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문제음주 여성의 어머니 경험

Title
문제음주 여성의 어머니 경험
Other Titles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Problem Drinking : Based on Drinking Women during Pregnancy
Authors
허성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음주 여성의 어머니 경험에 관해 그들 당사자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임신 당시 문제음주 여성을 중심으로 임신, 출산 그리고 양육이라는 시간적 경과에 따라 어머니로서 어떠한 독특한 경험을 하는지 탐색해 봄으로써 사회복지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들 가운데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이 연구의 사례인 문제음주 여성의 어머니 경험에 대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문제음주를 한 여성으로, 임신 당시 문제음주 노출에 의해서 출생한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다. 연구참여자 모집은 여성 알코올병동,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및 AA모임의 협조를 얻어 자발적인 잠재적 연구참여자를 우선 선정한 후, 연구자가 임신 당시 문제음주 확인을 위한 스크리닝 작업을 거쳐 최종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 수는 총 5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일대일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고 연구참여자 별로 1회당 2시간가량, 총 3~4회기 정도 시행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사례 내 분석을 통해 각 연구참여자들의 어머니 경험에서 드러난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 A는 혼전 임신으로, 9주차에 임신을 인지하기 전까지 매일 과음을 하였다. 임신 동안 술 자체를 잊을 만큼 기형아 출산의 두려움 속에 빠져 지냈으며, 조산 및 저체중으로 아이를 출산하였다. 양육에 대한 책임감이 강했으나, 아이의 발달 상태에 대한 염려가 자신의 아킬레스건이 될 정도로 극심하였다. 현재 주변의 도움으로 금주 유지하면서 양육과정의 어려움을 극복 중인 상태이다. 연구참여자 B는 미혼모로 3주차에 임신을 인지하기 전까지 매일 음주하며 잦은 과음 및 블랙아웃 현상이 있어왔다. 임신동안 무책임한 아이 아빠로 인해 우울증 및 음주 지속으로 여러 차례 유산 위기를 겪었으며, 기형아 출산의 두려움으로 입양까지 생각하였다. 모유수유를 통해 엄마됨을 실감하고 6개월간 금주하였으나, 점점 처지를 비관하며 우울증 및 음주문제 심각해져 현재 입원 치료 중이다. 연구참여자 C는 두 아이 모두 비계획적인 임신으로, 임신 인지 전까지 과음 및 폭음패턴 보였으나 임신 인지 후부터 금주하였다. 둘째아이의 기형아 출산에 대한 염려는 첫째아이 때보다 덜 하였으나, 남편의 외도로 인한 스트레스로 유산 위기를 겪은 후 저체중으로 아이를 출산하였다. 양육에 대한 책임감이 강했으나 남편 문제로 우울증 및 음주문제 심각해지면서 자살시도 보여 현재 입원 치료 중이다. 연구참여자 D는 3주차에 임신을 인지 전까지 이틀에 한번 꼴로 폭음 및 만취패턴 있어왔다. 임신 인지 후 일반 엄마들과 같은 삶에 대한 기대감으로 금주하였으나 임신 6개월 차에 음주 재개하였다. 기형아를 낳는 악몽에 시달렸으며 출산 후에도 아이의 정신적 장애 가능성을 늘 염려하였다. 현재 금주 및 양육방법에 관해 주변의 도움을 받으면서 아이와의 행복을 서서히 알아가는 상태이다. 연구참여자 E는 비계획적인 임신을 하였으며, 평소보다 음주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임신 5개월 차에 늦게 임신 사실을 인지하였다. 임신 동안 음주량 조절하며 음주를 지속하였고 남편의 폭력으로 괴로울 때면 폭음으로 이어졌다. 저체중으로 아이를 출산하였으며, 아이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남편의 지속된 폭력 및 처지 비관으로 우울증과 음주문제 심각해져 현재 입원 치료 중이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마다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주제를 분류하고 범주화한 결과 총 115개의 의미단위, 24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각 범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상치 못한 엄마됨’은 연구참여자들이 임신임을 확인한 순간 엄마됨이 전혀 예상 밖의 일이었음을 나타낸 이유들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임신임을 모르고 매일같이 과음 및 폭음을 해 왔기 때문에 그런 상태에서의 엄마됨은 전혀 예상 밖의 일이었다. 또한 많은 나이, 임신증상의 무감각, 불규칙한 생리, 피임을 안 해도 임신이 되지 않았던 과거 경험 등의 정황들은 전혀 생각지 못한 임신임을 나타냈다. ‘받아들이기 힘든 엄마됨’은 임신 사실을 인지한 직후 엄마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었던 상황들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임신 사실을 모르고 마신 술로 인해 기형아 출산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이기 시작하였으며 낙태 갈등의 고통과 맞물려 엄마됨을 받아들이는 것에 양가감정이 컸다. ‘마지못해 암담한 엄마됨을 받아들임’은 낙태 갈등 속에서 힘들게 엄마됨을 받아들인 상황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도덕적인 관념 등을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아이를 낳기로 결정하였으나, 아이 아빠로 인한 가중된 고통들로 우울증 및 자살시도 등을 겪으며 어머니로서 정신적 준비는 생각 밖의 일이 되어버렸다. ‘태아 보호는 엄마의 몫’은 기형아 출산을 피하기 위해 음주 통제를 통한 태아 보호의 노력을 엄마의 책임으로 돌리는 가부장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태아 보호를 위한 음주 통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편들의 계속되는 불공평한 음주는 연구참여자들에게 음주충동 등의 또 다른 위기상황을 가져왔다. ‘임신 내내 엄마됨이 와 닿지 않음’은 기형아 출산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엄마됨을 온전히 느낄 수 없었던 상황들을 드러냈다. 연구참여자들의 기형아 출산에 대한 두려움은 입양 및 영아유기 등의 극단적 생각에 사로잡히게 하였으며, 초음파 영상 및 태동과 같은 경험들은 오히려 죄책감만 더 가중시켰다. ‘출산 후 엄마됨을 조금씩 인식하지만 노심초사’는 출산을 하고서야 안도감과 함께 엄마됨이 와 닿는 상황들과 그 속에서 여전히 노심초사하는 어머니 경험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모유수유를 시작하면서부터 내 아이임을 제대로 실감하고 그 기간만큼은 술로부터 완전히 떠날 수 있었으나, 성장과정에서 아이의 발달에 대한 염려는 자책감과 함께 음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술과 엄마됨 사이에서의 줄타기’는 양육과정에서 음주와 보호제공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애쓴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이의 생활패턴에 따라 음주 시간 및 양을 통제함으로써 아이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음주와 보호제공 간 균형 맞추기는 점점 아슬아슬해져 갔다. ‘바닥을 치는 엄마’는 삶의 위험요인 속에서 음주 통제력을 잃게 되면서 보호 제공이 점점 위태로워지는 상황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위험요인들을 주로 술로 대처하면서 점점 술에 의존되어 가는 스스로에 대한 자괴감과 맞물려 그들의 삶은 살고 싶지 않은 현실이 되었다. 이는 아이의 보호제공 마저 위태롭게 하였으며 결국 그들에게 돌아온 건 스스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알코올중독이었다. ‘그래도 여전히 힘든 엄마로서의 여정’은 음주 욕구와 엄마로서의 책임감 사이에서 여전히 힘든 여정을 지속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이를 위해서 술과의 결별을 선택하였으나 음주 욕구에서 비롯된 감정 통제의 어려움이 자신과 아이 둘 다에게 고통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성장과정에서 아이의 정서적 행동적 문제에 대한 잠재적 불안감이 여전히 지속되었다. ‘부족하지만 서서히 변화해 가는 엄마’는 술을 떠나서도 여전히 힘든 엄마로서의 여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위기를 딛고 서서히 변화해 가는 엄마가 될 수 있었던 원동력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양육방법 및 태도에 대한 부족함이 많은 엄마였음을 깨달은 후 주변 자원들의 도움을 통해 하나씩 배우고 실천하는 노력들이 탄력적인 어머니로 차츰 변화해 나갈 수 있게 하였다. 이상의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임신 중 음주로 인해 임신단계에서 일반 여성과는 다른 심리적 과정을 겪으며 그들이 겪는 심리적 고통은 출산 후 양육과정을 아우르며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는 이러한 심리상태가 강화되지 않도록 임신단계에서부터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고 안심시킬 수 있는 조기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 임신 중 음주 위험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 방안이 요구되며, 나아가 고위험군 여성들의 조기 선별을 위한 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마련에 관한 함의를 가진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일반 여성들처럼 아이에 대한 보호 제공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애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주 시간 및 양의 통제와 삶의 위험요인에 대한 자가치료적 음주를 통해 가능하였으나 장기적으로 음주와 보호 제공 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부정적 대처기제라는 점에서 건강한 대처방법을 강구하고 삶의 위험요인의 축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락 마련에 대한 함의를 지닌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이 음주 통제를 통해 태아 보호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 것과 달리 아버지들은 임신 인지 전 음주 패턴을 유지함으로써 태아 보호에 대한 책임감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지속적인 음주는 어머니의 보호 역할마저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버지의 음주문제를 개선하고 태아 보호를 위한 노력과 아버지로서 책임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함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탄력적인 어머니로 적응해 나가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체계의 동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천현장에서 공식 ․ 비공식적인 다양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eeply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problem drinking from their perspective. Specifically, this study, centered on women with drinking problem when they got pregnant, was done to seek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y reviewing how those women have experienced unique experience to be a mother such as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over tim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problem drinking which is the case of the study by applying a case study method among qualitative stud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women with problem drinking. As mothers who have children, they were exposed to problem drinking when they had been pregnant. To invit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firstly I had selected potential volunteer participants in cooperation with women alcohol clinics, Community Addiction Management Centers and Alcoholics Anonymous(AA) groups. After preliminary selection,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 a screening process to check problem drinking when they had been pregnant. Total five participants were invited and data had been collected by one-to-one in-depth interview from June to October, 2016. Each interview took about two hours and 3-4 times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o analysis the data, I used a within-case analysis and a cross-case analysis which are generally used in the qualitative case study. Firstly, issues came from motherhood experience of participants through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Participant A' who had been pregnant before marriage have drunk too much every day before recognizing that she was at 9 weeks of pregnancy. During the pregnancy, she had been scared to deliver a deformed baby enough to almost forget drinks and prematurely delivered a low weight baby. She ha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of parenting, but suffered from too much concerns about her child's development. Now she tries to overcome difficulties regarding the upbringing of her child in getting away from alcohol with helps of neighbors. 'Participant B' as an unmarried mother had been experienced several blackouts caused by too much daily drinking before recognizing that she was at 3 weeks of her pregnancy. She also had gone through several risks of miscarriage during pregnancy from continuous drinking and depression due to the irresponsible father of the baby and even thought the adoption of her baby because of concerns about a birth defect. When she has realized to become a mother from the experience of breast-feeding, she stopped alcohol for six months. But, as she has slowly lost hopes of her life, her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have been getting worse and now she is hospitalized for treatment. 'Participant C' who has two children from unplanned pregnancy has showed the pattern of binge and heavy drinking before recognizing pregnancy, but she stopped drinking after recognizing pregnancy. Concerns about a deformed baby for her second one was not much serious than those of her first one, but she has delivered a low weight baby after suffering from miscarriage risk because of stress caused by her husband's extramarital affair. She ha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of parenting, but her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have been getting worse due to her husband, which leads to suicide attempt and now she is hospitalized for treatment. 'Participant D' had been in the pattern of binge and heavy drinking about once every two days before recognizing that she was at 3 weeks of pregnancy. After recognizing, she has stopped drinks with the hope of new life like other mothers, but she started again drinking from her six months of pregnancy. She has suffered from bad dreams about a birth defect and also worried about possible mental health disorder of her baby after giving birth. Now she is in getting to know happiness living with the child with the help of neighbors about the ways of abstinence and parenting. 'Participant E' who had been pregnant without plan has recognized late her pregnancy at the five months of pregnancy when she has been in lower alcohol consumption than usual. But even during the pregnancy, she has continued to consume alcohol by controlling alcohol consumption and sometimes has drunk too much when she was suffered from violence by her husband. She has delivered a lower weight baby and tried to fulfill basic demand of the baby, but her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have been getting worse caused by her husband's continuous violence and losing hopes of the life, and now she is in hospital to treat the problem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mes finding in common in each case through the cross-case analysis, I developed 10 category themes, 24 sub-categories themes and 115 meaningful units, which will be discussed as follows; 'Unexpected motherhood' shows some reasons why being a mother is the last thing that participants imagined when they recognized their pregnancy. Being a mother was very unexpected event for them because they had over and excessive drink every day without knowing pregnancy at all. Also considering the experience of infertility without birth control in the past, their pregnancy was the last thing to expect in their life due to their old age, no sense of pregnancy's symptom and irregular period. 'Unacceptable motherhood' shows the situation that participants could not accept what they will be a mother after recognizing their pregnancy. Participants were seized with fear to deliver a possible deformed baby from drinking without knowing their pregnancy and felt ambivalence between heartbroken thinking of abortion and accepting to be a mother. 'Accept unwilling miserable motherhood' shows the situation that participants finally decided to come to terms with being a mother in emotional conflicts of abortion. Participants have been forced to decide to deliver a baby because of their moral principles, but psychological preparation as a mother was impossible after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 caused by problems of the father of the baby. 'Mother's burden to protect an unborn baby' reflects patriarchal characteristics that women should have all responsibility to protect an unborn baby by controlling drinking in order to prevent a birth defect. Despite efforts of participants to control their drinking to protect the unborn baby, continuous and unfair drinking of husbands has brought another risk to create drinking urge of participants. 'No feeling of a mother during the pregnancy' shows the situation that participants failed to feel fully to be a mother due to concerns about a deformed baby. Participants said concerns about a birth defect have pushed them into extreme idea such as sending a baby for adoption and abandoning a baby, and their guilty has been added by experiences of ultrasound scans and fetal movements of their babies. 'Recognizing slowly motherhood after delivery but still being worried' shows participants' experience as a mother that they were in complex situations with a sense of relief and feelings of anxiety once they have delivered their babies. With starting breast-feeding, participants were successfully away from alcohol during the time of breast-feeding. But concerns about child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growing up along with their feelings of remorse have made them to drink again. 'Struggling between alcohol and motherhood' shows tough efforts of participants to take a balance between drinking and protecting a child in the process of parenting. Participants have tried to fulfil the basic needs of a child by controlling time and quantity of drinking according to a life pattern of a child, but balancing between drinking and protecting a baby was getting difficult. 'Falling mother' shows the situation that participant's protection of a child has been getting weak as they were losing the control of moderate drinking under the risk factors of life. Participants have depended on alcohol gradually as they coped with risk factors with alcohol, which made their life more difficult to live coupled with low self-esteem about themselves. This situation compromised child protection and what participants faced was alcoholism which was not able to escape from problems on their own. 'Journey as a mother who is in still difficult condition' shows tough journey of participants who are struggling in between drinking desire and responsibility as a mother. Participants had decided to stop drinking for their child, but the difficulty of emotional control about drinking desire brought suffering to themselves and child both as well as participants have lived with potential anxiety on child's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process of growth. 'Insufficient but gradually changing mother' shows what was the reason for a mother to change gradually themselves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although the journey as a mother was not easy, even they finished a drink. When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ir ways and attitude of parenting were not sufficient as a mother, their efforts to learn and practice thanks to help of neighbors have gradually changed them as a resilient mother. Based on findings of the study, following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developed. First, participants of the study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process caused by drinking during pregnancy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women and they have been exposed to psychological suffering across the parenting process after delivering a baby. Therefore, relevant field practicing plans for the social welfare in mental health should design early intervention measures to relieve psychological pain and to create a sense of stability from the stage of pregnancy; should develop and promote effective program to reduce drinking risk and to prevent possible drinking during pregnancy; create a cooperation platform among agencies to consider early detection of women in high-risk group. Second, study shows that participants made all efforts to provide good protection to their child like other general women. These efforts were possible based on the control of time and quantity of drinking and the drinking as self-medication on the risk factors of the life. But considering this is negative response mechanism causing imbalance between drinking and protection of a child in the long term, strategy should be made to find sound measures to be taken regarding drinking and to reduce accumulations of risk factors of the life. Third, while participants of the study had responsibility to protect an unborn baby by controlling their drinking, fathers have maintained their drinking pattern that they had before the recognition of pregnancy, which means women and men shows differences about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an unborn baby. Considering the fact that continuous drinking of a father would threaten the protection role of a mother, various interventions should be taken for a father to improve drinking problem, to strengthen efforts to protect an unborn baby and to enhance the responsibility as a father. Last but not least, as confirmed that mobilizing social support system is important for participants to be changed into a resilient mother by overcoming risks, relevant field practicing plans should introduce measures helping to use various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 support systems so as to help women at risk of problem drink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