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김문정-
dc.creator김문정-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37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3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3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5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3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상담자의 상담회기평가의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중요한 발달적 시기에 있는 초심 상담자가 긍정적 상담성과를 맺기 위해서는 어떤 치료적 경로를 거치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단기적, 인지적 개입이 가능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상담자 요인인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관계 요인인 작업동맹을 거쳐 상담성과와 유의한 관계를 맺는지에 대해 다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심 상담자의 특성을 지니면서 전문가적 특성 또한 지닌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2급 또는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2급 자격증을 소지한 상담사 12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주요변수들의 각 척도별 특성을 고려하여 상담 전 설문과 상담 후 설문으로 나누었다. 상담 회기 실시 전에 응답하는 설문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상담자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상담 회기 실시 직후에 응답하는 설문은 상담자가 보고한 작업동맹과 상담회기평가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먼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들의 특성 및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상담자 자기효능감, 작업동맹, 상담회기평가 간의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고, 각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 또한 대부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상담회기평가 간의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작업동맹을 매개로 하는 다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상담자 자기효능감에서 작업동맹을 거쳐 가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상담자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정도가 높으면 더 높은 상담자 자기효능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효과적인 작업동맹을 맺고 궁극적으로 더 좋은 상담회기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마음챙김과 상담성과 간 관계에서 구체적인 치료적 경로에 대해 밝혔다는데 있다. 특히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직접 상담성과나 상담관계 요인과 관련되지 않고 상담자 요인인 상담자 자기효능감을 통해 상담관계 요인인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인 상담회기평가와 관련을 맺는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이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상담성과와 직접 관계를 맺기 보다는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같은 상담자 태도, 진솔함, 그리고 인간적 관심 등의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을 촉진하는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같은 상담자 요인을 촉진함으로써 상담자가 보다 강한 작업동맹을 맺도록 하고 이것이 결국 긍정적 상담성과와 관련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명상적 마음챙김보다 단기간에도 인지적 개입을 통해 마음챙김을 교육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교육적 함의에 주목하였다. 이에 초심 상담자의 특성을 지닌 연구 대상자들의 자료를 통해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초심 상담자가 상담 내에 ‘몰입’하여 ‘현존’할 수 있도록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을 발달시키는 훈련과정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밝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le mediation roles of counselor's self-efficacy and working alli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socio-cognitive mindfulness and counseling outcome. 125 counselors who acquir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s or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s Second level Certification (116 women, 9 men) were surveyed based on a self-reporting questionna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part was answered before one counseling session and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mindlessness/mindfulness scale(K-MMS) and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CASES). The second part was answered right after one counseling session and included Working aliiance inventory short form(WAI-S) and Session evaluation qustionnaire form 4(SEQ form 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correlations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counselor's self efficacy, working alliance and session eval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 multiple mediation model indicated that counselor's self efficacy and working alli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ognitive mindfulness and counselor's session evaluation, having an acceptable model fit. In regards to the path analysis of vari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ognitive mindfulness and counselor's session evalua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counselor's self efficacy and working alliance. In short, this study confirmed the multiple mediation roles of counselor's self efficacy and working alli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ognitive mindfulness and counselor's session evaluation. These findings support that novice counselor with greater socio-cognitive mindfulness would report having better counselor's self efficacy, stronger working alliance and better session evaluation. Socio-cognitive mindfulness would be suggested to be applied by novice counselors as the catalyst for counselor's presence or attributes, which would be positively related to working alliance and treatment outc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마음챙김 5 1.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개념 5 2.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특성 8 3. 상담자 마음챙김의 효과 10 B. 상담자 자기효능감 13 1.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개념과 특성 13 2.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효과 16 3.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상담자 자기효능감 17 C. 작업동맹 18 1. 작업동맹의 개념과 특성 18 2. 작업동맹의 효과 20 3.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작업동맹 21 D. 상담성과 22 1. 상담성과의 개념과 특성 22 2. 상담성과의 측정 24 E.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상담자 자기효능감, 작업동맹과 상담회기평가의 관계 25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29 A. 연구모형 29 B. 연구가설 30 Ⅳ.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연구절차 34 C. 측정도구 35 1.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35 2. 상담자 자기효능감 36 3. 작업동맹 37 4. 상담자의 상담회기평가 38 D. 자료 분석 40 Ⅴ. 연구결과 41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1 1.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 41 2. 상관분석 42 B. 측정모형의 검증 46 1. 이상값 및 다중공선성 47 2. 모형의 적합도 47 3. 구인타당도 48 C. 구조모형의 검증 49 1. 모형의 적합도 49 2. 경로계수 50 3. 매개효과 52 Ⅵ. 논의 및 제언 54 A. 결과 요약 및 해석 54 1. 주요변수 및 하위요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54 2.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상담자 자기효능감, 작업동맹과 상담회기평가 의 연구모형 적합도 및 구조적 관계 55 B. 연구 의의 및 제언 58 참고문헌 64 부록1. 연구 참여 설명서 77 부록2. 설문지 80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94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상담자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상담성과와의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작업동맹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unselor's socio-cognitive mindfulness and counseling outcome : Testing the multiple mediation roles of counselor's self-efficacy and working alliance-
dc.format.pagevii, 92 p.-
dc.contributor.examiner안현의-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contributor.examiner유성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