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한유경-
dc.creator한유경-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21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2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9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96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90-
dc.description.abstractToday, consumers’ consumption trend gradually changes. The ‘fast’ trend appears across food, clothing, and shelter, including fast fashion, fast food, and fast furniture and at the same times changes consumers' propensity. Accordingly, as recently, in South Korea, families of one or two people have increased, the size of the home furnishing market is growing. The lifestyle market in which people can easily change the atmosphere of space with various designs and reasonable prices tends to gradually grow,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tributes the maintenance of th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The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s propose marketing by consumers' purchase type and show a strategy to stimulate purchase desire through diversification in the competitive structure for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customers' shopp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user content platform in the home furnishing market, according to fast trend.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needs, assess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purchase propensity of consumers who purchase home furnishing products and conducted research according to the purchase path. As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consumers in the 20s to 40s, who had an experience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 products online or offline, selected a total of 104 copies of responses, and drew result values through a data analysis. Through analyzing purchase propensity, it was noted that consumers do not purchase products through a single channel, but obtain information, pursuing complex channels, that is, cross channels and proceed to the following process of purchas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types of experience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 products were identified. Concerning consumers' home furnishing product purchas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purchase home furnishing products on-line, but they did not use only one channel, but purchase the products obtaining information on/offline. This means that their purchase channel chang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their purchase experience, too, differs. Second, as a result of assessing the types of the propensity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 products, it turned out that most consumers purchased household items (Props and gardening) through online channels) and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urchase, practicality took up the highest percentage.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channels, one-day delivery became possible, and it was found that, through online channels that have a merit that consumers can purchase products easily at low prices and fast, they purchase household items that can easily be used as consumables. In conclusion, the home furnishing market that reflects the fast trend needs a strategy that can stimulate consumers’ purchase desire by show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ir trend. Academic 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hashtags of the user content platform that focuses on the home furnishing market, utilizing SNS-based hashtags that have not been dealt in the field of home furnishing market. It is expected that assessing the type of consumers' purchase experience and their propensity and reflecting them to services in the future through the user content platform of home furnishing propos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draw their positive reactions, and proposing a “shopzine” that has merits of an application and webzine, the strategy of new marketing for “shopper-tainment” for consumers can be maximized. In the subsequent studies, it would be necessary to analyze consumers’ needs, establishing clear criteri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usability and to verify the user content platform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since there are few preceding studies of the user content platform of home furnishing, and there is no study of the user content platform in the home furnishing market, according to fast trend,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users who purchase home furnishing products through that.;오늘날 소비자들의 소비 트랜드가 점차 변화하고 있다. 패스트 패션에서 패스트 푸드 그리고 패스트 퍼니쳐까지 패스트 트랜드가 의, 식, 주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것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성향 또한 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에 1~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홈 퍼니싱 시장의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다양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대로 공간의 분위기를 쉽게 바꿀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시장이 점차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정보통신의 발달은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세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들은 고객의 쇼핑 경험에 따라 차별화를 두기위해 경쟁 구도에서 다각화되어 소비자들의 구매 유형에 따른 마케팅을 제안하고 구매 욕구를 자극시키려는 전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스트 트랜드에 따른 홈 퍼니싱 시장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로 홈 퍼니싱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정보 습득 경로 및 구매 성향을 파악하여 소비자들의 니즈를 분석하고 구매 경로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온, 오프라인을 통해 홈 퍼니싱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이상 소비자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04부의 응답이 선정되었으며, 자료 분석을 통해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구매 성향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은 한 가지의 채널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복합 채널 곧 크로스 채널을 추구하여 정보를 습득하고 이후 구매의 과정으로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홈 퍼니싱 제품 구매 경혐 유형이 확인되었다. 소비자들의 홈 퍼니싱 제품 구매 및 정보 취득 경로는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지만 한 가지의 채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온, 오프라인을 통해 정보를 얻고 구매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보 취득 경로에 따라 구매 채널이 달라지고 구매 경험 또한 달라진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 홈 퍼니싱 제품 구매 성향 유형을 파악한 결과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생활용품(소품, 가드닝)을 구매하며 구매 결정 요소에는 실용성이 가장 많은 비율로 차지했다. 온라인 채널의 발달로 인해 일일 배송이 가능하고, 저렴한 금액으로 제품을 쉽고 빠르게 구입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온라인을 통해 소비자들은 소모품으로 사용되기 쉬운 생활용품을 구매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패스트 트랜드를 반영한 홈 퍼니싱 시장은 소비자들의 트랜드 동향에 따른 제품을 선보임으로써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홈 퍼니싱 분야에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SNS기반 해시태그를 활용하여 홈퍼니싱 시장에 중점을 둔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의 해시태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안한 홈 퍼니싱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 경혐 유형과 성향을 파악하여 추후 서비스에 반영한다면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과 웹진의 장점을 이끌어낸 샵진을 제안함으로 소비자들에게는 쇼퍼테인먼트의 새로운 마케팅의 전략이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사용성 평가에 따른 명확한 기준을 세워 소비자들의 니즈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 서비스의 검증을 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홈퍼니싱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선행 연구가 미비하며, 패스트 트렌드에 따른 홈퍼니싱 시장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으므로, 이를 통해 홈퍼니싱의 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 목적 2 C. 연구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4 A. 디자인 트렌드(Design Trend) 4 B. 패스트 트렌드(Fast Trend) 6 C. 홈 퍼니싱(Home Furnishing) 19 D. 이커머스(E-Commerce) 31 E. 해시태그(Hashtag) 33 Ⅲ. 연구 방법 36 A. 연구 조사 모형 36 B. 연구 조사 방법 37 Ⅳ. 연구 결과 41 A. 일반적 특성 41 B. 홈 퍼니싱 제품 구매 경험 유형 43 C. 홈 퍼니싱 제품 구매 성향 유형 47 D. 해시태그 사용에 따른 구매의사결정 요인 49 Ⅴ. 홈 퍼니싱 시장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 52 A. 컨텐츠 플랫폼 서비스 52 B. 컨텐츠 플랫폼 서비스의 컨셉 52 C. 컨텐츠 플랫폼의 프로세스 54 D. 컨텐츠 플랫폼의 사용성 평가 61 Ⅵ. 결론 및 논의 63 A. 요약 및 결론 63 B. 연구의 활용방안과 한계점 및 시사점 64 참고문헌 66 부록1. 설문지 69 부록2. 샵진의 컨텐츠 플랫폼 75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72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소비자의 구매 경험 확장을 위한 컨텐츠 플랫폼 제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홈 퍼니싱 시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Proposal of a Content Platform for the Expansion of Consumer’s Purchase Experience : Focused on the Home Furnishing Market-
dc.format.pagev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