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수-
dc.contributor.author최경원-
dc.creator최경원-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26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2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0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07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507-
dc.description.abstractSocial capital is wide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health determina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linkage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 of adolescents in Non-western countries. To fill the ga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health and social capital deriving from different domains at the individual- and neighborhood-level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e-fold: (a)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health and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social capital, (b) to examine the contextual effects of neighborhood social capital on adolescent health, and (c)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adolescent health. Information from the fifth (2014) and sixth wave (2015)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n 1,813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using multilevel regression models. Depressed mood and somatic symptoms were used as indicators of adolescent’s health status. At the individual-level, present study found that social capital measures emerging from different social context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adolescent mental and physical health when analyzed separately. However, most of these measures lost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when they were estimated together. This finding emphasizes that assessing the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health and social capital from one particular setting may overlook the contribution of social capital coming from other environments. Furthermor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 varies by gender. At the neighborhood-level,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socially cohesive neighborhood as a contextual-level resource for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Structural interventions that target to build neighborhoods where adolescents can feel a strong sense of belonging would have beneficial outcomes for adolesc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사회적 자본은 건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서구 국가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과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파생되는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를 개인 수준과 지역사회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목적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첫 째, 청소년 건강과 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했다. 둘 째, 지역 사회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건강에 미치는 맥락 효과(Contextual effect)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셋 째, 청소년 건강과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가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 어린이•청소년 패널 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5차(2014)와 6차(2015) 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 검증은 개인 수준과 지역사회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구별하기 위하여 다수준 분석 (Multilev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우울감과 신체 증상을 각각 청소년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 변수들은 각각 따로 분석하였을 때 청소년 정신 및 신체 건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이 변수들이 함께 분석되었을 때, 많은 변수들이 유의성을 띄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특정한 사회적 환경에서의 사회적 자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할 경우, 그 영향력이 과대평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청소년의 정신 및 신체 건강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응집력이 강할수록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정신 및 신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의 사회적 응집력을 제고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Research Background 1 B. Purpose of Study 5 II. THEORETICAL FRAMEWORK 7 A. Social Capital 7 1. Definitions 7 2. Categorizations and Measurement 11 III. LITERATURE REVIEW 16 A. Social Capital and Health 16 1. Mechanisms Linking Social Capital to Health 17 2. Different Views on Social Capital 21 B. Linking Social Capital and Health to Adolescents 28 1. Social Capital within an Adolescent Framework 28 2. Different Domains of Social Capital 30 3. Gender Differences 35 IV. RESEARCH DESIGN AND HYPOTHESES 37 A. Research Design 37 B. Hypotheses 38 V. DATA AND METHODS 41 A. Data 41 B. Measures 42 1. Individual-Level Variables 42 2. Neighborhood-Level Variables 46 C. Analytic Approach 50 VI. RESULTS 54 A. Descriptive Statistics 54 B. Correlations 55 C.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and Social Capital 58 D. Multilevel Analysis 59 E. Multilevel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Outcomes 70 VII. CONCLUSION 81 A. Summary of Results 81 B. Discussion and Implications 83 C.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86 REFERENCES 89 ABSTRACT IN KOREAN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0471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Neighborhood Context, Social Capital, and Adolescent Health Outcomes-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 Multilevel Analysis-
dc.title.translated지역 사회적 맥락, 사회적 자본, 그리고 청소년 건강 상태에 관한 다수준 분석-
dc.format.pagev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