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박선경-
dc.creator박선경-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38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3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5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5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5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 경북, 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 중 20~39세 남녀 457명을 대상으로 최근 사회적 이슈로 주목 받고 있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문제음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불안민감성과 고통감내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아동기 학대 경험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방법으로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 변인들과 고통감내력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학대 경험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불안민감성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이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아동기 학대 경험이 불안민감성을 거쳐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확인되었다. 붓스트랩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수준에 따른 차이가 어떤 경로에서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민감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과 고통감내력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고통감내력이 낮을 때에만 불안민감성이 문제음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기 학대 경험과 불안민감성의 관계에서 아동기 학대 경험과 고통감내력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고통감내력의 수준에 따라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의 매개 관계가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통감내력의 수준이 평균이거나 낮은 수준일 때에만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아동기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문제음주와 불안민감성이 증가하며, 아동기 학대 경험으로 인해 불안민감성이 높아질수록 문제음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안민감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고통감내력이 낮을 때에만 불안민감성은 문제음주의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학대 경험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 역시 고통감내력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고통감내력이 평균이거나 낮은 수준일 때에만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불안민감성의 수준을 낮추고 고통감내력을 증가시킬 때 아동기 학대로 인한 문제음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동기 학대 경험이 문제음주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고, 문제음주에 효과적으로 개입전략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hildhood maltreatment, anxiety sensitivity, problem drinking and distress tolerance. The study participants(456 adults) were drawn from various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ROCESS macro by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hood maltrealment, anxiety sensitivity, problem drinking while distress toler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three variables. Second, to examine how anxiety sensitivity mediate the childhood maltreatment on problem drinking, PROCESS macro analysis were used. Result indicated that childhood maltreatment and anxiety sensitivity predict problem drinking positive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problem drinking was significant. Third, an interactive effect of anxiety sensitivity and distress tolerance on problem drinking was found. Distress tolerance moderated the impact of anxiety sensitivity on problem drinking only when distress tolerance was in low level. In contrast, an interactiv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and distress tolerance on anxiety sensitivity was not found. Fo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in order to inquire what differences the mediation model contain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tress tolerance. As a result, the indirect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on problem drinking through anxiety sensitivity was moderated by distress tolerance. The results of moderated mediation tes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tress tolerance. When distress tolerance was in low or moderate level, the indirect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on problem drinking through distress toleranc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égies for problem drinking caused by childhood maltreatment would be more effective if it’s focused on anxiety sensitivity, distress tolerance. Finding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childhood maltreatment, anxiety sensitivity, problem drinking, and distress toler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아동기 학대 경험 6 B. 문제음주 7 C. 불안민감성 10 D. 고통감내력 13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도구 19 C. 연구절차 21 D. 자료분석 22 Ⅳ. 연구 결과 23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23 B.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의 관계 25 C. 아동기 학대 경험, 불안민감성, 문제음주, 고통감내력의 관계 29 Ⅴ. 결론 및 제언 36 A. 결과 요약 및 논의 36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0 참고문헌 43 부록. 설문지 57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82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아동기 학대 경험과 문제음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불안민감성과 고통감내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Problem Drink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Sensitivity and Distress Tolerance-
dc.format.pagev,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