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우울한 여대생의 의도적 망각에서의 간섭 효과

Title
우울한 여대생의 의도적 망각에서의 간섭 효과
Other Titles
Interference effect on Intentional forgetting among Women's University students with Depression : focused on mood changes by thought substitution
Authors
이가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사람들은 원하지 않는 정보를 잊음으로써 부정적인 기분에서 벗어날 수 있다(Payne & Corrigan, 2007). 그러나 우울한 사람은 의도적으로 특정 정보를 잊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다(Power, Dalgleish, Claudio, Tata, & Kentish, 2000; Hertel & Gerstle, 2003; Cottencin, Gruat, Thomas, Devos, Goudemand, & Consoli 2008). 의도적 망각은 억제와 간섭의 효과에 의해 발생하나, 우울집단을 대상으로 간섭에 의한 의도적 망각의 효과가 파악된 바 없다. 또한 간섭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방식인 대체 사고를 사용할 경우 대체 사고의 정서가에 따라 의도적 망각 이후의 기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민동일, 2016). 특히 부정적인 생각을 잊기 위해 더욱 부정적인 대체 생각을 사용하는 우울집단의 특성을 고려할 때(Joormann, Hertel, LeMoult & Gotlib, 2009), 간섭으로 인한 의도적 망각을 통해 실제 기분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논의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높은 우울 증상을 나타내는 대표 집단인 성인진입기 여대생을 대상으로 병원 불안척도와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가 포함된 사전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불안증상이 없는 참가자를 우울 수준에 따라 우울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최종적으로 우울집단에 41명, 통제집단에 46명을 선정하였다. 우선 생각 회피 조건에서 대체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간섭을 기제로 한 의도적 망각에서 우울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특정 자극을 생각하지 않아야하는 생각 회피 조건의 단어자극 반복횟수에 따른 회상률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망각을 유발하는 회상과제인 TNT 과제(Think/No-Think task)를 통해 간섭을 기제로 한 망각을 측정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우울집단과 통제집단을 부정적 대체 사고 유발집단과 긍정적 대체 사고 유발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정서에 해당하는 대체 사고를 유발하였다. 이후 유발된 대체 사고의 정서가에 따른 우울집단과 통제집단의 기분변화를 반복측정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섭을 기제로 한 의도적 망각 수준을 살펴봤을 때 우울집단과 통제집단의 망각 수준이 부분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생각 회피 조건에서 집단과 반복횟수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우울집단에서는 생각 회피 조건의 반복 횟수에 따라 망각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생각 회피 조건의 단어자극이 2회 반복되었을 때 우울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회상률이 증가하였다. 반면 생각 회피 조건이 10회 반복되었을 때 두 집단 모두 기저선 이하의 회상률을 보여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우울집단이 의도적 망각을 위해 대체 사고를 처음 시도하였을 때는 적절하게 정보를 잊지 못하고 촉진하는 모습을 보이나, 반복된 연습을 통해 통제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체 사고의 정서가에 따른 기분변화가 나타났다. 부정적 대체 사고 유발 집단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긍정적 기분이 감소하고 부정적 기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만 기분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 대체 사고 유발 집단은 두 집단 모두 긍정적 기분이 증가하고 부정적 기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울집단에서만 기분변화 수준이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우울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기분의 변화가 일어나지만, 대체 사고의 정서가에 따라 집단의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집단의 경우 부정적인 대체 사고에 의한 기분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긍정적 대체 사고를 사용하였을 때는 기분이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집단이 부정적인 대체 사고를 사용하더라도 유의하게 기분이 저하되지 않으나, 긍정적인 대체 사고를 사용하였을 때는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우울집단에게 긍정적 대체 사고를 통한 의도적 망각이 기분변화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집단이 대체 사고를 통한 간섭을 기제로 하여 성공적으로 의도적 망각을 사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우울집단에게 긍정적 대체 사고를 통한 의도적 망각이 정서조절 전략으로써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우울집단의 인지적 특성을 활용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People can be free from negative feelings by forgetting unwanted information. But, the depressive people can feel difficult to intentionally forget certain memories (Power, Dalgleish, Claudio, Tata, & Kentish, 2000; Hertel & Gerstle, 2003; Cottencin, Gruat, Thomas, Devos, Goudemand, & Consoli 2008). Although intentional forgetting is caused by the effects of inhibition and interference, the interference effects on intentional forgetting are not identified, involving depressive groups. In particular, an thought substitution is a typical way to cause interference, so the contents and emotional types of the thought substitution may affect the mood after the intentional forget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nterference effect on intentional forgetting, focusing on mood changes by thought substitution.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HAD-A and CES-D and then screened the participants who were above anxiety scale's cut-off score. The final participants(87 women undergraduate students) consisted of an depressive group (n=41) and a control group (n=46). At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oup differences of interference effect on intentional forgetting by leading to thought substitution.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recall rat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petition on the No-Think condition. Using the TNT task, Interference effect on Intentional forgetting was measur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repeated ANOVA. Also, according to emotional type of thought substitution, this study divided two groups into four groups(depressive and control groups : positive thought substitution/ negative thought substitution). Depending on the emotional types of the induced thought substitution, the differences of depressive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with repetitive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mechanism of intervention, the intentional forgetting levels of depression and control groups were partially similar.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groups and number of repetition were identified in the No-Think con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forgetting levels,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petition in the No-Think condition. When the number of repetition is two in the No-Think condition, the recall r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ressiv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repetition is ten in the No-Think con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roups, indicating the two groups showed a recall rate of less than base line. This result means that when depressive group attempts thought substitution at first, the group fails to forget previous information intentionally, but by repeating practices, the group can show forgetting level similar to control group's. The mood changes by thought substitution occur as follows: In the negative thought substitution groups, positive moods were decreased and negative feelings were in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significant mood changes were only appeared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positive thought substitution groups, positive feelings and decreased negative feelings were in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significant mood changes were only appeared in the depressive group. In other words, mood changes of depressive and control groups occur in a similar manner, but the group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depending the emotional type of thought substitution. For the depressive group, the mood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by using the negative thought substitution, but there were positive effect on mood changes by using a positive alternative accident. These means that even though the depressive groups use negative thought substitution, the mood level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But when the group use positive thought substitut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mood. Therefore, it means that the intentional forgetting by positive thought substitution can be effective for depressive people's mood changes. This study confirmed that depressive people can use successfully intentional forgetting by interference with thought substitution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intentional forgetting by thought substitutions as 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 effective interventions utilizi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depressive women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