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사춘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마음챙김 수준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춘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마음챙김 수준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others’ Mindfulness on Adolescents’ Behavior Problems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uthors
이승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사춘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동하는 과도기로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급격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심리적인 혼란과 불안을 경험하게 돼 정서와 행동에 문제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 역시, 중년기에 접어들어 사회적 역할에 대한 불안, 갱년기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며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달라진 발달 단계에 있는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부모가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양육태도 및 자녀관계, 자녀의 문제행동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태도와 자녀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의 심리 안정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마음챙김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발달적 변화로 가족과의 갈등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시기인 사춘기 자녀를 둔 어머니 456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마음챙김 수준과 자녀의 문제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양육태도와 부모자녀관계만족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작용하는지 그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마음챙김의 대표적인 두 흐름인 명상적 마음챙김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두 가지 마음챙김의 영향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구조모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명상적 마음챙김 수준이 사춘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관계만족도의 이중매개가 유의했고,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어머니의 명상적 마음챙김 수준은 직접적으로 혹은 양육태도-부모자녀관계만족도의 이중매개를 통해서 자녀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어머니의 명상적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문제행동이 감소된다는 의미이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수준이 사춘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체 매개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하고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해 전체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명상적 마음챙김 구조모형과 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관계만족도의 이중매개가 유의했고,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어머니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태도와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이중매개하여 자녀문제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는 자녀문제행동이 감소되지만, 자녀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는 문제행동이 증가된다고 볼 수 있다. 두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명상적 마음챙김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큰 틀에서는 유사한 면을 나타냈지만 자녀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을 자녀양육에 접목해 어머니의 마음챙김 수준이 양육태도, 자녀관계만족도,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마음챙김 양육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부모교육에 마음챙김 개입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선행연구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마음챙김을 명상적 마음챙김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으로 나누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각각의 경로를 살펴보고, 두 유형의 마음챙김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사하지만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s’ mindfulness and their adolescents' behavior problems. A sample of 456 mothers who have adolescent children (5th &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whole gra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elf-report survey measured mothers’ mindfulness, thei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particular, meditative mindfulness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which are two major branches of mindfulness research, were measured separately in the individual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22.0 and M-plus 6.12.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mindfulness (both meditative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parenting attitudes,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econd, the dual-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indfulness (both meditative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and thei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dicating that mothers’ mindfulness affects thei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others’ mindfulness, the more indirectly affecting the decrease of child's problem behavior through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applying mindfulness to parenting (mindful parenting) would be effective since mothers’ mindfulness affects parenting attitudes,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hild's behavior problems. They would provide a foundation on which effective interventions can be devised for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