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김다인-
dc.creator김다인-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37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3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2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2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54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들을 생태모형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0년 이후부터 2017년 1월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을 주제로 한 28개의 연구물을 최종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의 선정은 메타분석의 특성 상 수량적인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효과크기(r)로의 변환이 가능한 통계치가 제시된 연구물을 대상으로 하였고, 포함·배제 준거를 미리 설정하여 해당 준거에 따라 자료를 선정하였다. 또한 선행 자살생각 메타분석 연구와 국외 자살시도 질적 리뷰 및 메타분석 연구, 자살의 심리학적 이론, 주요 건강·자살관련 기관에서 발행된 자살행동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주요 요인들을 추출하였고, 생태모형을 수정·적용하여 요인들을 배경 변인군, 개인 변인군, 가족환경 변인군, 학교환경 변인군, 사회문화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다음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변인 전체의 효과크기와 관련 변인군 별 효과크기, 변인군 내 하위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변인들이 청소년 자살시도와 보다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사 연도(연구 시기)와 (독립변인 측정 시) 타당화된 척도 사용 여부에 따라 관련 변인들과 청소년 자살시도 간 관계가 변화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들을 통해 추출된 변인들 중 성별, 학년, 건강상태, 흡연경험, 음주경험, 약물경험, 성관련피해경험은 배경 변인군으로, 공격성, 무망감, 우울, 자아존중감, 자살생각, 좌절된 소속감, 짐이 되는 느낌, 충동성, 생활스트레스는 개인 변인군으로, 가정불화, 가족자살력, 가족지지, 가정 경제수준, 방임경험, 부모-자녀 관계는 가정환경 변인군으로, 교사지지, 친구지지, 학업성취, 친구관계, 학교폭력피해경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환경 변인군으로, 인터넷 중독은 사회문화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청소년 자살시도와 관련 변인 간 관계를 변인군 단위로 분석한 결과, 심리적 변인들이 주로 포함되어 있는 개인 변인군이 청소년 자살시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가족환경 변인군, 학교환경 변인군, 배경 변인군, 사회문화 변인군 순으로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각 변인군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배경변인군에서는 약물경험이 청소년 자살시도를 가장 잘 예측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흡연경험, 성관련 피해경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변인군에서는 자살생각이 자살시도를 가장 잘 예측하고 있었고, 짐이 되는 느낌, 우울, 좌절된 소속감 순으로 효과크기가 컸다. 가족환경 변인군에서는 가족 자살력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방임경험, 가정불화, 가족지지가 그 뒤를 이었다. 학교환경 변인군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시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교사 지지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문화 변인군은 인터넷 중독 변인 1개만이 포함되었으며, 인터넷 중독 변인도 자살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변인군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변인을 대상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이 청소년 자살시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자살생각 외에도 짐이 되는 느낌, 우울, 가족자살력, 좌절된 소속감,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충동성, 방임경험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관련 변인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연도(연구시기)에 따라 효과크기가 변화하는지 검토한 결과, 조사 연도가 최근일수록 배경 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변인군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조절효과가 유의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기울기 값이 매우 작아 실질적으로는 조사 연도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청소년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독립 변인을 타당화된 척도로 측정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관련 변인들의 효과크기가 변화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타당화된 척도 사용 여부를 더미 변수로 코딩하여 메타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관련 변인 전체에 대한 분석 결과, 타당화된 척도를 사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효과크기가 더 큰 경향이 있었다. 단순 설문 문항만을 사용하여 측정된 배경 변인군과 타당화된 척도만 사용된 사회문화 변인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변인군을 대상으로 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 변인군과 가족 환경 변인군, 학교환경 변인군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변인군 별 분석에서도 타당화된 척도를 사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효과크기가 더 큰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기준을 충족하는 변수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지지, 생활스트레스, 학교폭력 피해경험 변인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우울,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살생각 변인들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조절효과가 유의한 변인들의 경우, 타당화된 척도를 사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가족지지와 친구지지 변인은 전체 분산에서 타당화 척도 사용 여부가 설명하는 분산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들과 이들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자살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살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보다 다차원적이고 통합적인 청소년 자살 예방과 개입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 할 수 있고,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연구들의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suicide attempt using a modified ecological model, and to analyze their effect sizes comprehensively. To this end,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28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1990 and January, 2017 on a topic of adolescents' suicide attempt.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0. First of all, variables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 were derived and classified into groups of the modified ecological model: background factors, individual factors,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o-culture factors. Then,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predictors a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suicide attempt,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adolescents' suicide attempts change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and use of validated scales, meta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meta-analytic meth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uicide attempt derived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ories of suicide, guidelines of organizations related health or suicide, variables with 'gender, age, health condition, smoking experiences, drinking experiences, drug experiences, sexual violence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s background factors, variables associated with 'aggression, hopelessness, depression, self-esteem, suicidal ideation, thwarted belongingness, feeling of burdensomeness, impulsivity, life stress' were classified as individual factors, variables associated with‘family troubles, family history of suicide, household economy status, experiences of neglect, parent-child relationship' were classified as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variables associated with‘support of teacher, peer support, school achievement, friend relationship,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ere classified a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nd‘internet addiction' was classified as socio-culture factors. Seco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five sets was individual factors followed by family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background, socio-culture set in order. Thir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e attempt was suicidal ideation. And it was followed by feeling of burdensomeness, depression, family history of suicide, thwarted belongingness, academic stress, self-esteem, impulsivity, experiences of neglect. The effect size of suicidal ideation was large, and the effect size of the other influential variables was moderate. Forth, according to results on how effect sizes of overall variables and factor groups vary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moderating effects of publication year were significant. However, slope value is too small to assume that effect sizes are moderated.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at effect sizes remain constant regardless of the publication year.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n how effect sizes of factor groups vary according to use of validated scales,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to use validated scales was founde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individual, family environmental,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group related suicide attempt better that unused of validated scales. And variables such as‘depression', ‘family support', ‘peer support', ‘suicidal ideation' related suicide attempt better than nonuse of validated scal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study utilized meta-analytic approach, this study provided more integrated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applied to comprehensive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s' suicide attempt.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y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adolescents' suicide attemp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청소년 자살 6 1. 자살의 정의 6 2. 청소년 자살시도 특징 7 B. 청소년 자살 관련 국내 선행 메타분석 연구 9 C. 청소년의 자살시도 관련변인들의 생태이론에 따른 분류 11 1. 배경 변인군 15 2. 개인 변인군 18 3. 가족환경 변인군 22 4. 학교환경 변인군 26 5. 사회문화 변인군 29 D. 메타분석 30 1. 메타분석 개념 및 특징 30 2. 메타분석의 절차 및 방법 32 Ⅲ. 연구방법 34 A. 메타분석 대상 자료 수집절차 34 B. 분석대상 논문 선정 준거 34 C. 분석대상 논문 선정 절차 36 D. 자료의 처리 38 E. 자료 분석 42 1. 효과크기의 산출 43 2. 메타분석 모형 선택 45 3. 효과크기의 해석 46 4. 동질성 검정 46 5. 조절효과 분석 48 6. 독립성 가정 문제 48 7. 출판편향 검증 49 Ⅳ. 연구결과 51 A. 분석대상 연구의 특성 51 B.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변인들의 효과크기 분석 54 1. 전체 효과크기 54 2. 효과크기 비교 55 C. 조절효과 분석 64 D. 출판편향 검증 결과 69 Ⅴ. 결론 및 논의 72 A. 요약 72 B. 논의 75 C. 한계점 및 제언 85 참고문헌 89 부록1. 코딩지 109 부록2. 분석에 사용된 학회지 논문 111 부록3. 분석에 사용된 학위 논문 113 부록4. 분석에 사용된 학회지 및 학위 논문의 특성 요약 114 부록5. 메타회귀분석 결과: 산포도 117 부록6. 출판편향 검증 결과: 깔때기 그림(Funnel Plot) 124 ABSTRACT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30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청소년 자살시도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Suicide attempt among Korean Adolescents-
dc.format.pageix, 134 p.-
dc.contributor.examiner유성경-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contributor.examiner안현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