짧은 동영상 이용 행위 25 1. 이용과 충족 이론과 이용 행위 25 2. 충족의 차원에 대한 고찰 31 3. 이용과 충족 이론을 이용한 뉴미디어 연구 33 4. 이용 동기와 충족 요인 39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1 A. 연구문제와 연구모델 41 1. 연구문제와 연구가설 41 2. 연구모델 42 B. 연구방법 43 1. 연구대상과 연구절차 43 2. 주요 개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45 Ⅳ. 연구결과 49 A. 설문 응답자와 주요변인의 속성 50 1. 인구 통계학적 속성 50 2. 시청량과 이용 행위의 관계 54 3. 설문 응답자들의 미디어 사용 경험과 짧은 동영상 이용 행위에 관한 변인들의 속성 56 B. 주요 변인의 요인분석 결과 64 1. 짧은 동영상 이용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64 2. 짧은 동영상 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68 C. 연구문제와 연구가설 검증 71 1. 미디어 이용 행위에 대한 이용 동기의 회귀분석 결과 71 2. 짧은 동영상 충족 요인에 대한 이용 행위 회귀분석 결과 80 Ⅴ. 결론 87 A. 결론 및 논의 87 1. 결론 및 연구 결과 요약 87 2. 이용 행위에 대한 짧은 동영상 이용 동기와 충족에 관한 논의 88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3 부록(설문지) 112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4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짧은 동영상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ses and Gratification on Short Videos-
dc.format.pagex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