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한국어 한자어 준접사와 중국어 준접사 대비 연구

Title
한국어 한자어 준접사와 중국어 준접사 대비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Sino-Korean Quasi-affixes in Korean and Quasi-affixes in Chinese
Authors
WU, XIAOYU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고는 어근과 접사의 과도기적 성질을 가진 한국어의 한자어 준접사와 중국어 준접사의 특성을 정리하고 그 설정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의 한자어 준접사와 중국어의 준접사를 대상으로 형태론적 측면과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Ⅰ장에서는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 목적을 밝힌 다음에 연구 범위 및 본고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한자어 준접사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들, 중국어 준접사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살펴본 다음 한국어 한자어 준접사와 중국어 준접사의 대비를 주제로 다룬 논의들까지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준접사와 관련하여 먼저 어근, 어간, 어기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본고의 연구 대상을 한국어 한자어와 중국어에서 ‘어기+접사’로 이루어진 단어만으로 함을 밝혔다. 다음으로 접사와 준접사의 개념과 분류를 통해 접사와 구분되는 준접사의 특성과 그 설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의 한자어 준접사와 중국어 준접사의 목록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와 중국어 준접두사의 특성을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형태적 측면에서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와 중국어 준접두사에 의한 파생어의 단어 형성 방식을 제시한 다음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단어 형성 방식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의 단어 형성 방식은 비교적 단순한 데 비하여 중국어 준접두의 단어 형성 방식은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는 어기의 범주 변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중국어 준접두사는 어기의 범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도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와 중국어 준접두사의 관형사적 용법을 대비하였다.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와 중국어 준접두사는 관형사적 용법으로 쓰이면 어기와 분리가 가능하고 구와 결합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보인다. 수식 범위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는 관형사적 용법으로 쓰일 때 후행 명사구를 전체적으로 수식하는 데 비해 중국어 준접두사는 후행 명사구를 전체적으로 수식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수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어 한자어 준접두사와 중국어 준접두사를 의미 범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고는 한자어 준접두사와 중국어 준접두사의 의미 변화는 주로 범화(泛化)가 실현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의미 범화의 정도에 따라 준접두사의 의미 변화는 ‘강, 중, 약’의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의 대비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Ⅲ장과 마찬가지로 형태적 측면에서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에 의한 파생어의 단어 형성 방식을 제시한 다음에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단어 형성 방식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는 모두 명사나 부사를 파생시킬 수 있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는 관형사를 파생시킬 수도 있지만 중국어 준접미사는 동사, 형용사, 접속사를 파생시킬 수 있다는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는 어기의 범주를 변화시키지 않는 데 반해 중국어 준접미사는 어기의 범주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의미적 측면에서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의 준접미사에서 사람과 관련된 것, 학문과 관련된 것, 장소와 관련된 것들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가 구와 결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는 공통적으로 명사구와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어 준접미사가 동사구나 형용사구와 결합할 수 있는 반면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는 그렇지 않다. 한편,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는 관형절의 수식을 받을 수도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은 일부의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가 접사적 용법과 의존명사적 용법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의 의미 범화를 제시하였다. 준접두사와 마찬가지로 본고에서는 한국어 한자어 준접미사와 중국어 준접미사의의 의미 변화가 주로 의미의 범화(泛化)를 통해 실현된 것임을 주장하였다. 이들 준접미사는 각각 의미 범화의 정도가 다르며 그 정도에 따라 ‘강, 중, 약’의 세 가지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Ⅴ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고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핵심어: 준접사, 준접두사, 준접미사, 한국어 한자어, 중국어, 단어 형성 방식, 의미 변화;This article is about Korean Quasi-affixes and Chinese Quasi-affixes both with excessive nature of roots and affixes,  it organizes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setting standards. Thus, the examples of Korean and Chinese Quasi-affix derivatives are presented, an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The first chapter points out the research topic and purpose, and then points out research scope and constitution. A review of the Korean Quasi-affixes and Chinese Quasi-affixes first, and then analyze the specific differences. In the second chapter,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cept of Quasi-affixes, the definition of roots, stems and bases are proposed. This article only identifies the words that formed ‘stem +affix’ in Korean and Chinese. It also proposes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affixes and Quasi-affixes, and then reviewing the characters and setting standards of Quasi-affixes in order to distinguish with affixe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Korean and Chinese Quasi-affix are also presented. The third chapter puts forward the comparison of Korean Quasi-prefixes and Chinese Quasi-prefixes. First of all, from the angle of form, it compares the way of making words of derivative of Korean and Quasi-prefixes derived words then analyzes the common point and differences. Through the analysis, we learn that the ways of making words of Korean Quasi-prefixes are single, but Chinese Quasi-prefixes  are completely on the opposite. Also we know Korean Quasi-prefixes base has not changed, but the Chinese Quasi-prefixes base has. And then it puts forward the use of Korean Quasi-prefixes article. As article, Korean and Chinese Quasi-prefix can be distinguished in base and also can be comb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ope of modification, Korean Quasi-prefixes as article can modify the noun sentence as a whole. Chinese Quasi-prefixes can modify the noun sentence partly and integrally. And then it points out the meaning changes characters of Korean and Chinese Quasi-prefixes. This article argues that Korean and Chinese Quasi-prefixes meaning change ismainly generali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gnificance, it can be divided into weak, medium and strong three stages.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Quasi-suffixes. As the third chapter, it puts forwar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nalysis of the Chinese and Korean Quasi-suffixes ways of derivatives making word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see that both Chinese Quasi-suffixes and the Korean Quasi-suffixes have derived nouns and adverbs in common. In addition, the Chinese Quasi-suffixes can derive article, Chinese Quasi-suffixes can be derived verbs, adjectives, conjunctions. Most of the Korean Quasi-suffixes do not change the base, the Chinese Quasi-suffix can In terms of meaning,  people related, knowledge related, place-related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in Quasi-suffix of this two kind of languages. And then it proposes a combination of Korean and Chinese Quasi-suffixes sentences. Noun sentences that Korean and Chinese Quasi-suffixes can be combined have some points in common. Chinese Quasi-suffixes can be combined with verbs and adjectives, Korean Quasi-suffixes can’t. But the Korean character Quasi-suffixes can be modified by article. Because part of the Korean Quasi-suffixes also have affix usage and incomplete noun usage. The last part of fifth chapter points out of the meaning changes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Chinese Quasi-suffixes. Like Quasi-prefixes, the meaning change of Quasi-suffix in the two countries is mainly through the generalization. The meaning changes of two countries’Quasi-suffix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seudo-sound changes, it can be divided into weak, medium and strong three stages. Finally, the sixth chapter summarizes the paper, aiming to show the limits of this paper. keyword: Quasi-affixes, Quasi-prefixes, Quasi-suffixes, Sino-Korean, Chinese, the way of making words, meaning chan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