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윤-
dc.contributor.author김미경-
dc.creator김미경-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42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4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9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9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567-
dc.description.abstract청년이 적절한 시기에 노동시장으로 진입하여 일자리를 갖는 것은 경제활동의 주체로서의 기능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독립된 구성원으로 역할하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최근 청년 집단은 노동시장에서 약자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2017년 초 청년 실업률은 1999년 이후 최고치인 11.2%를 기록하였고(통계청, 2017), 청년들의 구직난은 사회적 화두가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및 민간의 각종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근본적으로 청년노동시장의 미스매치(mismatch) 현상과 고학력 청년의 실업 문제에 문제의식을 두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문제의 해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인턴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졸 청년의 인턴제 경험 여부와 경험 유형이 ‘좋은 일자리(Good Job)’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인턴제의 효용을 노동시장 성과 차원에서 검토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내용으로 첫째, 대졸 청년층이 참여하는 인턴제의 참여 현황과 특성이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하였고 둘째, 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 여부가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셋째, 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 유형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활용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이 2014년에 실시한 2013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3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이다. 분석 대상자는 연구목적 및 연구모형에 따라서 첫 일자리 경험이 있는 20~34세의 청년 임금근로자로 한정하였고 규모는 총 3,525명이었다. 연구의 설계에 있어서 독립변수는 인턴제 경험 여부와 유형으로 두었다. 인턴제 경험 여부는 경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으며 인턴제 유형은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공공기관 인턴제, 글로벌 해외인턴제 등의 정부지원 인턴제와 민간기업 인턴제의 네 가지의 종류로 나누었다. 종속변수는 좋은 일자리 진입 여부로 설정하였으며 좋은 일자리를 개념화하는 데 있어서 임금, 정규직 여부, 직무만족도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세 가지 조건 모두 양호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좋은 일자리’에 진입한 것으로 보았다. 다시 말해서, 좋은 일자리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위 요소로 임금, 정규직 여부, 직무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포함한 기술통계분석, 카이제곱(χ2)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분석에 따르면 총 분석 대상자 3,525명 가운데 인턴제 경험이 있는 청년은 842명(23.9%)이고 경험이 없는 청년은 2,683명(76.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턴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842명에 대하여 유형별 살펴보면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220명(6.2%), 공공기관 인턴제에 130명(3.7%), 글로벌 해외인턴제에 14명(0.4%), 민간기업 인턴제에 478명(13.6%)으로 나타나 민간기업에서의 인턴 경험자가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좋은 일자리 진입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면 좋은 수준의 임금(중위임금 2/3이상)을 받는 청년이 1,584명(44.9%), 정규직 형태의 고용이 2,274명(64.5%), 높은 수준의 직무만족도를 보이는 청년이 1,175명(33.6%)으로 드러났다. 임금, 정규직 여부, 직무만족도의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양호할 때 ‘좋은 일자리’에 진입한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387명(11.1%)에 불과했다. 둘째, 청년의 인턴제 경험 여부가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턴제 경험 여부는 좋은 일자리 진입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이 있지 않다고 분석되었다. 다만 교차분석에 따르면 인턴제 경험 여부에 따라 좋은 일자리에 진입하는데 있어 미약하게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는데, 인턴제 경험이 없는 경우가 경험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좋은 일자리에 진입하는 비율이 약간 높았다. 셋째, 청년의 인턴제 경험 유형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인턴제를 유형별로 나누었을 때 변수 간의 영향관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경험의 경우 ‘좋은 일자리’ 진입 여부에 있어 약한 정적(+) 영향이 있었고 공공기관 인턴제 경험은 좋은 일자리 진입에 대해 부적(-) 영향력이 관찰되었다. 민간기업 인턴제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글로벌 해외인턴제 경험은 전체 사례인 3,525명(100%) 중 14명(0.4%)에 불과하므로 회귀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단, 교차분석에 따르면 참가자 14명 모두 좋지 않은 일자리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턴제 경험이 좋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통제변수 중에 성별, 연령, 전공계열은 일관되게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은 남성이 여성보다 유리하였고, 연령은 높아질수록 좋은 일자리 진입 승산이 높아졌다. 전공계열에 있어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예체능계열, 문과계열, 이과계열 순으로 좋은 일자리 진입 확률이 높았다. 앞서 서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비롯하여 정책적 함의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experience of internship participation of young college graduates affects the entry into ‘Good Job’. In recent years, high rate of youth unemployment has become the new aspect of labour market. Especially in Korea, the growing number of highly educated youth who are unemployed is a big social problem. Overall Korean young people have a very high level of education compared to other countries, but due to the polarization of the labour market and lack of jobs, they have difficulties to find suitable jobs for education. For that reason,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various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and the internship system is one of them. Internships are the process of School to Work(STW),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used as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ALMPs). Since 2008, through the internships, the government of Lee Myung-bak have tried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possibility by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 private sectors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or abroad.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internship system has not been examined enough despite the enormous budget input. Earlier researches have mainly pointed out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programs. In addition, despite the various types of internship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type of internship on the youth labour market. Therefore,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ypes of youth internship experiences and explores the effects of the internship system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on the entry into ‘Good Job’.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ship experiences of young college graduates in terms of labour market outcomes. In the following par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hether or not the internship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has affected the entry into a Good Job. The last part examines how types of internship experiences of young college graduates has affected the entry into a Good Job, leading to a policy implication. To analyze these questions, the data of 2013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3GOMS)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in 2014 wa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purpose and research model,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young wage workers aged 20 to 34 who had first job experience, and the total was 3,525. In the design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nternship experiences, which divided into two variables such as experience/non-experience and types of internship. The types of internship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youth internship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upported by government, internships in public institution, global overseas internships and internships in private enterprise.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entry into ‘Good Job’, which comprised of monthly wages, status of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When the three conditions of more than two-thirds of median wages, full-time regualr job, an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were met, it was judged to have entered ‘Good Job’. SPSS 20.0 was used as a tool and frequency analysis, χ2 crossover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as statistical techniqu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total 3,525 respondents, 842 (23.9%) had youth internship experiences and 2,683 (76.1%) were not.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internship experience was 220 (6.2%) in SMEs supported by government, 130 (3.7%) in the public institution, 14 (0.4%) in the global overseas internship program, 478 (13.6%) in private enterprise, indicating that internship experiences in the private sector are slightly more experienced. Also, 1,584 (44.9%) of young people received a good level of wage (more than two-thirds of median wages), 2,274 (64.5%) of full-time regular employment, and 1,175 (33.6%) of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were revealed.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wage, status of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387 (11.1%) were considered to have entered Good Jobs when all three conditions were good. Seco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youth internship experiences on Good Job entry showed that internship experienc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ering Good Jobs. In other words, simply having or not having an internship experience had no impact on the entry into a Good Job. However, according to the crossover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entry into a Good Job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r not. Specifically, In case of non-experience of internship, the rate of entering Good Jobs was higher than that of experienced ones. Thir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internship experience types on entry into a Good Job. Then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variables became more clear. In the case of young internship experience of SMEs, there was a weak positive (+) influence on the entry into a Good Job, and experience in public institution showed negative (-) influence on entering Good Jobs.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n internships in private enterprise. The experience of global internship abroad was only 14 (0.4%) out of 3,525 (100%) of the total cases, so it was not includ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according to the crossover analysis, all 14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entered ‘Bad Job’. Fourth, gender, age, and college majors had consistently significant influence as the control variables. Gender was more favorable for males than females,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number of successful job entry. In the major field, the probability of entering Good Jobs has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arts and physics department, the department of the liberal arts, and the depar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scribed abov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5 C. 연구내용 7 Ⅱ. 선행연구 고찰 8 A. 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 유형 8 1. 정부지원의 인턴제 9 2. 민간부문의 인턴제 14 B. 좋은 일자리의 개념 15 C. 대졸 청년층의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요인 19 1. 인턴제 경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19 2. 개인적 요인 22 3. 학력 및 취업준비요인 22 Ⅲ. 연구방법 25 A. 연구질문 및 가설 25 B. 연구모형 26 C.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27 1. 분석자료 27 2. 분석대상 28 D.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0 1. 독립변수 30 2. 종속변수 31 3. 통제변수 32 E. 분석방법 34 Ⅳ. 연구결과 3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B. 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과 좋은 일자리 진입 현황 38 C. 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에 따른 좋은 일자리 진입에의 차이 40 D. 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 42 1. 인턴제 경험 여부가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 42 2. 인턴제 경험 유형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 44 3. 소결 47 Ⅴ. 결론 49 A. 연구의 요약 및 의의 49 1. 연구의 요약 49 2. 연구의 의의 51 B. 연구의 제언 및 한계 52 1. 연구의 제언 52 2. 연구의 한계 54 참고문헌 56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9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졸 청년층의 인턴제 경험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Youth Internship Experiences and the Entry into Good Job of Young College Graduates-
dc.creator.othernameKim, Migyoung-
dc.format.pagevii, 68 p.-
dc.contributor.examiner정영순-
dc.contributor.examiner조상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