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윤-
dc.contributor.author김은지-
dc.creator김은지-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20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2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99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86-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Can the present generation of young people be able to secure the elderly pension entitlement?’ ‘The future of younger generation workers seem to be unstable, but why does the younger generation workers are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of the blind spot in the National P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f young wage workers that affect the payment of National Pension and to suggest that younger generation be included in discussion of National Pension policy.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labor market when the public pension is first designed and that of the current labor market are different is a problem that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in welfare policy research. Unlike the past labor market, which has been able to maintain regular employment until the retirement age, the current labor market has various forms of instability based on frequent unemployment and irregular employment. The National Pension, which is a welfare system based on the assumption of full-time employment, also produces several blind spot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unstable labor market. In Korea, a group experiencing changed unstable labour market at the forefront is the younger generation. However, while studies on the unstable labor market of the young workers are emerging,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unstable labor market of the young workers based on the National Pension. The pension entitlement and stable replacement rate of the younger generation seem not to be consider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yet. This is because the public pension system is a system that discusses the entitlement to retirement, so it feels somewhat remote from the younger generation. However, the payment of the National Pens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is a matter that needs to be discussed more seriously and actively. Considering the symbolism of future generations of younger generation and the role of National Pension in the Korean welfare state, payment of stable National Pension by young generation will be one of the decisive factors for sustainable welfare state of Korea.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unstable labor market of the young workers should be discussed with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aims to analyze the personal factors and the job factors of young wage workers affecting the payment of the National Pen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the 11th year of 2016. Among the respondents who responded to the 11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691 young wage workers aged 20 to 34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and education,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employment type, occupation type, size of company and earned income. Dependent variable is whether to pay National Pension. The study found that about 25.9% of the young waged workers do not pay the National Pension even though they are wage earners who are subject to National Pension obligations. Among them, about 12.7% of the young wage workers do not pay the National Pension despite being a National Pension subscriber. When they are irregular workers, when the earning income is low, when they are workers of less than 5 employees company than workers of 300 or more employees company, When they are service workers than white collar workers, as the age of young wage worker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non-payment of National Pension increased. Gender and educational attainment were not related to paying National Pension for young wage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tudies of the job factors of the National Pension exclusion for all ages is equally applied to young wage workers. This results suggest that considering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that the instability of labor market of young workers can be continued throughout the life cycle, more polic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non-regular workers, low-income workers, workers of less than 5 employees, and service workers among young wage workers, so that their pension entitlement can be guarante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personal factor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studies of the National Pension exclusion for all ages. In relation to this, this research tried to interpret results considering the facts that young wage women workers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career breaks due to marriage or childbirth than women wage workers who are over 35 years old and younger wage workers, unlike wage workers who are over 35 years old, greet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raising as age increases. Also, a follow-up question has been raised as to whether younger generations who have experienced different labor market from older generation have different welfare attitudes of the National Pension reflecting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unstable labor market may threaten the right of pension entitlement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supplementing the blind spot of the National Pension, the payment of the National Pension of young wage workers should be more actively discussed. This research also analyzed unstable groups with job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a priority of policy among young wage worker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wage worker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gener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 not set the continuous payment period as a dependent variable due to the limit of the survey response and measures whether to pay National Pension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re is also a limit as a quantitative research that does not know the specific reasons for the non-payment of the National Pension. Qualitative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in subsequent studies for the reasons for avoiding or non-paying the National Pension in spite of being a wage worker, the mechanism by which specific job characteristics lead to the non-payment of National Pension, the unique and specific reasons for the young generation's personal factors affecting to non-payment of National Pension that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본 연구는‘지금의 청년세대는 노후에 안정적으로 국민연금 수급권을 확보 할 수 있는가?’,‘청년세대는 왜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 사각지대의 논의에서 배제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고, 국민연금 사각지대의 논의에 청년 세대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적연금이 처음 설계되었을 때의 노동시장 모습과 현재의 노동시장 모습이 크게 다르다는 문제는 복지 정책 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은퇴 연령까지 정규직 고용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과거의 노동시장과 달리 현재의 노동시장은 잦은 실업과 비정규 고용 등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불안정성을 띄고 있다. 정규직 고용을 전제로 설계된 기존 복지제도인 국민연금도 변화한 불안정 노동시장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각지대들을 낳고 있다. 한국에서 이 변화하는 불안정 노동시장을 가장 생생히 경험하고 있는 세대는 청년층이다. 하지만 불안정 청년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들은 등장하고 있는 반면, 국민연금을 바탕으로 불안정 청년 노동시장을 논하는 연구들은 거의 없다. 청년 세대의 국민연금 수급권 및 안정적인 소득 대체율 확보는 아직 본격적인 사회문제로 조명되지 않는 듯하다. 국민연금이 노후 사회 안전망을 대표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청년 세대와 다소 멀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청년 세대의 국민연금 납부는 보다 진지하고 활발히 논의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청년 세대가 가진 미래세대로서의 상징성과 국민연금이 한국 복지국가에서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생각할 때, 또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청년층의 불안정성을 감안할 때, 청년세대의 안정적인 국민연금 납부에 대한 고민은 한국 복지국가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고민들 중 하나일 것이다. 본 연구는 불안정한 청년 노동시장이 국민연금과 더불어 논의 되어야함을 검토하고,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일자리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2016년 11차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11차 한국복지패널 설문에 응답한 모든 응답자 중 20-34세의 청년 임금근로자 69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학력을 포함한‘개인적 특성’과 고용형태, 직종, 사업체규모, 근로소득을 포함한‘일자리 특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종속변수는 국민연금 납부여부이다. 연구 결과, 국민연금 의무 가입 대상인 임금근로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않는 청년들이 약 25.9%의 상당한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국민연금 가입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않고 있는 청년 임금근로자의 비중이 약 12.7%를 차지했다. 비정규직 일 때, 근로소득이 낮을 때, 5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일 때 300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보다, 서비스・판매업 종사자 일 때 사무직 종사자 보다 국민연금 비납부 가능성이 높았으며, 청년 임금 근로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납부 가능성이 높았다. 성별, 학력은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와 관련이 없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성세대를 대상으로 한 기존 국민연금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국민연금 배제의 일자리 요인이 청년 임금근로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청년기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전 생애에 걸쳐 지속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고려하여, 청년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 저소득 근로자, 5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서비스・판매업 근로자에게 보다 많은 정책적 관심이 기울여져야 이들의 노후수급권이 보장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기존 국민연금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국민연금 배제의 개인적 요인이 청년 임금근로자에서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여성 청년 임금근로자는 상대적으로 35세 이상 여성 임금 근로자에 비해 결혼 혹은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경험하기 전이라는 점, 청년 임금 근로자는 35세 이상의 임금 근로자와 달리 연령이 증가할수록 결혼, 출산, 육아 등을 앞두게 된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해석을 시도해보고자 했다. 이에 더하여, 기성세대와는 다른 노동시장을 경험해온 청년 세대가 국민 연금에 대해 세대적 특성을 반영한 다른 복지태도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후속 질문도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불안정 노동시장이 청년 세대의 노후 연금 수급권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문제제기하고 국민연금 사각지대 보완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청년 임금근로자들의 국민연금 비납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상기시켰다. 또 청년 임금근로자 안에서도 정책의 우선순위가 되어야 할 일자리 특성을 지닌 불안정 집단을 분석했으며, 청년 임금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이 다른 세대와는 다소 상이한 방향으로 국민연금 납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해석의 여지와 후속 연구를 제시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설문 응답의 한계로 연속적인 납부 기간을 종속변수로 두지 못하고 특정 시점의 납부여부를 종속 변수로 측정했다는 한계가 존재하며, 국민연금 비해당 및 비납부 응답의 구체적 이유를 알 수 없는 양적 연구의 한계가 존재한다. 임금근로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을 회피 혹은 비납부하는 이유, 특정한 일자리 특성이 국민연금 비납부를 야기하는 메커니즘, 개인적 특성이 다른 세대와 상이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는 청년 세대만의 고유하고 구체적인 이유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이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C. 연구내용 5 Ⅱ. 선행연구 고찰 6 A. 불안정 청년 노동시장과 국민연금 6 B. 국민연금 납부에 대한 기존 연구 11 1. 한국의 국민연금제도와 국민연금 납부 11 2. 국민연금 납부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인 13 3. 국민연금 납부에 영향을 주는 일자리 요인 16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22 1. 분석 자료 22 2. 분석 대상 23 B. 연구모형 24 C. 측정변수 25 1. 독립변수 25 2. 종속변수 29 D. 분석방법 31 Ⅳ. 연구결과 32 A.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및 납부 실태 32 B. 특성 별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여부 35 1. 분석대상의 개인적 특성 현황 및 특성 별 국민연금 납부여부 35 2. 분석대상의 일자리 특성 현황 및 특성 별 국민연금 납부여부 38 C.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 영향 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44 Ⅴ. 결론 및 논의 52 A. 연구의 요약 및 결론 52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7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개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payment of National Pension of young wage workers : focus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dc.format.pagevii, 68 p.-
dc.contributor.examiner정영순-
dc.contributor.examiner조상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