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1 Download: 0

한국 직장인 여성의 사회문화적 외모가치와 전문직업성

Title
한국 직장인 여성의 사회문화적 외모가치와 전문직업성
Other Titles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rofessionalism of South Korean Working Women : a Case Study of White-collar Workers in the 20s and 40s
Authors
유소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상호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직장인 여성들이 직업활동 및 사회생활에서 겪는 그리고 외모주의 현상 및 외모와 능력의 동일시 현상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그 원인과 해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의 20~40대 젊은 층의 사무직 직장인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배경에 의해 구축된 외모에 관한 가치와 자신의 전문직업성 인식 간의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직장인 여성의 사회문화적 외모가치와 전문직업성 인식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특히 실증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인터뷰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는데, 설문조사의 경우, 서울 지역에 소재한 기업 및 사업체에 재직 중인 20~40대 사무직 직장인여성 311명에게 선행연구에 의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들의 연구변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변수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문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보조적인 개념으로 설문조사 대상 중 5명의 직장인여성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들의 진술을 통해 설문조사에서 얻지 못한 결과의 의미를 추가적으로 찾아 연구성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직장인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응답자의 직군에서 비서직인 경우가 고객상담보다 공적이미지와 가치내면화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 직장인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성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응답자의 경력에서 10년 이상인 경우가 10년 미만인 경우보다 직업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직군에 따른 전문직업성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일반사무 및 비즈니스직인 경우가 비서직과 고객상담직보다 직업존중감과 전문역량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한국 직장인여성의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수준에 따른 전문직업성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직업존중감이라는 항목에서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수준이 저집단인 경우가 고집단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역량에서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수준이 고집단인 경우에는 저집단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 직장인여성의 직장생활에서 사회문화적 외모가치 및 전문직업성이 갖는 개인적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한국의 20~40대 사무직 직장인 여성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의한 외모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사회전반에 팽배한 외모지상주의에 의해 획일화된 미의식을 강요받으면서 스스로 의식과 행동에 영향을 받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미의식은 주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실제로 직장생활에서 우수한 외모를 통해 사회적으로 다양한 이익을 얻고 있는 것을 목격하였고, 직장인 여성들에게 있어 외모가 사람들에게 기대되는 이상적인 이미지와 차이가 날 경우 회사생활이나 사회적 성공에 불리하게 작용하거나 비공식적인 차별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인지함으로써 이를 회피하고자 노력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직장인여성의 외모가치 인식이 이들의 전문직업성 지각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외모가 효과적인 직업활동과 사회생활에 경쟁력을 제공하는 요소임이 분명하지만, 왜곡된 미적 기준과 편견, 성공의 기회를 박탈하는 요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단순히 여성적 아름다움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직업인으로서 전략적인 외모 단서를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의 시사점을 얻었다.;This purpose of research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lookism as well as phenomenon that identifies the appearance with competence in which female office workers experience in their career activities and social life of Korea society. And it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n appearance established 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the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imed at female office workers in their 20s to 40s in Korea, by drawing the implication on the causes and resolution.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n society, the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Especially, both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in the empirical study. Questionnaires that refers to advanced researches were distributed to 311 female office workers in their 20s to 40s, working in the company or enterprise located in Seoul to investigate their research variables. Based on this, the research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re examined. Additional interview was conducted for five female office workers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for assistance and the meaning of result which is not drawn from the survey was determined additionally to make better research results. The result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verifying the distinction of awarenes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 of Korean female office workers, it was found that secretarial job had higher public image and internalization of value than customer service job in the job categories of respondents. Second, the female office workers who worked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s showed higher job-esteem than who less 10 years after verifying the distinction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Korean female office workers. As the difference of professionalism was examined by the job category of respond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sk job and general service had higher awareness of job-esteem and professional image than secretarial job and customer service job. Third, the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distinction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f Korean female office workers showed that the group that had low level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was more than the group had low level in the job-esteem, while the group that had high level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was more than the group had low level for the professional image. Fourth, after conducting the in-depth interview to explore the individual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regarding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rofessionalism in the social life of Korean office workers, the recognition on the value of appearance of female office workers in their 20s to 40s, influenced b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were found that they were forced to follow the standardize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ffected in their consciousness and behavio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female workers recognized that the media has created such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good-looking female office workers could easily derive a lot of benefit from their career in fact, and when their looks are different with the ideal image that people usually expect, it works against their career or social success or as target of discrimination so that they had to make efforts to avoid thi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e examination and ver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on appearance and professionalism of female office workers,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Korea. The result of research implicated that the appearance is a factor obviously that increases someone’s competitiveness in effective job activities and social life but must not deprive opportunity and provide distorted standard of beauty and prejudice. Thus, the research indicated that it’s not right to pursue merely feminine beauty but take care of appearance in strategic way as professional work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