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국내 음악치료사 대상 조사연구 현황 및 연구 참여자 자격기준 분석

Title
국내 음악치료사 대상 조사연구 현황 및 연구 참여자 자격기준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status and qualification criteria for participants in Korean music therapists
Authors
나효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searches on domestic music therapist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research papers, 55 papers were selected, including 21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and 34 the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study was reported in 2001, and there has been a quantitat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es since 2010,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until now.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loratory and descriptive research or explanatory research. In the exploratory and descriptive research, the topics on the work and treatment status were the most studied topics, and in the explanatory research, the subjects about the therapist individual were the most studied. In the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music therapy major' as the recruitment criterion, and 8 out of 55 research subjects with more than 2 recruitment criteri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degree completion music therapist and a non-degree student. In the exploratory and descriptive research, there were 15 studies (46.9%) including only degree completion music therapist, 9 studies (28.1%) including a non-degree student, and 8 studies (25%) did no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Four out of nine studies involving a non-degree student were found to have investigated work and treatment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roposed by the researchers in the study, 14 studies (60.9%) including only degree completion music therapist, 2 studies (8.7%) including a non-degree student. Two researchers (8.7%) who did not know whether they majored in music therapy, and 5 studies (21.7%) that did not show research participant information were classified as researchers. Analysis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with a non-degree student revealed that the subjects related to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therapist individual were studied, and the ratio of a non-degree student was about 15%. Although all of the 55 survey researches on music therapists in Korea are based on music therapists, i found that the recruitment criteria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research participa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riterion for clarifying the qualification level of the name of the music therapist and to try to secure the homogene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사 대상 조사연구의 현황파악 및 조사연구 대상자 모집기준과 연구 참여자의 배경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 대상 논문 선정 절차에 따라 연구를 선정한 결과, 학술지게재연구 21편, 학위논문 34편으로 총 55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처음 연구가 보고된 시점은 2001년이었으며 2010년 이후 연구 편수의 양적증가가 있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탐색 및 기술연구, 설명연구로 분류하여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탐색 및 기술연구에서는 근무 및 치료현황에 관한 연구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설명연구에서는 치료사 개인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자 표집 시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 참여자 모집기준으로는 ‘음악치료학 전공’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 참여자 모집기준이 2개 이상인 연구는 전체 55편 중 8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내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 참여자의 자격 전문성을 분석한 결과, 학위과정 이수 음악치료사와 비학위과정 이수자로 분류되었으며 탐색 및 기술연구에서는 학위과정 음악치료사만 포함된 연구 15편(46.9%), 비학위과정 이수자가 포함된 연구 9편(28.1%), 연구 참여자의 자격 전문성을 제시하지 않은 연구 8편(25%)으로 분류되었다. 비학위과정 이수자가 포함된 9편의 연구 중 4편이 근무 및 치료현황을 조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연구 내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 참여자의 자격 전문성을 분석한 결과, 학위과정 이수 음악치료사만 포함된 연구 14편(60.9%), 비학위과정 이수자가 포함된 연구 2편(8.7%), 기타분류로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의 학위를 제시하고 있지만 음악치료 전공 여부를 알 수 없는 연구 2편(8.7%), 연구 참여자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연구 5편(21.7%)으로 분류되었다. 비학위과정 이수자가 포함된 연구 2편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치료적 관계와 치료사 개인에 관한 주제가 연구되었으며, 비학위과정 이수자의 비율은 약 15%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음악치료사 대상 조사연구 55편 모두 모집단을 음악치료사로 하고 있지만 연구자마다 제시하는 연구 참여자의 모집기준과 실제 연구 참여자의 배경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음악치료사 명칭의 자격수준을 명료하게 알 수 있는 기준마련과 연구 참여자의 동질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