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김현 비평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Title
김현 비평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Other Titles
The Aesthetic Politics of Kim Hyeon’s Literary Criticism : examining the circular structure of Kim Hyeon’s writings
Authors
박혜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How can a political revolution become a literary revolution? Is the politics of writers different to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ese questions, which have troubled writers in recent years in the guise of the ‘poetry and politics’ debate, set in motion a forum for calling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whereby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two. This forum of thought made visible the inherent politics of literature dubbed the ‘politics of aesthetics.’ In this debate the literary community witnessed the fundamental mutual pervasiveness of literature and politics, with both only becoming whole when they include each other. This debate within the literary community in Korea, to actualize the politics of aesthetics, did not come about without any particular origins or history. The reasoning in this debate owes a great debt to an event which took place half a century ago, the April 19th Revolution of 1960. Kim Hyeon’s definition of his critical identity remaining throughout his life as that of part of the ‘April 19th generation’ has a similar basis. Connoted in the term ‘April 19th generation’ is an allusion to a cultural history whereby, through the medium of revolution, one could not help but constantly consider the affinity of literature and politics. This is because, in the politics of reality, the revolution brought about by the hands of this generation was betrayed, and so it was to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at this revolutionary spirit ascended. Literature becoming revolution and going out into reality does not refer to writing works of literature which reflect a particular political viewpoint. As noted by the French philosopher Jacques Rancière, literature has its own inherent politics, and this is not the politics of the writer. The politics of literature is something more fundamental than the institutional systems of society, it is politics which subverts the system of feeling by which the world we inhabit is defined. Therefore, political revolution cannot become literary revolution without mediation. This becomes possible through reasoning on the inherent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being composed in relation to revolution. Kim Hyeon’s life works of literary criticism are a journey in the consideration of this politics inherent to literature, and this was born out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Having witnessed the events surrounding April 19th at the age of nineteen, Kim Hyeon stood counter to the society which extinguished the revolution, by internalizing it. The aesthetic methodology of this internalization was melancholic writing.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ense of loss prevalent in such writing is not insociable narcissism but rather a struggle to preserve the revolution with the name of loss. At the same time, as the traces of the lost revolution could not be found in reality, Kim Hyeon’s struggle takes on an abstract and tragic aspect. Coming into the 1970s, this abstract pessimism took on the appearance of more specific exploration. Not limiting the revolution to having been a physical event, but rather seeking to make it function as the reality of a community,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April 19th generation. This awareness makes Kim Hyeon look squarely at the reality revealed by his mother tongue. Words prescribe the sensory mode in which reality can be experienced, while they also have the ability to cast doubt on the time and space, and the sites of identity prescribed by the system. This premise, that literature is implicated in the life of the community, in this way assigns sociality to the ideals and realities that Kim Hyeon calls into question. Ideals are focalized as human happiness, while reality is focalized as the tragic history and materialist society which oppress this happiness. Literature, then, is an aesthetic system mediating this relationship. In a reality that does not permit a different life, literature piles up points of view in layers, using the imagination. Artistic overlap and complicity with regards to reality brings about disharmony in the pre-existing consensus order of things. The liberation and construction of a new reality brought about through this aesthetic system is the literary utopia Kim Hyeon proposes. At the end of the literary utopia which he tried to achieve based on the spirit of the April 19th Revolution, however, Kim Hyeon was faced with the May 18th (1980) Gwangju ‘democratization revolution.’ While the two incidents have both been called ‘revolutions,’ for Kim Hyeon that of April 19th is connected to “a call to make a new world,” while the aftermath of May 18th is related to “a call to destroy an oppressive world.” These two revolutions have conflicting facades of birth and destruction, but while going through the literary outpouring of the 1980s with his literary criticism, Kim Hyeon did not rule out either of these two opposite poles. While keeping the roots of his world of criticism firmly planted in the spirit of the April 19th generation, creating a new world in the midst of chaos, Kim acknowledges that when the created world is trapped in pre-existing divisions of sensibility, this is an order which must again be destroyed. Destruction of a certain world does not hold the destruction as its goal, but rather is concerned with the construction of another new world in its place. In this way Kim Hyeon gives insight into the world which comes full circle in the interlocking cycle of creation and destruction. This circular imagination becomes Kim Hyeon’s critical methodology. This methodology is what Kim called ‘analytical de-constructivism,’ de-constructing the sensory order of the world built phenomenally, and formulating a new reality through an aesthetic system. Through the unending antagonism between de-construction and creation, the world of the lost revolution which Kim Hyeon identified in the 1960s becomes the potentiality for the bringing about of revolution in the 1980s. In the midst of this loss and realization of revolution, there is an aesthetic system, namely literature. By stylizing the disappeared revolution, literature acts as a space which returns this revolution to reality. In this unbridled space, revolution is not constrained within the significance endowed to it by existing society, but rather invents a new way of life. It is not the depiction, nor the assertion of revolution, but its fulfillment, and this is the inherent politics of literature.;정치적 혁명은 어떻게 문학적 혁명이 될 수 있는가? 작가의 정치는 문학의 정치와 다른 것인가? 성실하게 시를 쓰려는 문인들을 ‘시와 정치’ 논쟁이라는 이름으로 최근까지 괴롭힌 이 질문은, 문학과 정치의 분리 불가능한 상관성에 대해 환기시키는 장(場)을 작동시켰다. 그 사유의 장은 ‘미학의 정치’라는 문학 고유의 정치성을 가시화시켰다. 이 논쟁에서 문인들은 서로를 포함해야만 온전해 질 수 있는 문학과 정치의 본질적인 상호 침투성을 목격하였다. 미학의 정치를 현실화시키려는 한국 문단의 이러한 투쟁은 아무 기원이나 역사 없이 발생한 것이 아니다. 이 논쟁은 4.19 혁명이라는 반 세기 전의 사건으로부터 그 사유의 빚을 지고 있다. 김현이 자신의 비평적 정체성을 평생 4.19 세대로 정립시킨 것은 이러한 기반을 갖고 있다. 4.19 세대라는 명명에는 혁명을 매개로 문학과 정치의 친연성에 대해 끊임없이 사유할 수밖에 없는 문화사적인 암시가 내포되어 있다. 현실의 정치는 자기 손으로 일으킨 혁명을 스스로 저버렸기에, 혁명 정신이 계승될 곳은 문학의 정치였기 때문이다. 문학이 혁명이 되어 현실로 나아가는 것은 특정한 정치적 입장을 반영하는 작품을 쓰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프랑스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의 말처럼 문학은 자기 고유의 정치를 가지며, 그것은 작가의 정치가 아니다. 문학의 정치란 제도적인 사회 체제보다 더 근본적인 것,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규정하는 감각의 체계를 전복시키는 정치이다. 그러므로 정치적 혁명은 아무런 매개 없이 문학적 혁명이 될 수 없다. 그것은 현실과의 관련 속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고유의 정치성에 대해 사유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김현의 비평적 행보는 이 문학 고유의 정치성에 대한 사유의 여정이다. 그것은 1960년의 4.19 혁명으로부터 탄생한다. 19세에 4.19 혁명을 맞이한 김현은 그것을 소멸시킨 사회에 대항하여 혁명을 내면화시킨다. 그 내면화의 미학적 방법론은 멜랑콜리적 글쓰기이다. 이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상실감은 폐쇄적 나르시즘이 아니라 상실의 이름으로 혁명을 보존시키려는 투쟁이다. 하지만 상실된 혁명은 현실에서 그 자취를 찾을 수 없기에, 김현의 투쟁은 추상적이고 비극적인 양상을 띤다. 이러한 추상적인 비관주의는 1970년대에 접어들며 구체적인 탐색의 면모를 갖는다. 그것은 혁명을 물리적 사건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현실로 기능하게 하겠다는 4.19 세대의 의식에 기반한다. 이 의식은 김현에게 모국어가 현시하는 현실을 직시하게 한다. 단어들은 현실을 경험하게 하는 감각적 양식을 규정하며, 체제가 규정해 놓은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정체성의 자리들을 문제 삼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이렇게 문학이 공동체의 삶에 연루되어 있다는 전제는 김현이 문제 삼는 이상과 현실에 사회성을 부여한다. 이상은 인간의 행복으로, 현실은 그 행복을 억압하는 비극적 역사와 물질주의적 사회로 초점화된다. 문학은 이 사이를 매개하는 미적 체제이다. 그것은 다른 삶을 허용하지 않는 현실에 상상력을 통한 여러 겹의 시야를 겹쳐놓는다. 현실에 대한 예술적 겹침과 연루는 기성 세계의 합의된 질서에 불화를 일으킨다. 이 미적 체제를 통해 일어나는 해방과 새로운 현실의 구축이 김현이 상정하는 문학적 유토피아이다. 그러나 4.19 혁명의 정신을 기반으로 이룩하려고 했던 문학적 유토피아의 끝에서 김현은 1980년의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마주한다. 두 사건은 모두 혁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나 김현에게 4.19는 “새로운 세계의 만듦이라는 당위”와 연관되어 있다면 5.18 이후는 “억압적 세계의 파괴라는 당위”와 관련되어 있다. 두 개의 혁명은 각각 탄생과 파괴라는 상반된 얼굴을 지니고 있지만, 김현은 1980년대의 문학적 분출을 비평으로 겪어내며 두 대극 중 어느 하나도 배제하지 않는다. 그는 여전히 자신의 비평 세계의 뿌리를 혼돈 속에서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는 4.19 세대의 정신에 두면서도, 구축된 세계가 기성의 감성 분할 속에 갇힐 때 다시 파괴되어야 할 질서라는 것을 인정한다. 세계의 파괴는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또다시 새로운 세계의 구축과 맞닿아 있다. 이처럼 김현은 창조와 파괴가 순환적으로 맞물려 원형의 전체를 이루는 세계에 대해 통찰하고 있다. 이 원형의 상상력은 김현의 비평적 방법론이 된다. 그 방법론은 그가 ‘분석적 해체주의’라고 부르는 것인데, 이는 현상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세계의 감각적 질서를 해체하고 미적 체제를 통해 새로운 현실을 구상하는 것이다. 해체와 구축의 끊임없는 길항 작용을 통해 1960년대에 김현이 인식한 상실된 혁명의 세계는 1980년대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태가 된다. 이렇게 혁명의 상실과 실현 사이에는 미적 체제, 즉 문학이 있다. 문학은 사라진 혁명을 양식화함으로써 그것을 현실에 돌려주는 공간이다. 이 자유로운 공간에서 혁명은 기존의 사회가 혁명을 의미화하는 방식에 갇히지 않으며, 새로운 삶의 양식을 발명한다. 그것은 혁명의 서술도 주장도 아닌 혁명의 이행이며, 문학이 가지는 고유한 정치성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