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재신-
dc.contributor.author이예주-
dc.creator이예주-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50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5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59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60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불전의 가구구조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회화에서 드로잉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도구인 도식적 표현방식을 건물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 주된 주제이다. 도식적 표현방식의 불전에의 차용은 현재 불전의 설명 자료에 지나치게 많은 정보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건물의 가구구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현재 목조불전은 기록을 1차 목적으로 현재의 모습을 그대로 도면과 사진이라는 이미지 자료를 통해 담고 있다. 이때 도면은 마치 사진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이 장식재에서 구조재 까지 모두 한데 모아 그린다는 점에서 방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때문에 불전의 개략적인 가구구조의 이해도 측면에서 친절한 자료라고 하기 힘들다. 이렇게 목조불전의 시각 자료들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것이 어려운 원인을 부재의 부피의 표현에서 찾았다.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부재가 각자의 결합방식으로 결구되어 하나의 불전을 형성한다. 이때 부재는 하중을 담당하기 위해 일정한 부피를 갖게 되는데 사진, 도면을 비롯한 요즘에는 많이 사용하는 기법인 3D모델링까지도 여전히 부재의 부피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부재의 부피를 그대로 옮겨 그리는 공통적인 표형방식은 첫째, 뒤 부재가 앞 부재에 가려져 추가적으로 이미지 자료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부재에 조각 혹은 색으로 장식되어있는 부분까지 그대로 옮겨서 시각적으로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부재를 형상 표현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인 선과 점을 활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한다. 이러한 목조불전의 표현방식을 선형 모델링이라고 지칭하며, 이 모델링기법은 부재가 겹쳐서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거의 모든 부재의 위치와 치수, 결구점의 정보가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기존 표현기법의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다. 선형모델링 기법이 목조불전의 가구구조를 잘 반영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전형적인 목조불전, 즉 독채형 목조불전을 지붕과 공포의 형태 및 배열에 따라 유형을 나누고, 대표 건물을 선정하여 선형모델링을 진행했다. 유형은 지붕부를 맞배형, 팔작형으로 공포부를 주심포형, 다포형으로 나눈다. 이때 주심포 맞배형은 무위사 극락전, 주심포 팔작형은 홍성 고산사 대웅전, 다포 맞배형은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주심포 맞배형은 선암사 대웅전을 대표 불전으로 선정한다. 선형모델링의 활용가능성을 복잡한 가구구조를 갖는 목조불전으로 확장하여 결합형 목조불전 즉, 특수형 목조불전 중 하나인 통도사 대웅전을 중심으로 선형모델링기법을 검증한다. 나아가 선형모델링은 목적에 따라 간략화가 가능하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도식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본다. 선형모델링은 부재를 그대로 선과 점으로 옮겨 놓은 상세모델링에서 대표부재에 일부부재가 흡수되어 적은 부재로 빠른 이해를 돕는 약식 모델링으로 간략화가 가능하다. 또한 약식 모델링은 목조불전의 설계를 위한 밑바탕이 되는 1차도식인 골조도식으로 도식화가 가능하며 골조도식은 목조불전의 보편적인 가구구조를 담는 얼개도식으로 한 단계 더 간략화 된 도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도식적 표현은 불전의 부재수에 비하면 몇 안되지만 핵심적인 소수의 정보를 활용하여 불전을 자유롭게 해체 및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식적 표현을 바탕으로 결합형 목조불전인 통도사 대웅전의 구성원리를 알아보고, 현재 통도사 대웅전을 재구성을 해봄으로써 도식적 표현의 활용 범위를 살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ressed the Temple of Tongdosa Daeungjeon by Schematic drawing for help it's better frame structure’s understanding. One traditional wooden building is made numerous members and has a volume to take charge of the load. This volume can be hided behind members. But today expression tools like photo, drawings, even the 3D models expresses the volume of the member as it is. We need another expression tool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In order to express this simplify, building members should be present less volume. For this presentation building members are represented by line and point, which are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drawing. This is called Line Modeling, and it is divided into two representing modeling of line : Detail Modeling, Abstract Modeling. For these Line Modelings, they can help understand of the building. Abstract Modeling also can abstractions more to Schema, and it is divided into two representing model of Schema : Skeleton Schema, Frame Schema. For these Schematic Expressions, they can help architectural design of the building.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line modeling can accurately reflect the fram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the typical building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roof and the gong-po. For the Schema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Frame Structure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rame Category. According to the type of roof and gong-po, the Frame Category can be classified into a Jusimpo-Matbae type, Jusimpo-Paljak type, Dapo-Matbae type, and Dapo-Paljak type. Also complicated frame structure buildings are expressed to line modeling. For example Tongdosa Daeungjeon. For the Schematic expressio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can be freely disassembled and constructed by using a few key information. Therefore, we will examin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ongdosa Daeungjeon based on the schematic expression, and examine the scope of the use of the schematic expression by reconstructing the Tongdosa Daeungje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 C. 선행연구의 고찰 4 Ⅱ. 예비고찰 5 A. 목조불전의 기존 표현 방식 5 B. 도식적 표현 9 Ⅲ. 전형 목조불전의 도식화 12 A. 전형 목조불전의 분류 12 B. 도식화를 위한 표현 기준 14 C. 전형 목조불전의 가구분석 및 모델링 28 1. 주심포 맞배형 28 2. 주심포 팔작형 38 3. 다포 맞배형 48 4. 다포 팔작형 59 D. 소결 69 Ⅳ. 통도사 대웅전의 도식화 및 재구성 74 A. 통도사 대웅전의 특성 74 1. 통도사 대웅전의 형태 분석 74 2. 통도사 대웅전의 가구 분석 및 모델링 75 B. 통도사 대웅전의 도식화 87 C. 통도사 대웅전 가구구조의 구성 원리 추론 및 재구성 96 1. 도식을 통한 통도사 대웅전의 가구구조의 구성 원리 추론 96 2. 도식을 통한 통도사 대웅전 가구구조의 재구성 105 Ⅴ. 결론 120 참고문헌 122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132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목조불전의 도식적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통도사 대웅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chematic Express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 Focusing on the Tongdosa Daeungjeon-
dc.creator.othernameLee, Ye Ju-
dc.format.pageix, 126 p.-
dc.contributor.examiner윤재신-
dc.contributor.examiner이윤희-
dc.contributor.examiner이동훈-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